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동산에 대해서는 인터넷 여론과 정반대로 하면 됩니다.

여기서는 조회수 : 2,864
작성일 : 2012-02-27 17:54:39

입으로는 노벨 경제학상 수준의 해박한 지식인들 말 듣다가

주변에 전세난민 많이 봤습니다.

2002년도에 2억에 전세1억주고 집살때도 주위 반응은 미쳤다..로 시작.

언제나 난리지만.

결국은 다 오름.

주변에 비슷하게 집산사람들 평균 집값 6-9억사이 찍고..

그때부터 해박한 지식뽑낸 사람들

서울에서 경기도로 전세난민 됬서요.

가만이 공통점을 보면

집산 사람은 시장에 겸손하고 믿음이 있고

안산 사람은 자신의 경제지식을 뽑내고 해박하다는 착각에 빠짐.

결국 다 땅을 치고 후회

다 전세난민되거나 월세 유랑민 되더이다.

지금 벌써 소형평수 조금씩 오르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예측하는 말은 절대 무시하고..

자기수준에 적당한 집사는게 정답.

IP : 222.112.xxx.18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27 6:12 PM (121.88.xxx.90)

    막상 살려고 알아보니 큰차이도 없고..어디가 많이 떨어졌나요?
    전세는 매매가에 육박하고..자기 수준에 맞게 한개 사서 사는게 정답..옳소

  • 2. ...
    '12.2.27 6:21 PM (175.193.xxx.110)

    아니 여러채도 아니고 내가 살집은 있어야 하죠? 안그런가요? 다 오르는데 어찌 집값만 하락이 될까요?
    전월세 해마다 오르는건 괜찮나요? 잘 생각 했으면 좋겠네요.

  • 3. .....
    '12.2.27 6:21 PM (115.140.xxx.126)

    지금 하우스푸어로 고통받는 분들도 더 늦기 전에 대출 댕겨 집 사야 한다는 (인터넷)여론을 따른 경우에요.

    집구매와 같은 큰 재산상 결정은 그냥 '각자' 잘 알아서 판단하면 좋겠네요.

  • 4. 래리네
    '12.2.27 6:53 PM (128.208.xxx.57)

    정말 땅을 치고 후회하는 사람들은 뒤늦게 사는 사람들이죠. 것두, 원글님 말씀대로, 살 집도 아닌데, 투자 목적으로요. 오히려 일관되게 잘 난척 하면서 안 사는 사람들은 차라리 훨 나아요. 지금 조금씩 오르는 데 있어도 급하게 오를 일 없으니까, 천천히 관망하면서 자기가 오래 살고 싶은 집 능력에 맞춰 사는 게 정답이라고 봅니다.

  • 5. .........
    '12.2.27 6:59 PM (182.208.xxx.67)

    제가 볼때 살 사람들은 다 샀습니다.

    그나마 부분적으로 인기가 있는 지역이 있는 건 기존 주택가진분들이 그 지역으로 가려니 그런 것이고
    중상층 이상 집 구매욕이 있는 분들은 다 샀습니다.

    전에 어떤 댓글에도 적었는 데 연봉 1억이 넘어도 집 안살 사람은 안사요. 그 사람들은 집없어도 땅을 칠 사람들도 아닙니다.

    그럼 나중에 어떤 사람들이 땅을 치느냐... 돈도 없고 집도 없는 사람이죠.
    그런데 그 사람들이 무슨수로 집을 삽니까?

    요즘에는 애도 많이 안낳고 하니 이사철도 실종이라 하죠. 세상이 그렇게 되가는 거죠.
    앞으로 더 심할 겁니다.

  • 6. .........
    '12.2.27 7:03 PM (182.208.xxx.67)

    2002년이나 그이후 몇년간 집값 급상승한 시기와 지금을 비교하기 힘든게

    그때는 마지막 베이브붐 세대 70~80년 사이 출생자들이 집을 사야할 시기였으니 그렇죠.(저포함...ㅎㅎ)

    그런때가 다시 오기는 힘들겁니다.

    지금 인구 구성비도 7~80년 출생자가 제일 많아요. 이후로는 격감 더 격감.....ㅜㅜㅜ

  • 7. 선거철
    '12.2.27 7:17 PM (121.166.xxx.168)

    부동산 가격 띄우기 시작이군요.
    출마자들이 선거 파파라치들 때문에 돈도 맘대로 못 쓸 겁니다.

