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식온도 규정생겼으면 좋겠어요

이참에 조회수 : 1,088
작성일 : 2012-02-29 15:38:36
우리나라 식당은 앉아서 펄펄 끓는 국물음식 서빙받을 때 많아 늘 불안했었어요. 펄펄 끓는 것 바로 내가지 말고서빙시 적정온도 정해주고 사람 머리 위로 뚝배기 이동 못하게 하고 주방에서 식탁으로 옮길 때도 바퀴테이블에다 이동하도록 요식업 규정 정비했으면 좋겠어요.
테이크아웃 커피들도 너무 펄펄 끓는 걸 줘서 점심식사후 산책하듯 걸으며 마시고픈데 도저히 바로 못 마시겠더라구요.요즘은 전 찬물섞어 식혀달라고 해요. 안그럼 식을 때까지 기다리다 보면 사무실 도착해 있더라구요. 뜨거운 음식이 위나 식도에도 안 좋고 우리나라가 발병율도 높잖아요.
IP : 121.131.xxx.22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12.2.29 3:48 PM (112.152.xxx.173)

    음식점들은 대부분 식탁에서 끓여먹게 하거나 님말씀대로 카트 밀고와서 서빙하니까 문제 발생 소지가 적죠
    사실 그것도 손님들이랑 부딪치고 쏟고 뜨건 국물원하는 사람은 많고 그러다보니 사고가 많았고
    음식점들이 자구책으로 강구한것들이겠죠
    정말 문제는 셀프서비스고 그렇게 음식코너 다닥다닥 모아놓은 큰 푸드코트들이죠
    위험해요 특히 마트들중엔 냉면 육수를 엄청 뜨겁게 셀프로 가져다 먹게하는곳도 있더라구요

  • 2. ㅇㅇ
    '12.2.29 3:58 PM (211.237.xxx.51)

    한국음식 특성상 뜨거워야 먹을만한 음식이 많잖아요
    국도 그렇고
    특히 날씨가 추울때는 펄펄 끓게 나가도 좀 있음 식어서 맛이 없으니
    그래서 뚝배기도 생긴거구요..
    음식온도 규정을 해야 할게 아니고
    식당등 공공장소에서는 아이들을 (뿐만 아니고 어른도) 뛰지 못하게 규정이 바뀌어야 합니다
    뛰면 바로 퇴장 시키고요.

  • 3. 아니죠
    '12.2.29 4:37 PM (1.225.xxx.229)

    그런곳에서 뛰는 아이들과 그런 행위를 방치하는 부모들에게
    벌금을 물리게 해야죠....

    뜨거운걸 식혀먹는건 님의 취향과 선택이구요
    저는 뜨거운 음식 안뜨거운건 너무 싫어요...

  • 4. ..
    '12.2.29 4:40 PM (218.238.xxx.116)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계시네요.
    우리나라 음식의 특징중 하나가 뜨거운 국물음식인데..
    그게 위에 좋든 안좋든요..
    애들때문에 식당들 망하게하시려구요.
    애 단속을 하는 법을 만드는게 옳죠..

  • 5.
    '12.2.29 4:48 PM (115.136.xxx.24)

    전 원글님 의견에 공감해요,,
    아이들 뛰지 못하게 단속하는 건 물론 당연한 일이지만

    지나치게 뜨거운 음식물이 위험한 건 맞죠..
    더구나 들고 이동해야 하는 음식인 경우에는 더욱 더..

  • 6. 글쎄요
    '12.2.29 5:27 PM (124.195.xxx.69)

    그런데요
    음식물이 뜨거운것도 문제지만
    기본적으로는 뜨거운 음식물만 문제가 아닌데요,,,

    저도 무진장 개구진 아들놈을 키웠어요
    저희 아이 어릴 때 별명이 백만돌이였어요 에너자이저 광고에 나오는.
    애기를 돌보는 건
    먹고 입히고 안아주는것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위험에서 지키도록 한순간도 눈을 뗄 수 없다는 걸
    그때 배웠지요

    뜨거운 음식물 뿐 아니라
    아파트 단지내에서 아이가 자동차 뒤쪽으로 뛰어가는 것
    요즘 차체 높은 차에서 보면 안 보일까봐 심장이 덜컥 합니다.

    놀이터 미끄럼틀에서 꼬맹이들끼리 순서 다투다가
    순식간에 높은 계단에서 떨어진 걸 보고 정말로 숨이 안 쉬어지더군요

    아이들에게 항상 눈을 떼지 말고
    거듭거듭 주의를 주어야 하는 건
    민폐, 질서
    이런 것 말고 가장 큰 이유는 안전이랍니다.

    뜨거운 국물의 문제가 아니구요.

