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첫걸음, 경제교육

hana 조회수 : 692
작성일 : 2012-01-09 10:55:29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첫걸음, 경제교육

 

 

어렸을 때부터 아이에게 경제관념을 확실하게 심어주어야 훗날

아이가 커서 몰래 엄마카드를 긁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답니다.

제 주변에는 그런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부모님 문자 와서 보면

아들 같은 경우는 게임머니를 사고, 딸 같은 경우는 옷을 부모님 카드로

샀다는 문자가 와있다구요. 한마디 상의도 없이 그러는 자녀들의 행동에

속 끓는 부모님들이 많으시데요.

그리고 경제관념이 없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부자가 될 수 없다는것은

다들 아시죠? 그렇다면 지금부터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시작!

우리 아이 경제교육 시켜주는 방법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01] 일을 해야 돈을 벌수 있다.

일을 해야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자.

어느정도 돈에대한 인식이 생기고 말을알아듣는나이라면

그냥 내버려두기 보다는 오히려 돈에대해 숨김없이 이야기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답니다.

아빠가직장에 다니는건 돈을 벌기 위해서고, 그 돈으로 가족들이 옷과 장난감, 책을  사고

음식을 사 먹을 수 있다는것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어리다면 부모가 귀가한 뒤 돈을 벌어왔다고 하며 돈을 보여주세요.

지갑에서 몇만원을 꺼내 오늘 번 돈이란다. 이 돈으로 내일 먹을 반찬과 과자도 살수 있어라고 말해주세요.

부모가 밖에 나가일을해 돈을 벌어온다는 개념만 열려주면 되요.

 

 

02 ] 가장 필요한 물건은?

아이의 기준에서는 호화로운 장난감이나 그렇지 않은 장난감이나 별로 다르지 않아요.

필요없이 화려하기만 한 고가의 장난감들은 사기전에 아이에게 꼭 필요한 물건인지

다시한번 물어보고 생각해보게 하세요.

아이들은 물건의 중요성이나 필요성과는 상관없이 자기가 원하는 모든 물건을 갖고 싶어 한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들도 아이 앞에서 충동구매를 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것이 가장 중요해요.

저의 부모님같은 경우는 굉장히 엄하셔서 장난감같은 것은 거의 사주지 않으셨어요.

쓰잘데기 없는(?)물건이라고 하시면서요.. ㅜㅜ 이 정도까지는 안하셔도 된답니다.

 

 

03 ] 미리 예산 정하기

소유의 대한 개념이 생기기 시작한 아이들은 마트는 천국과 다름 없어요.

떼쟁이 아이로 인해 사람들의 눈총을 받고 싶지 않다면 마트에서 가기 전에 쓸 수 있는

예산에 대해 미리 말해주세요. 예를들어

"오늘 똘복이는 5000원을 쓸 수 있어. 5000원이 넘어가는숫자는

사지 못하는거야" 라고 말하고, 예산 내에서 물건을구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가격표를 보면서 "10000원이나 하네. 5000원이나 비싸구나.

똘복이가 좋아하는 과자를 10개나 더 살수 있는돈이야." 라고 말을 하면서 가격비교 차이를

알려주며 아이는 각 물건이 가격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IP : 175.198.xxx.19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216 야채기르시는 분이나 밭하시는 분 7 도와주세요 2012/01/26 1,045
    62215 입사 한달 안되어 산에서 발을 제껴 내내 사무실신세 2 답답 2012/01/26 830
    62214 2학년아이 이중에 학원 어떤걸 그만둬야할까요 7 학원 2012/01/26 1,137
    62213 배에 따뜻한 찜질을 하면 .. 2 찜질 2012/01/26 5,470
    62212 쉬어 꼬부라진 물김치? 2 화이링아자 2012/01/26 1,006
    62211 발 떠는 남자 5 아후 2012/01/26 998
    62210 일반휴대폰에서 스맛폰으로 기계만 바꿀때 5 나라 2012/01/26 912
    62209 현미와 찰현미....답변부탁드려요. 5 백돌 2012/01/26 28,379
    62208 노래 제목좀 부탁드려요 6 알려 주세요.. 2012/01/26 577
    62207 제사음식으로 만든 리메이크? 음식이름이에요 1 거지탕 2012/01/26 983
    62206 수술한 친구 병문안 가는데 먹을것만 좀 사가면 될까요? 6 ,,, 2012/01/26 2,378
    62205 성인발레 해보신분들 조언좀 해주세요 5 익명이요 2012/01/26 1,445
    62204 영등포나 여의도 대방역근처 치주질환 전문병원이 어디인가요? 치과 2012/01/26 699
    62203 저처럼 사극 잘 못 보시는 분들 있으시나요...? 21 음음... 2012/01/26 2,310
    62202 이 정도면 최악의 남편이라고 생각합니다. 72 ........ 2012/01/26 16,655
    62201 인공관절수술 잘하는 병원과 비용은? 2 인공관절수술.. 2012/01/26 1,957
    62200 아이 감기기운 있으면 보통 바로 병원 가나요? 6 미도리 2012/01/26 1,249
    62199 문성근 "안철수, 총ㆍ대선서 중요 역할 기대".. 1 세우실 2012/01/26 598
    62198 남편이 1년넘게 실직중인데요~ 연말정산관련 질문 드려요. 3 연말정산 2012/01/26 2,278
    62197 자수 수틀 구입관련 질문입니다^^ 3 GG 2012/01/26 863
    62196 니나리치가방 어떤가요? 2012/01/26 873
    62195 해품달은 성균관 스캔들 같은 설레임이 없네요 10 성균관스캔들.. 2012/01/26 2,310
    62194 제사용 조기 어떻게 먹을까요? 4 새댁 2012/01/26 1,646
    62193 실업급여때문에 보육료지원이 안된대요 T.T;;; 1 안티 2012/01/26 1,126
    62192 냉장고속 재료 어떻게 활용하세요? 1 답답 2012/01/26 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