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 큰아이와 한방에서 자는 것 조언바랍니다

아이의잠자리 조회수 : 4,141
작성일 : 2012-02-21 09:36:00

시댁에 같이사는 대가족입니다

우리4식구에게 할당된 방은 큰방 하나입니다

큰아이가 이제 중1되지만 따로 방을 줄수 없어

거실에 책장으로 파티션을하고 침대를 넣어 줬는데

거기서 자는걸 좋아하지 않습니다

제가 보기에도 아파트이긴하지만 겨울엔 춥고 휑하고해서

겨울동안은 또 같이 자고 있습니다

아직 사춘기는 오지 않았고 엄마랑 자는걸 아직도 좋아합니다

이부자리는 따로 잡니다

 이제 중학생이되니 네 침대로 건너가 자라고 하니

눈이 벌게져요

반은 농담이지만 따로자라고 하면 엄마가 자기를 안 사랑하는거 같대요 --

저는 일찍 떨어뜨려 재운다고 독립심이 생길까에 의구심을 갖는 사람이고

그보다 더 중요한건 안아주고 쓰다듬어주는 스킨쉽이라고 생각했는데

떨어뜨려야할 시기를 놓쳐버려 아이가 힘든거 아닌가 싶습니다

심하진않지만 약한 틱증세가 있어 아이의 심리상태에 많이 신경씁니다

원할때 떼어놓자 그땐 제발 엄마옆에 있어 달라해도 뿌리치고 갈꺼다

이런마음이었는데

마마보이를 만드는건 아닌지...어떻게 해야할지

아 부부의 일은 알아서 슬기롭게 해결하고 있으니 그 쪽은 패쓰~해주시고^^

상담부탁드립니다

 

IP : 175.207.xxx.130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2.2.21 9:40 AM (211.237.xxx.51)

    마마보이를 만드는건 이라고 하는거 보니 아드님인 모양인데..
    아마 시간이 좀 지나면 나아지긴 할겁니다.
    남자애들은 사춘기가 좀 느린 편이니깐요..
    사춘기에 접어들면 같이 자자고 해도 절대 같이 안잘겁니다 ㅎㅎ

    거실에 파티션을 놨다고는 하나 아무래도 방하고는 분위기가 다르다 보니 ..
    안방에서 자고 싶어하나보네요..

  • 2. 저도
    '12.2.21 9:41 AM (110.14.xxx.164)

    같은 침대 아니고 아래에 이불깔고 재웠어요
    지금은 아이방에서 같이 자기도 하고요
    더구나 아이 방이 마땅치 않다니 같이 재우셔도 될거 같아요

  • 3. 저도.
    '12.2.21 10:01 AM (218.232.xxx.35)

    저도 아들이 중 1학년 2학년 될 때까지 델구 잤어요.
    제 방이 있었는데도 왠지 불안해하면서 안방으로 들어오더니
    어느날 부터인가 제 방이 편하다고 가더군요.
    영원히 엄마랑 같이 자는 애는 없으니까 맘편하게 두세요.
    저도 야동을 보거나, 밤에 엄마 몰래 게임을 하거나, 숨겨야할게 많아지면 독립해서 나가요. ^^

  • 4. 물음표님
    '12.2.21 10:02 AM (175.207.xxx.130)

    따로 빼올 방은 없구요...

  • 5. 억지로 하는것보다
    '12.2.21 10:05 AM (175.207.xxx.130)

    자연스러운것..때가 되면...이렇게 생각하고 살지만 경험도 정보도 없을때는 이게 맞을까하는 의심이 생기는 첫아이를 키우는건 힘든거 같아요 그에비해 둘째는 거저구요

  • 6. 앗!점두개님
    '12.2.21 10:22 AM (175.207.xxx.130)

    마치 우리집에 와서 직접 보신것같은..터울 많은 동생과 경쟁적 우호관계 맞구요 동생 보고나서 사랑 뺏기지 않으려고 애교가 더 많아졌어요 아직도 제무릅에서 둥게둥게 하는거 좋아하구요 물론 등치는 산만해 제무릅이 차고 넘칩니다만
    저도님~
    우리애만 그런게 아니네요
    경험담이 저를 안심시켜주네요 감사^^

  • 7. 동감
    '12.2.21 10:25 AM (121.200.xxx.172)

    울아들도 중1되는데도 혼자 못자요
    엄마랑 자는게 소원이래요
    절대 자기방에서 안자고
    아빠랑 잡니다
    저만 혼자자고...
    언젠가는 혼자 자는 날이 오겠지하며 기다리는 중입니다

  • 8. ***
    '12.2.21 10:46 AM (219.248.xxx.50)

    조금만 더 기다려보세요.
    같이 자자고 해도 안 잡니다.

