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육개장에 왜 미리 재료를 데쳐서 넣는 거에요?

이런.. 조회수 : 3,080
작성일 : 2012-01-09 22:34:18
육개장을 좋아하는데 키톡 보고 저도 직접 만들어볼까 토란대, 고사리, 숙주 등을 사왔어요. 
그런데 왜 모든 레시피에 미리 데쳐서 간을 해놓으라 하는 거에요?
다른 국은 육수 끓으면 재료들 그냥 넣잖아요. 미리 데쳐놓거나 하지 않고..

사실은..
.
.
.
레시피 무시하고 "어차피 국물에 들어가면 다 똑같아~" 이러고 풍덩풍덩 넣었는데 육개장이 써요. ㅠ.ㅠ 
토란대는 데친 토란대를 사왔고, 고사리도 잘 불려져 있는 거였는데, 
재료를 데치지 않아서 그런 건지, 아니면 고추기름 만들 때 태워서 그런 건지..
암튼 써요..무우까지 넣었는데..ㅠ.ㅠ 

내일 다시 한번 도전해보려구요. 쓴 이유가 미리 데치지 않아서인가요? 
IP : 218.234.xxx.17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침
    '12.1.9 10:35 PM (59.19.xxx.165)

    미리 데쳐서 넣어야 합니다 안그럼 쓴맛이 나요,,,그래야 더 맛있고요,,

  • 2. 토란대가 데친 거였는데..
    '12.1.9 10:37 PM (218.234.xxx.17)

    둘마트에서 데친 토란대를 사온 거였거든요. 그래도 그럴까요?

  • 3. 파..
    '12.1.9 10:42 PM (121.157.xxx.119)

    잎부분 미끈미끈한걸 데쳐서 다 씻어내시더라고요 시엄니는.

  • 4. 클라우디아
    '12.1.9 10:42 PM (112.165.xxx.116)

    전 데치지 않고 했는데, 괜찮았는데요.... 토란대는 건조된거 그냥 물에 담궜다가 팔팔 끓을때 모든 재료 넣었구요... 데치지 않아서 썬것은 아닌것 같아요.

  • 5. 허억...
    '12.1.9 10:42 PM (218.234.xxx.17)

    역시 토란대가 문제였군요. ㅠ.ㅠ 전 데친 토란대라 괜찮은 줄 알았더니..

    답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 6. 육개장메니아
    '12.1.9 10:46 PM (14.32.xxx.77)

    사람들과 똑같이 얘네들도 개성이 강한것 보다는
    한번씩 데쳐서 맛을 순하게 해준뒤에
    넣어야 조화로워집니다. 간만 잘하고 원래가 맛난고기
    를 넣고 어느정도 푸욱 끓여주면 맛나지요.
    싱거운것보다는 간이 제대로 되있으면 씹히면서 더욱 맛나요.
    데쳐서 하면 고사리는 더욱 부드럽고
    토란대는 그댈 넣음 먹으면서 목 아린걸
    느껴야 하는 경우도 생기구요. 파는 그냥 넣어도 되구요.

  • 7. 에휴..
    '12.1.9 10:49 PM (218.234.xxx.17)

    정석대로 내일 다시 한번 도전해볼께요~
    늦은 밤에 답글 달아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행복한 꿈 꾸세요~

  • 8. 마음이
    '12.1.10 7:35 AM (222.233.xxx.161)

    안 데치고 하면 시간오래 걸려서 별로더라구요

  • 9. ...
    '12.1.10 8:18 AM (220.120.xxx.92)

    저도 육개장 좋아해서, 육개장만은 밖에서 안사먹고 늘 제 입에 맞게 만들어 먹는데요..
    데쳐서 양념하면 양념이 채소에 잘 스며들어서라고 알고 있어요. 특히 뜨거울때 양념하면 더...
    파는 안에 끈적끈적한 진을 제거하고 넣으면 국물이 더 깔끔해지구요..
    여름엔 파에 진이 많아서 더 힘들다 했어요.
    파를 길게 자른 다음, 한쪽만 칼집을 넣어 평평하게 도마에 펼치세요.
    그리고 칼로 쓸듯이 진을 제거한 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 물로 헹궈서 국에 넣으면 그리 힘들지 않아요..