  • 8. 하우스푸어.........
    '12.2.27 7:37 PM (116.127.xxx.24)

    예견된 재앙이지요.
    부동산 경제란 것처럼 허황된 경제는 없다고봅니다.
    이 넘의 정부는 미쿡 형아의 모기지론사태를 보고도 여전히 복부인을 양성하려고 한다눈..... -_-;;
    집은 재테크가 아닌 말그대로 마이 스윗 홈...이어야한다고 봐요.

  • 9. ...
    '12.2.27 8:21 PM (109.144.xxx.247)

    흠......실거주 용도라면 하나 있어도 좋겠죠. 어차피 전세를 살건 월세를 살건 주거비용은 지출되게 되어있으니까요. 하지만 투자목적이라거나 대출 30%이상 끼고 사는 건 별로~ 메리트가 없을 듯 합니다.

  • 10. 시기가 문제
    '12.2.27 10:28 PM (211.201.xxx.227)

    가격이 영원히 안오른다는게 아니고요. 경제주기가 있는데, 시기의 문제죠.
    더군다나 2000년초반과 현재를 비교하시다니~

  • 11. 집한채
    '12.2.28 12:25 AM (1.245.xxx.178)

    실거주목적으로 순수 100%자기돈으로만 집을 산다면 누가 말리겠습니까..
    무리하게 빚내서 은행 좋은일 시켜주니 그렇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9354 샤워헤드가 고장났는데, 부품만 있으면 집에서 교체가능한가요? 5 돈들까요? .. 2012/03/01 1,234
79353 오늘 여진구가 갑이네요.... 22 ㄱㄱ 2012/03/01 4,601
79352 방금 양명군 마지막대사좀 알려주세요 9 mika 2012/03/01 3,083
79351 손가락이 너무아파요(식당일을 너무 많이해서~) 13 nn 2012/03/01 4,588
79350 건조해서 갈라지는 손끝에 좋은 핸드크림 뭘까요.. ㅜ 14 핸드크림 2012/03/01 6,997
79349 세식구에 김냉 없는 집은 양문형 냉장고 몇 리터 사용해야 할까요.. 2 질문 2012/03/01 1,057
79348 미국에 가서 사오면 좋은것들 뭐가 있을까요? 5 3월이다 2012/03/01 2,815
79347 김문수 "가장 좋아하는 별명? 119 도지사".. 11 세우실 2012/03/01 1,740
79346 쟈스민님 1 궁금한거 2012/03/01 1,810
79345 여동생에게 남편에 대한 불만 이야기하는 것.. 도움이 될까요.... 6 ... 2012/03/01 1,611
79344 뭘 바라나?? 1 질린 토마토.. 2012/03/01 606
79343 스마트폰을 속아서 샀어요 5 어쩌죠 2012/03/01 1,766
79342 오늘 아이운동화를 사줬는데요 21 하늘 2012/03/01 3,782
79341 학교 운영위원회가 하는 일이 어떤 건가요? 5 궁금 2012/03/01 2,180
79340 딴지에서 서점 차렸네요~ 8 ... 2012/03/01 1,771
79339 담양 관방제림 매점에서 뚜껑 딴 음료 교환한 애기엄마아빠.. 6 그러지마세요.. 2012/03/01 2,033
79338 나이어린 상사. 간만에 술을 마시게 만드네요. 4 아줌마 2012/03/01 1,990
79337 한미FTA에 날개 단 의료민영화(돈없는사람은 아프지도 말아야할 .. 2 빈곤층 2012/03/01 906
79336 해품달 진구 연기 잘하네요.. 21 .. 2012/03/01 3,210
79335 [펌] 박원순 시장의 재건축 탄압...에 대해..모두 읽어보세요.. 8 뭐라고카능교.. 2012/03/01 2,129
79334 치실 사는곳 12 신선 2012/03/01 3,062
79333 (부탁드려요)부산 치질수술 잘하는 병원 좀 알려주세요.T.T 3 궁금해요. 2012/03/01 10,960
79332 daum 게임에만 들어가면 컴이 멈춰요..ㅠㅠ 1 골라골라 2012/03/01 747
79331 오늘 창원이마트 푸드코트에서 무개념 엄마들 6 아이교육 2012/03/01 4,232
79330 여권에 누구부인인지 표기되어 있나요? 20 여자의 경우.. 2012/03/01 3,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