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첫걸음, 경제교육

hana 조회수 : 1,563
작성일 : 2012-01-09 10:55:29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첫걸음, 경제교육

 

 

어렸을 때부터 아이에게 경제관념을 확실하게 심어주어야 훗날

아이가 커서 몰래 엄마카드를 긁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답니다.

제 주변에는 그런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부모님 문자 와서 보면

아들 같은 경우는 게임머니를 사고, 딸 같은 경우는 옷을 부모님 카드로

샀다는 문자가 와있다구요. 한마디 상의도 없이 그러는 자녀들의 행동에

속 끓는 부모님들이 많으시데요.

그리고 경제관념이 없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부자가 될 수 없다는것은

다들 아시죠? 그렇다면 지금부터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시작!

우리 아이 경제교육 시켜주는 방법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01] 일을 해야 돈을 벌수 있다.

일을 해야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자.

어느정도 돈에대한 인식이 생기고 말을알아듣는나이라면

그냥 내버려두기 보다는 오히려 돈에대해 숨김없이 이야기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답니다.

아빠가직장에 다니는건 돈을 벌기 위해서고, 그 돈으로 가족들이 옷과 장난감, 책을  사고

음식을 사 먹을 수 있다는것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어리다면 부모가 귀가한 뒤 돈을 벌어왔다고 하며 돈을 보여주세요.

지갑에서 몇만원을 꺼내 오늘 번 돈이란다. 이 돈으로 내일 먹을 반찬과 과자도 살수 있어라고 말해주세요.

부모가 밖에 나가일을해 돈을 벌어온다는 개념만 열려주면 되요.

 

 

02 ] 가장 필요한 물건은?

아이의 기준에서는 호화로운 장난감이나 그렇지 않은 장난감이나 별로 다르지 않아요.

필요없이 화려하기만 한 고가의 장난감들은 사기전에 아이에게 꼭 필요한 물건인지

다시한번 물어보고 생각해보게 하세요.

아이들은 물건의 중요성이나 필요성과는 상관없이 자기가 원하는 모든 물건을 갖고 싶어 한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들도 아이 앞에서 충동구매를 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것이 가장 중요해요.

저의 부모님같은 경우는 굉장히 엄하셔서 장난감같은 것은 거의 사주지 않으셨어요.

쓰잘데기 없는(?)물건이라고 하시면서요.. ㅜㅜ 이 정도까지는 안하셔도 된답니다.

 

 

03 ] 미리 예산 정하기

소유의 대한 개념이 생기기 시작한 아이들은 마트는 천국과 다름 없어요.

떼쟁이 아이로 인해 사람들의 눈총을 받고 싶지 않다면 마트에서 가기 전에 쓸 수 있는

예산에 대해 미리 말해주세요. 예를들어

"오늘 똘복이는 5000원을 쓸 수 있어. 5000원이 넘어가는숫자는

사지 못하는거야" 라고 말하고, 예산 내에서 물건을구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가격표를 보면서 "10000원이나 하네. 5000원이나 비싸구나.

똘복이가 좋아하는 과자를 10개나 더 살수 있는돈이야." 라고 말을 하면서 가격비교 차이를

알려주며 아이는 각 물건이 가격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IP : 175.198.xxx.19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410 동부센트레빌에서 포름알데히드 등 발암물질 5배가.. 꼬꼬댁꼬꼬 2012/01/30 1,740
    66409 서너살짜리키우기가 더어린애기보다 힘든거 같아요.. 8 ㅎㅎ 2012/01/30 1,955
    66408 학생인권조례 찬반, 독일선 60년전 논쟁 3 참맛 2012/01/30 1,664
    66407 제가 대체 어디가 아픈걸까요? 5 ㅠㅠ 2012/01/30 2,285
    66406 혼차타는 첫운전. 2 오늘 2012/01/30 1,874
    66405 왼쪽 이와 잇몸이 아파요. 4 아파요 2012/01/30 3,022
    66404 1월 30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2/01/30 1,540
    66403 밤새 울었네요. 수유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까요? 12 혼합수유 2012/01/30 4,528
    66402 이 사람 왜 이래요? 1 강용석 2012/01/30 1,414
    66401 호텔방에서 남녀가 옷다벗고 있다가 걸려도 잡아뗍니다 9 남자들 심리.. 2012/01/30 5,016
    66400 도시지역 아닌 곳의 가사도우미는 어떤 경로로 구할 수 있을까요?.. 궁그 2012/01/30 1,389
    66399 홍대 브래드가든 매장 안 없어졌나요? 2 급질 2012/01/30 2,930
    66398 경험있으신분들의 댓글을 부탁드립니다. 3 두통 2012/01/30 1,516
    66397 수지 풍덕천동 진산마을 살기 어때요? 5 풍덕천동 2012/01/30 3,762
    66396 1월 30일 미디어오늘 [아침신문 솎아보기] 세우실 2012/01/30 1,564
    66395 캠리차 어떤가요? 8 질문질문 2012/01/30 3,221
    66394 티눈 제거 1 궁금 2012/01/30 3,137
    66393 아들침대 고르기 너~~무 힘들어요(무플은 더 힘들어요ㅠ) 10 김나 2012/01/30 2,814
    66392 중국어 입문 4 공부 2012/01/30 1,879
    66391 '아깝다, 아쉽다'와 '잘 됐다' 어느 말이 더 나을까요? 2 대학 합격생.. 2012/01/30 1,891
    66390 부자패밀리님.잘 걷는 팁좀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2 아리 2012/01/30 2,405
    66389 오븐요리?? 노하우좀 알려주세요.. 7 루비 2012/01/30 2,433
    66388 이외수 ‘돈봉투 연루자’에 일침 “뇌를 분실하셨나” 참맛 2012/01/30 1,497
    66387 다이어트 일기 1일 9 꼬꼬댁 2012/01/30 2,009
    66386 직장다니시는분들 영어공부 어떻게하세요? 3 영어 2012/01/30 1,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