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설겆이 흐르는 물에 하세요 아니면 담은 물에?

어떻게들 하세요 조회수 : 3,218
작성일 : 2012-01-10 09:06:14

 

저는 설겆이할때 흐르는 물에 하거든요.

물 받아서 그릇 담궈두는 바가지? 같은건 아예 안써요..

왠지 물이 고여있으면 더러운 것 같고

그래서 항상 물을 틀어놓고 흐르는 물에 씻고, 헹구고 하는데

시댁은 꼭 바가지에 물을 담고 그릇을 담궈두고

세제를 풀어서 그 물 안에서 씻고

헹구는 것도 물을 담아 헹구시더라구요.

참, 저는 세제도 안쓰고

기름기는 키친타월로 닦아낸 뒤에

아크릴 수세미로 물로만 설겆이를 하구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들 하시나요?

 

IP : 163.152.xxx.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0 9:07 AM (14.55.xxx.168)

    저도 흐르는 물에 할때가 많은데 사실 물 낭비가 심해서...

  • 2. ㅇㅇ
    '12.1.10 9:10 AM (211.237.xxx.51)

    씻을때는 담아서 헹굴때는 흐르는 물에
    물도 아껴야죠..
    씻을때부터 그러니까 수세미질 할때부터 흐르는 물에하면 물이 아깝죠.
    수세미질 한다음에 헹굴때는 흐르는 물에 헹구면 물도 아끼고 설거지도 깨끗하게 할수 있어요

  • 3. ,,,
    '12.1.10 9:13 AM (110.13.xxx.156)

    대부분 집에서 바가지에 물 담고 그릇 담궈두고 세제 풀어서 씻고 헹구는것만 흐르는 물에 헹궈요.
    물 줄줄 틀면 그릇 불지도 않고 물낭비 장난 아니잖아요
    홍보도 많이 하는데에 바가지에 물담고 그릇 씻으라고.
    세제 안쓰면 냄세 않나나요?
    어떤집 가면 컵에서 냄새가 많이 나는데
    그런집 보면 물로만 씻더라구요. 환경을 위해서는 그래야 하는데
    본인들은 모르는데 그릇에서 아크릴 수세미로 해도 미끈거리고 냄새나요

  • 4. ...
    '12.1.10 9:13 AM (218.49.xxx.229)

    그게 담궈서 하는 게 물절약이 돼서 그래요.
    저도 세수건 설겆이건 흐르는 물에 하는 게 위생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사실 그렇지도 않은 것 같구요.
    저희 오빠가 환경쪽 전문가인데 설겆이 시키면 물을 아끼느라 쫄쫄쫄 틀어놓고 하는 거 보고, 저도 절약하려고 노력해요.

  • 5. 저도
    '12.1.10 9:13 AM (121.158.xxx.184)

    씻을때는 담아서..헹굴때는 흐르는물에

  • 6. ..
    '12.1.10 9:14 AM (211.104.xxx.166)

    당연히 물에 담궈서 세제로 씻은다음 흐르는물에 헹구는거겠죠
    사실 헹구는물이 아깝긴하지만 흐르는물에 씻지않으면 게운치가 않더라구요

  • 7. >>
    '12.1.10 9:14 AM (203.152.xxx.158)

    저도 씻을때는 담아놓은 물에, 헹굼은 반드시 흐르는 물에 재빨리.

  • 8. ..
    '12.1.10 9:15 AM (211.104.xxx.166)

    저도 세제안쓰면 그릇에서 냄새나던데요
    특히 생선같은거 먹은날에..

  • 9. ..
    '12.1.10 9:30 AM (211.253.xxx.235)

    담가서 불린 후에 세제하고 1차 헹구는 것도 물 받아서 하고
    최종 헹구는 것만 물 틀어놓고 하는데요.
    설거지 계속 물 틀어놓고 하면 물낭비 엄청나요.
    그리고 아크릴수세미로만 하는 거 자원절약, 환경보호라고 하지만
    기름기 닦는 키친카올이 더 환경오염이고
    물로만 씻는 그릇 냄새나던데요.

  • 10. 나나나
    '12.1.10 9:37 AM (125.186.xxx.131)

    전 일단 그릇들을 애벌로 한번씩 헹구고, 세제로 닦은 후에, 흐르는 물에 닦아요;;; 다음에는 좀 더 아끼는 방법으로 해 봐야 겠네요.

  • 11. 22
    '12.1.10 9:37 AM (175.207.xxx.35)

    담가서 불린 후에 세제하고 1차 헹구는 것도 물 받아서 하고
    최종 헹구는 것만 물 틀어놓고 하는데요.
    설거지 계속 물 틀어놓고 하면 물낭비 엄청나요.
    그리고 아크릴수세미로만 하는 거 자원절약, 환경보호라고 하지만
    기름기 닦는 키친카올이 더 환경오염이고
    물로만 씻는 그릇 냄새나던데요.

  • 12. 네네
    '12.1.10 9:38 AM (115.140.xxx.84)

    먼저 그릇에 묻은 기름기 휴지로닦아내고 작은 설겆이통에
    뜨거운받아 세제조금풀어 그릇닦아줍니다.
    헹굼은 흐르는물에...

