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상이 났을때 장례비용은 누가 내나요?

초상 조회수 : 8,353
작성일 : 2012-01-28 14:07:28
집안 초상시 장례비용은 자식들이 내는건가요?부조금은. 어머니가 다 가지시고 장례비용도 자식들이 내야 한다는데 이게 맞는건가요?차례음식 장만 비용도 아들들이 다 내는건가요?친정에서는 장례비용 제하고 남은돈 자식들 다 나눠줬고, (자식들 빚이라고) 차례비용이나 제사비용 친정엄마가 다 내고 우린 딸 아들 구분없이 엄마께 봉투만 드려요. 시댁과 친정이 너무 달라서 어렵네요.
IP : 112.152.xxx.13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28 2:08 PM (59.29.xxx.180)

    그렇다고 부조받는 걸로 장례치를 생각하는 것도 웃기지 않나요.

  • 2. 윗님
    '12.1.28 2:10 PM (59.86.xxx.217)

    일반적으로 초상나면 부조금으로 다 계산들해요
    그리고남으면 자녀들에게 돌려주던지 부모님드리던지하지요

  • 3. ㅇㅇ
    '12.1.28 2:12 PM (211.237.xxx.51)

    당연히 부조금으로 장례비용 대죠
    그래서 장례식장은 거의 현금결제를 많이 해요.
    남은거야 가족들이 의논해서 누굴주던가 나누던가 하지요.

  • 4. ㄱㄱㄱㄱ
    '12.1.28 2:15 PM (115.143.xxx.59)

    상조회사에서 해주는거아닌가요?저희는 그거 들어놨는데.

  • 5. 윗님
    '12.1.28 2:15 PM (125.133.xxx.197)

    부조금의 취지가 뭔가요?
    큰일을 치룰때 주위사람들이 힘을 보태주는 것이 아닌가요? 십시일반이라고?

    부조금으로 장례치르고 나머지는 부조금 관련된 지인들의 금액 파악해서 공평하게
    나눠 가져야 하지요. 그래야 나중에 그분들의 경조사 때에도 부조할것 이니까요.
    부조금이 사실은 공돈이 아니고 빚이 되는 거지요. 결혼식 축의금도 그렇고요.
    다 그동안 쌓았던거 인사받는거예요.

    형제들 중에 큰 부자가 하나 있다면 그분이 다 치를 수도 있지만
    우리 서민들은 다 협조해서 하는거지요. 어찌 그것을 어머니가 다 가지시나요
    혹시 어머니의 끼니꺼리가 없어서 그렇다면 몰라도.

  • 6. ...
    '12.1.28 2:17 PM (121.136.xxx.28)

    이런문제떄문에 요즘 상조회사 많죠...
    이번에 저희 이모할아버지 돌아가셨는데
    상조에서 척척 잘해주더만요..진짜 잘해주더라구요;;할거 아무것도없었음.

  • 7.
    '12.1.28 2:17 PM (183.116.xxx.249)

    부조로 장례비용 정산해요ᆞ 남는 건 상황에 따라 살아 계신 어머님이나 아버님 드리던지 의논해서 하고요ᆞ 시어머님은 생각이 많이 다르시고 욕심이 과하시네요

  • 8. ..
    '12.1.28 2:18 PM (59.29.xxx.180)

    그럼 나누는 비율은 어떻게 되는거예요?
    장남 앞으로 들어온 부주가 천만원, 둘쨰 앞으로는 7백, 셋째는 3백 그런식이면
    만약 장례비가 구백이 들었다면 각 3백씩 부담하고 각각 남는 거 주나요?

  • 9.
    '12.1.28 2:30 PM (183.116.xxx.249)

    일반적으로 얘기할 뿐이지 정해져 있는 건 없지요ᆞ 장례비용은 빼고 남은 돈을 비율대로 나눠 주는 경우도 있고 ᆞ
    저희 시댁은 안 나눠 주고 제사등 필요 경비로 예치해 둡니다

  • 10. ..
    '12.1.28 2:42 PM (222.121.xxx.183)

    집마다 다른데요..
    저희는 부주가 4천5백만원 정도 들어왔는데 장례비 쓰고 이것저것 했어요..
    상속세는 안나왔는데 상속 하느라 부대비용 들어가고..
    시아버지 돌아가시고 시어머니 혼자 사셔야하니 집 새로 고쳐드리구요..

  • 11.
    '12.1.28 2:53 PM (211.244.xxx.66)

    부조금으로 하죠 대게는..

  • 12.
    '12.1.28 3:09 PM (221.151.xxx.24)

    부조금으로 장례비 치르구요.
    나중에 정산할때...부조금 많이 들어온집은 조금 더 나누어 주면 됩니다.

    부조금으로 공평성 따진다면 형제들사이에 싸움밖에 더 나나요?

  • 13. ..
    '12.1.28 4:06 PM (125.152.xxx.184)

    부조금 누가한테 더 많이 들어왔네..어쩌네 하는 인간들이 있다는 게 놀랍네요.

    실제로 그런 인간들 있겠죠?

    할머니 돌아가실 때(5일장).......우리 아버지 일체....부조금에 관심도 안 뒀고....모든 건 큰아버지가

    알아서 처리 했는데...........그러고 보면 그런 돈에......관심 안 갖는 게 더 나은 거네요.

    윗님 댓글 읽어보니.....