  • 10. 제발
    '12.1.10 2:35 PM (203.233.xxx.130)

    데친다는 것은 과도하고 머금고 있는 수분을 뺌과 동시에 (수분이 빠지니까 데치고 나면 적당히 흐물흐물해집니다) 과 날것일때 가지고 있는 지나치게 강한맛 (쓴맛, 풋내.) 을 빼내는 과정입니다.
    이는 거꾸로 하면 데치지 않고 바로 국에 넣으면 국물에 재료의 수분이 다 녹아나와서 국물맛이 밍밍해지고 날것이 가지고 있는 재료의 불필요한 강한맛이 국속으로 다 녹아들게 된다는겁니다. 이게 데쳐넣는 이유입니다. 제 경험상으로는 데치는것으론 부족하더라구요. 숙주만 데쳐서 넣고 고사리, 토란대는 데친것을 사서 따로따로 밑간을 해서 잘 볶아주고 대파도 한번 살짝 굽듯이 볶아준 후 넣으니까 맛이 겉돌지 않고 장례식장에서 먹는것처럼 (ㅎㅎ) 입에 붙는 육개장이 되더라구요.

  • 11. 제발
    '12.1.10 2:40 PM (203.233.xxx.130)

    저는 그래서 명절이나 제사뒤에 삼색나물중 고사리 무침은 바로 냉동실에 얼려버려요. 이미 데쳐서 볶은거라 육개장할때 얼린채로 바로 넣어버리면 편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594 부모님 성지순례(유럽쪽) 여행 보내드려보신분? 10 부모님 2012/01/27 1,724
62593 미혼녀인데요... 자꾸만 임신 출산하는 꿈을 꿔요. 3 stylet.. 2012/01/27 2,636
62592 영화-장화신은고양이 6 은새엄마 2012/01/27 1,358
62591 나는 왜이렇게 속이 좁을까...어떤 때 느끼시나요? 9 밴댕이 2012/01/27 1,857
62590 아 힘들다 힘들어 악마적본능 2012/01/27 510
62589 최시중 전격 사퇴 4 속보 2012/01/27 1,319
62588 최시중, 전격 사퇴..오후 4시 긴급 기자회견(2보) 1 세우실 2012/01/27 670
62587 맛있는 된장이요~~ 16 추천부탁 2012/01/27 2,568
62586 스텐냄비 옥시크린 넣고 끓이면 깨끗해지나요? 10 ... 2012/01/27 3,063
62585 sk인터넷사용하시는분... 1 인터넷 2012/01/27 496
62584 홍대근처 피트니스할곳..? ^^ 2012/01/27 1,411
62583 정부 잇딴 게임규제 방침에 업계 '당혹' 세우실 2012/01/27 610
62582 급}강북구 수유동 7 궁금 2012/01/27 1,441
62581 급급급))혹시 RedBull 이라는 캔음료수 아세요? 23 금액 2012/01/27 1,928
62580 피아노를 계속 쳐야 할까요....? 14 고민녀 2012/01/27 2,367
62579 우리애들 교육...너무 시대에 뒤떨어지는지.. 7 5세6세맘 2012/01/27 1,440
62578 서재에 만화책도 있나요? 7 하니 2012/01/27 869
62577 난폭한로맨스 너무 웃겨요.. 11 ㅎㅎ 2012/01/27 1,988
62576 50년간의 대북정책 진보.보수 비교 참맛 2012/01/27 422
62575 중학교 교복이요~ 8 학부모 2012/01/27 1,106
62574 교복사이즈.. 4 ㅎ ㅎ 2012/01/27 838
62573 제 꿈은 왜이럴까요? 2012/01/27 349
62572 초등학교 바로 옆동 아파트 많이 시끄러울까요? 13 제이미 2012/01/27 3,175
62571 화장품중에 "콜마"라는 회사 피라미드에요? 16 갸웃 2012/01/27 3,220
62570 아파트 당첨이 되었는데 망설여 지네요 좀 봐 주실래요? 7 ........ 2012/01/27 1,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