    그러면 세제도 절약되고 헹굼도 빨라 물도 절약

    저도 아크릴수세미쓰는데 세탁기돌릴때 한번씩 같이 돌려요. 따로 빨아야겠지만 귀찮 ㅋㅋ

  • 13. 저는
    '12.1.10 9:42 AM (116.121.xxx.125)

    세제로 한번 문지르고 담아논 물에서 헹주로 다시 한번 문질러서 세제깨끗이 없애고 쫄쫄쫄 흐르게 해놓은 물에서 헹궈냅니다. 쫄쫄 흐르는 물은 뜨거운 물로.....

  • 14. ...
    '12.1.10 10:19 AM (121.169.xxx.129) - 삭제된댓글

    저도 세제 뭍히고 받아놓은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로 최종헹구는데요...
    흐르는 물도 샤워로 하면 물낭비 진짜 심해요.
    하나로 흐르도록 해서 쓰면 좀 나아요.

  • 15. 제 경험
    '12.1.10 10:32 AM (115.140.xxx.84)

    통에 뜨거운물받아 세제쬐금풀고 그릇은 하나씩넣어 닦으세요.
    그릇왕창넣고 닦으면 복잡해서 닦기 불편해요. 작은통도 충분해요.

    헹굼질은 어쩔수없이 흐르는물에 하지만 세제가 조금묻었기때문에 헹굼질이 빨라져요.

  • 16. 밥퍼
    '12.1.10 10:39 AM (211.200.xxx.50)

    네네님이 저하고 같네요 뜨거운물에 세재 딱한방울 떨어뜨려서 .... 헹굼만 흐르는물에...

  • 17. jk
    '12.1.10 3:39 PM (115.138.xxx.67)

    물은 아끼지 않는지라.... ㅋ

    펑펑 흐르는 물에 감사하면서 펑펑 씀... ㅎㅎㅎㅎㅎ

  • 18. --
    '12.1.10 5:15 PM (1.245.xxx.111)

    일단 작은 공기 그릇에 세제 조금 풀어 물 섞은 다음 그걸로 그릇 닦아서 설겆이 통에 넣어요..그다음 흐르는 물에 하나씩 씻는데 세제가 필요없는 그릇 먼저 헹구는데 설겆이 통 바로 위에서 헹구면 세제로 닦은 그릇에 물이 저절로 차게 되면 대충 한번 헹굼셈이 되죠..그다음에 설겆이 통에 있는 세제닦은 그릇들 흐르는 물에 헹구고..설겆이 통은 다 차면 계속 버려주고 그럼 그 안에 있는 그릇은 저절로 헹굼질이 여러번 되니 마지막으로 흐르는 물에 헹궈도 금방 헹궈져요..최종 설겆이 통에 남은 물은 비교적 깨끗해서 개수대 한번 쫙 뿌려주고..그럼 설겆이 끝..설명하니 복잡한데..해보면 뭐..간단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616 새집증후군 야자** 효과 좋은가요? 2 후기 2012/01/27 1,693
62615 무청시레기 옆에 있는 광고에 나온는거 어떤가여? 3 무청 2012/01/27 719
62614 아들이 받은 첫번째 러브레터~ 4 그냥 2012/01/27 1,102
62613 부추무침(?)에 뭘 넣어야지 맛있을까요. 11 2012/01/27 2,658
62612 앞니 부러져 보험 5 치아 2012/01/27 1,382
62611 고양이 밥 집 9 달별 2012/01/27 905
62610 나만 구질구질하게 사는거같은 기분 9 이런기분 2012/01/27 2,963
62609 곽승준 "MB정부, 낙제점은 아니잖나?" 10 세우실 2012/01/27 1,047
62608 스키좋아하는 분에게 추천해줄 만한 카페없나요? 스키계절 2012/01/27 316
62607 재밌는 일드 하나만 추천해주세요ㅋㅋ 21 wodbsa.. 2012/01/27 2,328
62606 수학샘 계시면 좀 읽어주세요 5 ** 2012/01/27 926
62605 홈메이드 요거트 만들어 먹었어요. 10 stylet.. 2012/01/27 1,744
62604 아기는 일찍 낳는게 좋은건가요 ...? 18 .. 2012/01/27 3,233
62603 서울에 1억짜리 아파트 전세가 있나요? 11 ㅁㅁ 2012/01/27 2,806
62602 한라봉은 유전자 조작인가요? 1 지금 먹고 .. 2012/01/27 2,265
62601 미국드라마 추천해 주세요 9 14세 영어.. 2012/01/27 887
62600 방배동으로 이사가려구 하는데.. 8 이사 2012/01/27 3,851
62599 60되신 어머니와 같이 볼만한 한국영화 좀 추천해주세요 9 dd 2012/01/27 861
62598 가스차단기가 왜 이럴까요 3 빨간불 2012/01/27 4,125
62597 초등입학예정))책가방 뭐가 좋은가요? 7 .. 2012/01/27 1,146
62596 영등포 맛집이여~ 7 ^^ 2012/01/27 1,170
62595 전세계약시 전입신고관련 1 질문있어요~.. 2012/01/27 502
62594 연말정산에 동생 교육비와 부양가족등록을하려면 등본을 내야겠지요?.. 1 연말정산 2012/01/27 841
62593 비메이커 가구도 취소가능할까요? 가구 2012/01/27 389
62592 가족끼리 꼭 이 영화 보세요. 5 우리는 동물.. 2012/01/27 1,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