  • 14.
    '12.1.28 4:29 PM (221.139.xxx.63)

    보통 부조금으로 해요.
    상조회에 들어있다고해도 부수적으로 들어가는 비용도 많구요.
    또 형제라도 각기 직업이나 상황에 따라 돈이다르게 들어오쟎아요. 보통 장례비 부조금으로 계산하고 나머지돈은 나눠 가지기도 하더라구요. 솔직히 각자 개인의 가정으로 돌아가면 가정에서 다 다른데도 부조금내니까 결국 그것도 개인마다 빚이나 마찬가지라고...
    남은돈은 형제기금으로 쓰거나 어머니 드리거나 뭐 그렇데도 하고, 나누기도 하구 집안마다 달라요,.
    그러나 보통 우리나라 어느집이건 부조금이 장례비용으로 들어가는집이 대부분일거예요

  • 15. 은현이
    '12.1.28 5:58 PM (124.54.xxx.12)

    4년전 엄마 돌아 가셨을때 남편과 밑에 동생이 대기업에 다녀서 그런지 부조금이 많이 들어왔어요.
    형제들이 많아 다 제각각 이었지만 이해 하면 하등 문제 될것 없더군요.
    부조금으로 장례비용 치르고 제사를 모시는 막내오빠에게 몰아 주기 위해 통장에 꼽아 두었어요.
    그것으로 오빠네 이자라도 받아서 제사 모시고 벌초 할때 쓰시라구요.
    글고 나중에 산소 다시 보강 한다고 해서 그때 쓸려구요.
    우리에게 들어온 봉투는 가져 와서 보관 해 놓고 있습니다.
    나눠서 가져 올려면 그것 나누는 것도 머리 아프고 형제 간에 의 상할것 같아요.
    예치해 놓고 가장 고생 하시는 분이 쓰시는것이 좋겠지요.

  • 16. yawol
    '12.1.28 7:49 PM (121.162.xxx.174)

    부조금으로 계산하는게 맞습니다. 서로 장례비용을 품앗이하는 것이거든요.
    5년전 저희 아버님 장례시에는 들어온 부조금으로 장례비용 정산하고,
    홀로 사시는 형수님 앞으로 들어온 부조금은 전액 형수님께 드렸고요,
    나머지는 어머님 계좌에 넣어드렸습니다. 물론 다른형제들은 안받았습니다.
    장례 이후에 발생하는 묘 개보수 비용하고, 묘지기 수고비는 원래 남은 자금으로
    펀드 만들어서 하는거라는데, 저희는 형제들이 나눠서 부담하고 있습니다.

  • 17. yawol
    '12.1.28 8:08 PM (121.162.xxx.174)

    형제들이 부담하는 이유는 계속 돈을 내면서 관심을 갖자는것입니다.
    부담이 없으면 관심이 없어져서 선산관리를 잊어버릴까 염려해서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9580 "개와 기자는 출입금지", 원조를 아십니까 샬랄라 2012/02/14 544
69579 가스렌지 위에 후드 청소는 어떻게 해야 깨끗한가요? 7 저도 2012/02/14 2,614
69578 임성한 작가가 진짜 평범한 여잔 아닌거 같아요 83 흠냐 2012/02/14 21,011
69577 무찜 어떻게 해야 맛있나요? 뭉글이 2012/02/14 472
69576 아이가 유치원을 옮기기 싫어하면 4 그림그려줘루.. 2012/02/14 1,141
69575 욕조안 찌든때 없애는방법 좀 알려주세요.. 16 청소못하는사.. 2012/02/14 4,841
69574 마포 근처 교정치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2 교정치과 2012/02/14 1,289
69573 지인의 딸이 서울대합격했는데요. 4년 장학금을 받고 들어간다고 .. 31 장학금은? 2012/02/14 20,160
69572 밥통 바꾸고 밥을 더 먹게되네요 8 2012/02/14 1,688
69571 얼굴색이 노란사람....핑크빛도는 피부로 바뀔수는 없나요? 4 얼굴색 2012/02/14 3,801
69570 정찬(배우),MBC노동조합 방문, 지지 성금 건네 10 koko 2012/02/14 2,089
69569 목걸이나 반지 살려면 어디로 가야 제일 저렴할까요? 귀금속 2012/02/14 653
69568 어떤님 글인지? 음식줄이려 스파케티 만드는 방법 쓰신분? 2 ... 2012/02/14 1,040
69567 [원전]비닐 하우스에 부착? 재생 프로세스 세슘 검색 참맛 2012/02/14 587
69566 남편한테 화가 난걸 아이들한테 풀고 있어요 ㅠㅠ 2 유치원도 안.. 2012/02/14 1,020
69565 급질! 잠실역에서 일원동 삼성병원까지 택시요금 어느 정도인가요?.. 13 2012/02/14 3,393
69564 에이스 침대좀 봐주세요^^ 2 ... 2012/02/14 1,063
69563 까만봄님 극세사 4 ,,, 2012/02/14 1,101
69562 내말 안듣는줄 알았는데 어느새 내말대로 하고 있는 사람..^^:.. 5 기분 이상 2012/02/14 1,740
69561 이혼관련해서요... 혹시 아시는분 조언좀..구할께요.. 4 꼬끼 2012/02/14 1,510
69560 리빙온데이(?) 고구마 주문했는데요?? 2 로즈마미 2012/02/14 440
69559 카이로페틱 강남에서 잘하는곳좀 추 천해주세여 1 카이로 2012/02/14 623
69558 종로쪽 선 보기 좋은 장소 3 중매 2012/02/14 824
69557 로또문의??? 5 ........ 2012/02/14 1,114
69556 82에서 배운 최고의 살림 팁 445 점심시간 2012/02/14 37,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