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0년 지켜온 예금자보호법 원칙 무너져

뭐가뭔지 조회수 : 2,099
작성일 : 2012-02-10 14:38:17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20210115105398
 
???
IP : 58.226.xxx.18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2.10 2:40 PM (121.161.xxx.231)

    ㅅㅂ 지네들이 다 해쳐먹고 돈은 또 우리가 내야되는군..아놔ㅋㅋㅋㅋㅋ

  • 2. 당연히
    '12.2.10 3:08 PM (121.147.xxx.151)

    원칙 적용해야지요.
    한도 이상을 저축은행에 예금하는 이유는
    이자를 더 받으려고 만약의 수에 피해볼 것도 생각하고 있는 건데
    한도 이하밖에 예금 못하는 돈 없는 사람들이나
    분산투자의 불편을 감수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골탕먹게 생겼네...
    원칙이 없는 세상이 되면 날파리 쥐떼만 좋은 세상이 되건만

  • 3. 결정된거 아니죠?
    '12.2.10 3:20 PM (112.168.xxx.63)

    이건 말도 안돼는 거죠.
    법도 필요없고 아무 원칙도 필요없는게 되잖아요.

    내가 왜 남의 예금까지 책임져줘야 하냐고요.
    완젼 미친것들이에요.

  • 4. 눈팅
    '12.2.10 3:59 PM (210.108.xxx.55)

    저축은행 사태는 정부의 책임도 일정부분 있어 보입니다.
    금융감독원 검사때 부실을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고 허위공시할 수 있도록 도와준 꼴이니까요
    만일 이런 일이 미있국에서 발생하였면 아마 정부가 전액 보장해줘야 할수도 있습니다.
    이번 저축은행의 경우는 원래 5천만원까지는 예금보장이고 초과붕에 대해 55% 보상하는 걸로 되어 있습니다. 본인 책임도 45% 지게 되니까 예금자도 여전히 피해 많이 보게 되죠
    참고로 어제 미국에서는 개인들의 모기지론 피해에 대해 5개 대형상업은행과 정부간에 260억불의 벌금에 합의하였습니다. 30조원의 거액입니다. 은행의 명확한 책임은 없지면 차입자를 올바로 계도하지 못한 책임이라고 할까요...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경우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죠. 개인은 정확한 재무제표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정부가 감독권자로서 금융기관에 대한 올바른 감독이 필요한거죠
    이러한 차원에서 정부의 책임을 인정하는 것 (궁극적으로는 세금이고 잘못된 정부를 둔 국민들의 비용이겠죠)은 어느정도 합리적이라 판단됩니다. 정치적으로 해결된게 문제이긴 하지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1163 백화점 양복as에 대해 2 가을날에 2012/02/10 1,235
71162 저 인간..이 이혼하자는데요... 4 이혼... 2012/02/10 3,697
71161 조인성 뭐가 달라져 보이는데 뭔지 모르겠네요. 37 ... 2012/02/10 14,637
71160 너무 많은걸 바란건가요? 마지막의 서.. 2012/02/10 1,145
71159 이런경우처음이라 2 장터에서 2012/02/10 1,190
71158 가까운 거리의 이사 6 고민 2012/02/10 2,195
71157 오늘 위탄 하나요? 5 위대한 탄생.. 2012/02/10 1,150
71156 대통령 욕을 자기 집 강아지 욕보다 심하게 한다.…" .. 22 호박덩쿨 2012/02/10 2,527
71155 sbs에서 하는 y 보신분 있으세요? 6 무섭네요 2012/02/10 2,687
71154 네스프레소 할인 2 ... 2012/02/10 1,432
71153 어린이집 장난감은 다 더러운가요...? 4 짠한마음 2012/02/10 1,531
71152 혹시 이런건 파는데 아시는분 2 하늘 2012/02/10 1,408
71151 베란다에 둔 감자 얼었어요 ㅠㅠ 1 버려야하나요.. 2012/02/10 1,928
71150 난방비 0원 나왔더니 관리실서 전화가... 27 난나 2012/02/10 14,792
71149 건포도 만들 때, 설탕 넣나요? 2 궁금이 2012/02/10 2,343
71148 3개월의 장기휴가~ 계획 좀 같이 세워주세요^^ 4 무한걸 2012/02/10 1,060
71147 아크릴 수세미 좋은가요? 7 궁금 2012/02/10 2,100
71146 전세일경우 세면대가 4 세면대 2012/02/10 1,404
71145 제주 금호 콘도 어떤가요? 3 제주도 초보.. 2012/02/10 4,043
71144 성경이 불경을 배꼈다는... 말... 12 종교전쟁하자.. 2012/02/10 3,763
71143 왜 대리점에서 교복수선을 안해줄까요? 5 수선 2012/02/10 2,373
71142 궁금한가요? 아이 성적표에 적힌 선생님 글로 인해 저만 2012/02/10 1,082
71141 브라 85/C컵이 많이 큰가요? 13 질문이요. 2012/02/10 7,147
71140 진동파운데이션 써보신분 어떤가요? 4 브리짓 2012/02/10 2,517
71139 나꼽살11 좀 올려주세요^^;; 1 ㅜㅜ 2012/02/10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