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학교 때 미국에 1년 있을 수 있다면 몇학년 끝나고 갈까요??

america 조회수 : 2,794
작성일 : 2012-01-14 23:39:54

남편 직장에서 1년 정도 외국에 파견이 가능해요.

같이 데리고 갈 수 있는데 지금 애는 6살이구요...

초등학교 몇 학년 때 가는 게 아이 언어 배우는 데 효과적일까요??

저희 애는 기본적으로 영어에 관심이 있는 애이고 두 돌 전에 알파벳은 읽었어요.

어린이집에서 영어 수업 2번 정도 있는데 그 때 배운 걸 많이 기억하고 저한테 얘기해줘요.

저도 애 낳기 전 영어 강사였고 영어에 노출이 좀 있는 편이죠.

몇 학년 쯤 가는 게 좋을지 고민이 되네요. (생각하고 있는 지역은 뉴저지예요)

 

 

 

 

IP : 124.197.xxx.215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초등은
    '12.1.15 12:01 AM (118.217.xxx.152)

    2학년 1학기 마치고 가서 4학년 1학기로 1년 반 다녀오는 것이 제일 좋다고 하더군요. 그 전후로 맞추어서 1년 정도로 계획하지면 되지 않을까요

  • 2. ...
    '12.1.15 12:05 AM (84.145.xxx.50)

    몇살때에 가는것도 물론 중요할 수 있는데..

    그것보다 거 중요한 것이.. 어느 정도 준비된 상태에서 가느냐 인것 같아요.

    한국에서 준비가 잘 된 상태에서 미국에서 1년 있게 되면 ..그야말로 날개를 달 수 있지만..

    전혀 준비 없이 가게 되면.. 1년 동안 미국에서 배운 영어가.. 1년 한국에서 열심히 하는 아이들의 영어 수준에 훨씬 못 미치는 경우가 많지요.

    굳이 학년을 알고 쉽다면.. 일반적으로는 초등 4학년 정도엔 다시 한국 학교에 들어와야 앞으로 적응에 문제가 없다는 견해가 많으니..
    2학년이나 3학년때 가서 1년 있는게 좋겠죠.

    저도 신랑 일로 외국 나와 있는데... 큰아이는 영어유치원 3년에 초등 1학년을 한국에서 보내며 대치동 영어 학원을 매일 다녔었는데..
    이곳에 오자마자 의사소통에 전혀 문제 없이 바로 적응했구요. 1년이 지난 지금은 반 아이들과 문제 없이 잘 지내고 학교 활동도 잘하고 있습니다.

    반면 같은 나이의 준비 없이 온 한 한국아이는 저희보다 1년 먼저 와서 2년이 지났는데도 아직 ESL 과정을 매일 하고 있고 발음도 많이 부족합니다.

    간혹.. 전~~혀 준비 없이 가도 아이들은 6개월이면 다 뗀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제가 겪고 본 수많은 케이스들을 볼 때 준비된 상태로 와야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대 6살이니 2-3년 열심히 하시고 1년 다녀오시는 것이 기간 대비 큰 효과를 볼 수 있을꺼라 생각됩니다.

  • 3. 새날
    '12.1.15 12:34 AM (67.81.xxx.18)

    뉴저지 살고 있어요
    미국 초등 1,2학년은 거의 유치원 수준의 영어라고 생각 합니다
    영어 공부를 위해서라면 3학년 이후에 오는게나아요
    제 생각엔 한국 학기로 3학년 2학기에 오면 여기 3학년1학기에 입학하게 되는데....
    실은1년은 좀 짧습니다

  • 4. ..
    '12.1.15 1:09 AM (112.121.xxx.214)

    3,4 학년때가 제일 좋은거 같아요.
    너무 어리면 학교에서 배우는게 별로 없고요, 배워도 금방 까먹어요.
    5,6학년쯤 되면 이미 좀 늦은 감도 있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615 저희 형편에 조카들 용돈 얼마 정도가 적정한지 봐주세요. 9 고민 ` 2012/01/18 2,217
62614 朴의장 "수사결과 따라 책임..총선불출마"(종.. 1 세우실 2012/01/18 720
62613 회사 출퇴근 시간이 얼마나 되세요? 6 ,,,, 2012/01/18 1,955
62612 직장일과 집안일 다이어리 및 일정 관리.. 1 질문에맛들인.. 2012/01/18 1,124
62611 네이트 곽노현교육감 기사에 5 ㅠㅠ 2012/01/18 1,355
62610 이 원피스 좀 봐주세요. 3 2012/01/18 1,216
62609 시댁에 정말 잘하고 싶었는데.. 15년 후 이모냥이네요. 9 시댁 가기 2012/01/18 3,019
62608 저도 대기업 외벌이인데요.. 1 가계부 2012/01/18 3,816
62607 음식하면서 그때 그때 그릇씻는거요... 12 물낭비 2012/01/18 3,886
62606 선물 뭘로 해야 할까요..추천부탁~ 1 선물~ 2012/01/18 634
62605 호박 고구마 왜이리 비싸나요 ㅠㅠ 9 심해ㅠ 2012/01/18 2,995
62604 결혼전 입던옷들...??? 8 s 2012/01/18 2,106
62603 구입한 곶감을 하얗게 만들기 1 곶감 2012/01/18 955
62602 드럼 세탁기는 1 이상하다? 2012/01/18 822
62601 연봉이 얼마인가???? 3 디드로 2012/01/18 1,490
62600 여자아이 초등입학가방 이거 어떨까요?? 11 .. 2012/01/18 3,181
62599 스카이라이프 쓰시는 분... 1 .. 2012/01/18 1,023
62598 내남편의 씀씀이 그외--소비에 대한 생각 3 초코엄니 2012/01/18 1,550
62597 이제 양상추 못먹겠어요 ㅠㅠ 32 나라냥 2012/01/18 13,647
62596 집안에 용띠가 3명이면 정말 좋은걸까요? 12 궁금 2012/01/18 15,648
62595 유시민 노회찬의 <저공비행 1탄> 필요하신 분 손드세.. 3 깨룡이 2012/01/18 1,075
62594 (급합니다)서래마을에 교수님과 식사할 곳 있을까요? 9 윤쨩네 2012/01/18 1,555
62593 아침에 몇시에 일어나세요?? 8 ... 2012/01/18 2,349
62592 왜 싹난 감자는 주셨을까요? 40 이해하기 2012/01/18 4,991
62591 선물뭐해야하나요? 2 고모 2012/01/18 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