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분단비용이 많을까? 통일비용이 많을까?

safi 조회수 : 1,481
작성일 : 2012-01-22 20:29:18

*분단비용

분단되어 있는 기간 동안 계속해서 들어가는 비용이지요.  이미 60년이 넘도록 계속해서 분단비용이 들어가고 있고

앞으로도 들어가게 될텐데요. 군사비 지출이 무엇보다 가장 크죠. 대포사고, 전투기 사고 해병대 병사들이 밤새 서해를 지키도록 초소도 세우고, 북한군함이 상륙하지 못하도록 구조물도 세우고... ...

그리고 또 북한이 막고 있어서 우리가 동북3성으로 직선 비행을 못하니 항공비용과 물류비용등의 운송비가 불필요하게 계속 줄줄 세고 있지요.

물론 코리아 디스카운트 비용, 국제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경제가 저평가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북한이라는 위험요소 때문이라는 건 뭐 다 아는 사실이지.. 이 막대한 경제적 마이너스를 계산하면 군사비 지출한 것보다 더 많을지도 모르죠!?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문제도 아닌데 세계에 무슨 이상 기류라도 생기면 대한민국에 투자된 외국 자본이 제일 먼저 빠져나간다죠~~

분단상태를 지키기 위해서는 요런 비용들이 굵직굵직하게 계속 낭비된다는 것...

또한 전쟁에 대한 두려움, 공포감,

천안함 장병들의 생명, 북핵문제 등의 돈으로 계산 못할 무수한 비용과 희생이 분단비용으로 지출되고 있지요.

 

*통일비용

우선 중요한 것은 통일비용을 마치 북한을 남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비용으로 오해하면 안 된다는 겁니다.

그것은 통일비용으로 책정하는 것이 아니라 통일 이후에 생각해야 할 문제인겁니다. 요걸 생각하느라고 통일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통일 이후에 북한 경제를 어떻게 할 것이냐를 생각하다가 북한에 죽어가는 우리 동포들을 영영 구해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

통일은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 통일비용은 사람을 살리는 비용!

통일 이후의 비용은 어떻게 사느냐? 더 잘 사느냐의 덜 잘 사느냐의 문제라는 것!!

 

통일비용은 계속해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한시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이지만

분단비용은 통일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들어간답니다. 그리고 통일되고나면 분단비용으로 지출된 상당부분들이 무용지물이 되거나 폐기물처리해야 한다는 것.

그러나 통일비용은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남는 비용이지요.

대한민국 땅이 넓어지죠, 지하자원이 엄청나게 늘어나죠. 무엇보다 생명을 살리게 되니 말입니다.

 

쩐의 원리로도 통일이 분단보다 나은 것 같은데... 아닌가요???

IP : 220.79.xxx.69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정의부터 명확히
    '12.1.22 9:53 PM (123.243.xxx.112)

    분단 비용은 무슨 이유로 무엇무엇이고
    통일 비용은 무슨 이유로 무엇무엇인지부터 명확히 선을 긋고 정해야
    비교할 수 있지요.

    베트남이건 예멘이건 독일이건,
    나뉘었던 나라들이 통일한 사례들을 보면 통일 비용이 확실하게 천문학적이라는 건
    분명히 드러나 있는데,
    분단비용이란 건 실체가 명확하지 않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4762 여자 9급 vs.여자 교사 14 고민 2012/01/23 9,192
64761 별 거 아닌 말로 시어머니가 야속해요 ㅠㅠㅜ 18 ㅠㅠ괜히 서.. 2012/01/23 3,942
64760 30대중반..모터백스몰.블루와 핑크중 골라주세요~~ 3 aa 2012/01/23 1,839
64759 과일도 살찌는지 몰랐네요 3 ..... 2012/01/23 2,214
64758 가카와 함께 새해를 열어 보아요 1 가카와함께 2012/01/23 786
64757 필수화장품좀 알려주세요 1 화장품 2012/01/23 1,170
64756 저녁을 야채로 대신한다면? 6 야채 2012/01/23 2,429
64755 전에 고민글을 올렸었는데요..결혼할꺼 같네요.. 7 인연 2012/01/23 3,270
64754 집에 쟁여놓고 드시는 마른안주 어떤거 있으세요? 5 술꾼마누라 2012/01/23 2,671
64753 만0세 아기 세뱃돈 안 주시나요? 74 세뱃돈 2012/01/23 11,042
64752 방금 샐러리맨 초한지에서 백 여치가 든 핑크 가방 3 Bag 2012/01/23 1,597
64751 나이들며 바느질 점점 싫어질까요? 5 제대로 죽여.. 2012/01/23 1,534
64750 타이타닉 같은 감동적인 영화 추천좀해주세요 8 마크 2012/01/23 2,618
64749 백화점대접? 강북과 강남이 차이나던데요... 12 ㅇㅇ 2012/01/23 4,427
64748 글 내립니다 13 왕스트레스ㅠ.. 2012/01/23 12,159
64747 행순이맘 사용 하시는 분 ~~~~ 스위티맘 2012/01/23 1,124
64746 홍대랑 항공대 경영이랑 어디가 더 괜찮은가요? 2 123 2012/01/23 2,299
64745 질문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사실혼이라는 말인가요? 2 대학생 2012/01/23 1,806
64744 시어머니께 말하지 못한게 한개 있네요.. 7 말조심 2012/01/23 3,279
64743 명품가방 딱하나 산다면 뭐가 좋을까요? 6 딱하나 2012/01/23 3,749
64742 맛간장 만들어드시는분께 질문이여! 5 .... 2012/01/23 2,148
64741 경상도 원적지 집안의 지난 설과 이번 설의 정치얘기가 있는 풍경.. 3 zz 2012/01/23 1,542
64740 두살 많은 사람에게.... 17 존칭 2012/01/23 2,880
64739 명절날 용돈 드리기 어렵네요 2 purple.. 2012/01/23 1,408
64738 제사나 차례는 제주의 몇 대 까지 모시는 건가요? 8 제사 2012/01/23 3,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