  • 7. 원글
    '12.2.29 8:06 PM (121.131.xxx.226)

    저도 따끈한 음식 좋아해요. 문제는 혀 데일 정도로 펄펄 끓는 음식이나 차가 나오는 경우가 요즘 많길래 하는 말이죠. 분명 식품위생법이나 요식업법에 근거가 전혀 없진 않으리라 싶기도 하구요. 영세하거나 바쁜 곳들이어서 지키지 않는 것일 수도 있을 거 같아요..
    이건 아이 엄마를 옹호하려고 한 말이 아니에요. 아이들 못 뛰게 해야 하는 건 당연하구요.
    전 아이 어릴 때 외출하고 오면 탈진할 정도로 내 아이 제대로 챙기려고 한시도 신경을 놓고있지 못하는 스타일이고 우리 아이도 점잖다는 얘기 듣고 큰 편예요.
    이번엔 아이가 뛰어 문제가 됐지만 식당에서 어른들 사이에서도 화상입는 일이 있었겠다 싶어요.사실 가만히 테이블에 앉아 음식 받을 때 사람머리 가로질러 펄펄 끓는 뚝배기 내려놔주고 그러잖아요. 카트로 이동 안 하고 쟁반에 옮기는 맛집들도 많어요. 손님은 바글거려 옆사람하고 간격도 부족하고. 뛴 게 아니고 그냥 움직일 때도 부딪힐 소지가 많아요.
    이번 교보영상 봐도 식탁 의자도 다 죽 나와있고 통로가 좁아보여요. 보행각도가 너무 안 나온다구요. 이번에 애엄마가 진상이든 아니든 이상하게 리모델링한 교보도 욕먹어야 하고 이참에 운영기준을 소비자 위험이 없게 정비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서점을 시장판처럼 만들어놔서 광화문교보 가기 싫어졌었어요.

  • 8. 별걸다...
    '12.3.1 1:10 PM (118.38.xxx.44)

    성인은 취향의 문제고요.

    뜨거운 음식을 취급하는 곳엔 아이를 동반하지 말아야죠.

  • 9. 별걸다...
    '12.3.1 1:11 PM (118.38.xxx.44)

    법제화가 필요하다면 음식의 온도를 규정할게 아니라
    뜨거운 음식을 판매하는 곳의 인테리어와 서비스에 규정사항을 둬야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0084 이 밤에 과자 두 봉을 마시다시피 했네요 ㅠㅠㅠㅠ 16 흑흑 2012/03/03 3,804
80083 유치원 보조교사일을 시작했는데, 아이들 놀이거리 뭐가 있을까요?.. 3 스칼렛 2012/03/03 3,148
80082 허브솔트 질문 (수정) 6 스테이크홀더.. 2012/03/03 3,357
80081 혹시 도장부스럼이라고 아시나요? 3 .... 2012/03/03 4,835
80080 우리집 남자의 평. 3 훗~ 2012/03/03 1,979
80079 ↓↓↓ 아래 글 피해가세요. 핑크가 낚시하고 있어요.(냉무) 2 /// 2012/03/03 1,324
80078 인터넷에선 왜 가난뱅이 좌빨들이 많이 설치는 걸까요? 8 ... 2012/03/03 1,816
80077 82 왜 이럽니까? 까칠은 기본, 비아냥 거리는 댓글에 깜짝 놀.. 15 리아 2012/03/03 2,471
80076 폰번호 변경후 다시 예전번호로 2 사과 2012/03/03 2,940
80075 연년생 키우시는 분.. 3 힘들어요 2012/03/03 1,693
80074 왜 여초사이트엔 남자 찌질이들이 많을까요 27 errt 2012/03/03 3,891
80073 평택 아이키우기 좋은곳좀 추천바랍니다. 5 엄마 2012/03/03 2,304
80072 담장에 중국출장이 잡혔는데 비자어떻게 준비하지요? 3 중국 2012/03/03 1,960
80071 은지원의 매력이 뭘까요? 22 하하 2012/03/03 10,567
80070 넘 비싸서 버스 타고 장 봐야겠어요 ㅠㅠ 2 대형마트 2012/03/03 3,010
80069 음악듣기 랩 무료로 사용하고 싶어요 2 앱찾아요 2012/03/03 1,819
80068 커피가 정말 피부에 나쁜가요? 4 커피냐 피부.. 2012/03/03 6,821
80067 맥북사려는데 7 따스한 빛 2012/03/03 2,494
80066 큐브수학 풀리는분들 이책 좋은점이 뭐라 보시나요 상위권잡는 2012/03/03 1,818
80065 도가니탕 끓였는데요.. 6 맛있긴 해요.. 2012/03/03 2,463
80064 자방간에 대헌 정보를 공유햇으면 합니다. 3 파란하늘 2012/03/03 1,853
80063 귀국하는 언니가 냄비세트 사온다는데요 살까요 6 귀국 2012/03/03 2,788
80062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아침에 버스 타고 천안 가보신 분 3 BMG 2012/03/03 2,076
80061 판교 살기 좋은가요? 1 이사 2012/03/03 4,258
80060 3월말의 오스트리아는 여행하기 어떤가요? 5 모차 2012/03/03 2,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