    울아들, 외동이라 그런가 중3 때까지도 천둥치고 비오는 날 같은 때 새벽에 안방으로 오곤했어요.
    근데 고등학생 되고는 한 번도 그러지 않더군요.

    저는 그냥 새벽에 베개들고 오면 팔베개도 내어주고 그랬어요.
    다 한 때이니까요.

  • 9. ..
    '12.2.21 10:50 AM (119.202.xxx.124)

    에구. 분가하실 상황이 안되나요?
    무슨 대책이 필요해보이네요.
    방하나에 4식구는 더이상 무리라고 보입니다.
    애를 위해서도 당연히 따로 재워야 되구요.
    더구나 부부 사생활은 어째요?

  • 10. 초원
    '12.2.21 12:01 PM (180.71.xxx.78)

    우리 딸들도 엄마랑 자는걸 엄청 좋아 하는데
    아빠는 허락 안하더라구요.
    잠은 엄마랑 아빠랑자고 너희들은 각자 방에서 자는거다라고.
    저는 좀 크면 같이 자자고 애원해도 안할텐데 애들이 엄마아빠
    찾을때 한번씩 재워주자 해서 토요일로 날을 정해서 함께자곤 했어요.
    아빠가 집을 비우게 되는 날은 아이들이 엄마 침대로 바로 쳐들어왔지요.^^
    그 아이들이 지금은 대학생이고 직장인이고 한데 가끔 일년에 몇번 아빠 안계실때
    침대에 누워 티비보다 잠들면 함께 자는데 일부러는 같이 잘려고 안해요.
    부모품 찾을때 실컷 품어 주시라고 하고 싶네요.

  • 11. 제 동생 아들이
    '12.2.21 12:10 PM (221.138.xxx.17)

    님 아들 같은데...
    제 동생네는 여유 방이 있는데도
    아들 둘이 안 떨어질라 하네요.
    문제 있다고 봅니다.
    중 2 중 1 올라가는데...
    님은 상황이 그러니 어쩔 수 없다고 해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3630 돈 모으기 참 힘드네요 8 .... 2012/03/12 4,538
83629 파일업로드 ?? 2012/03/12 1,307
83628 고향이 강정 마을 사람이 1 .. 2012/03/12 1,176
83627 분당 혼주 메컵과 헤어 새리vs정현정파라팜??^^ 혼주 준비중.. 2012/03/12 1,529
83626 게시판이 갑자기 깨끗해졌네요 7 지나 2012/03/12 2,228
83625 신세계 영등포 주변 1 된다!! 2012/03/12 1,487
83624 분당에서 한국 민속촌 가는법 아시는분.. 5 00 2012/03/12 2,019
83623 급질)중국라텍스 어떤가요??여행가신 부모님의 전화~~ 3 @@ 2012/03/12 6,281
83622 나이가 들은건지 국악이 좋아져요 ㅎㅎ 7 ㅎㅎㅎ 2012/03/12 1,797
83621 안철수, MBC 파업 지지 선언 "진실 억압 안돼 4 밝은태양 2012/03/12 1,931
83620 나물이나 볶음요리할대 들깨가루 넣는 들깨 어디서 구하나요? 8 궁금 2012/03/12 2,253
83619 핑크싫어님 프로그램으로 돌리시는건가요? 20 시즐 2012/03/12 2,209
83618 산부인과 초음파 비용은 어느정도 하나요? 6 초음파비 2012/03/12 4,887
83617 애기같은 목소리 부러우세요? 12 ... 2012/03/12 4,215
83616 조선일보, 여권분열 찢어지는 마음 '야권연대' 비난으로 달래나?.. 그랜드슬램 2012/03/12 1,603
83615 닥치고 뛰어라.... 2 .. 2012/03/12 1,323
83614 장거리운전..제가 할 수 있을까요? 4 내가니에미다.. 2012/03/12 2,076
83613 고딩자녀두신분들, 고1에게 돈을 얼마 줄까요? 3 농수 2012/03/12 2,066
83612 영화'화차'보았어요. 13 *^^* 2012/03/12 6,385
83611 햄스터 키우는 재미가 없네요. 14 정도 안생겨.. 2012/03/12 4,918
83610 울 아기 발달사항 좀 봐주세요...꼭이요. T.T 21 내 아가야... 2012/03/12 3,865
83609 자녀 셋 이상 ‘多産가정’ 급증, 27년 만에 최고 15 다산가정급증.. 2012/03/12 3,185
83608 (끌어올림)두 아이 출산하고 탄력잃은 뱃살도 근력운동으로 해결이.. 2 출산 2012/03/12 2,402
83607 김경준 기획입국설 '가짜편지' 신명씨, "3월말 귀국&.. 단풍별 2012/03/12 1,263
83606 물먹어 까맣게 된 마루 색깔이 원래대로 돌아올 수도 있나요? 6 집주인 2012/03/12 3,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