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첫걸음, 경제교육

hana 조회수 : 692
작성일 : 2012-01-09 10:55:29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첫걸음, 경제교육

 

 

어렸을 때부터 아이에게 경제관념을 확실하게 심어주어야 훗날

아이가 커서 몰래 엄마카드를 긁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답니다.

제 주변에는 그런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부모님 문자 와서 보면

아들 같은 경우는 게임머니를 사고, 딸 같은 경우는 옷을 부모님 카드로

샀다는 문자가 와있다구요. 한마디 상의도 없이 그러는 자녀들의 행동에

속 끓는 부모님들이 많으시데요.

그리고 경제관념이 없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부자가 될 수 없다는것은

다들 아시죠? 그렇다면 지금부터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시작!

우리 아이 경제교육 시켜주는 방법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01] 일을 해야 돈을 벌수 있다.

일을 해야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자.

어느정도 돈에대한 인식이 생기고 말을알아듣는나이라면

그냥 내버려두기 보다는 오히려 돈에대해 숨김없이 이야기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답니다.

아빠가직장에 다니는건 돈을 벌기 위해서고, 그 돈으로 가족들이 옷과 장난감, 책을  사고

음식을 사 먹을 수 있다는것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어리다면 부모가 귀가한 뒤 돈을 벌어왔다고 하며 돈을 보여주세요.

지갑에서 몇만원을 꺼내 오늘 번 돈이란다. 이 돈으로 내일 먹을 반찬과 과자도 살수 있어라고 말해주세요.

부모가 밖에 나가일을해 돈을 벌어온다는 개념만 열려주면 되요.

 

 

02 ] 가장 필요한 물건은?

아이의 기준에서는 호화로운 장난감이나 그렇지 않은 장난감이나 별로 다르지 않아요.

필요없이 화려하기만 한 고가의 장난감들은 사기전에 아이에게 꼭 필요한 물건인지

다시한번 물어보고 생각해보게 하세요.

아이들은 물건의 중요성이나 필요성과는 상관없이 자기가 원하는 모든 물건을 갖고 싶어 한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들도 아이 앞에서 충동구매를 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것이 가장 중요해요.

저의 부모님같은 경우는 굉장히 엄하셔서 장난감같은 것은 거의 사주지 않으셨어요.

쓰잘데기 없는(?)물건이라고 하시면서요.. ㅜㅜ 이 정도까지는 안하셔도 된답니다.

 

 

03 ] 미리 예산 정하기

소유의 대한 개념이 생기기 시작한 아이들은 마트는 천국과 다름 없어요.

떼쟁이 아이로 인해 사람들의 눈총을 받고 싶지 않다면 마트에서 가기 전에 쓸 수 있는

예산에 대해 미리 말해주세요. 예를들어

"오늘 똘복이는 5000원을 쓸 수 있어. 5000원이 넘어가는숫자는

사지 못하는거야" 라고 말하고, 예산 내에서 물건을구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가격표를 보면서 "10000원이나 하네. 5000원이나 비싸구나.

똘복이가 좋아하는 과자를 10개나 더 살수 있는돈이야." 라고 말을 하면서 가격비교 차이를

알려주며 아이는 각 물건이 가격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IP : 175.198.xxx.19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0182 사랑니빼고 언쩨쯤 와작 먹을수있나요 7 슬퍼요 2012/01/19 1,065
    60181 절개선있는 구스패딩 세탁후 바늘땀에 구스털이 나왔는데.. ... 2012/01/19 443
    60180 만 3~4세 어린이 보육료 지원은 사실 6 ,,, 2012/01/19 1,426
    60179 중학교 다닐 때만 홈스쿨하는 것 어떨까요 16 2012/01/19 3,533
    60178 설 명절..집에 뭐 사가기가 싫은 이유,, 12 -_- 2012/01/19 2,757
    60177 대학원 졸업가운 4 옷. 2012/01/19 2,257
    60176 버버리칠드런 비슷한 가격대 브랜드중에 입힐만한거 뭐 있나요? 3 .. 2012/01/19 899
    60175 연말정산 계산기로 마이너스 백만원이면? 6 2012/01/19 6,337
    60174 장터에서 새물건 살 경우~ 1 내게도 .... 2012/01/19 598
    60173 CD 어디에 보관하세요? 3 정리하고파 2012/01/19 550
    60172 치킨,,, 한번 튀기고 기름 버리시나요?? 11 흔들샤프 2012/01/19 2,235
    60171 물주머니,팥주머니만 있으면 잘 때 다른 난방은 안 해도 되나요?.. 7 궁금이 2012/01/19 2,411
    60170 초등아이들이 쓸만한 바디로션.. 3 은새엄마 2012/01/19 818
    60169 곽노현서울시교육감 업무에 복귀하다 3 기린 2012/01/19 661
    60168 2월 말에 태국가면 열대과일 많이 먹을 수 있나요? 11 태국 2012/01/19 3,508
    60167 성모님께 청원 기도는 어떻게 하나요? 7 ... 2012/01/19 1,350
    60166 경희궁의 아침 어떤가요? 8 아파트 2012/01/19 5,055
    60165 클로징멘트로 유명한 신경민 전MBC앵커 민주통합당 대변인되다 2 기린 2012/01/19 1,021
    60164 맛있는 전집 ^^ 2012/01/19 531
    60163 설선물로 집에 뭘 사가야 될까요? 1 ggg 2012/01/19 699
    60162 키친토크에 글올리시는 분들 사진은 디카로 찍은 건가요? 7 둥글둥글 2012/01/19 1,622
    60161 진짜 뻔뻔한 아줌마들.. 41 .. 2012/01/19 15,643
    60160 아직 미혼인데 맞벌이 부부들은... 6 eyagi 2012/01/19 1,619
    60159 영어해석좀 부탁드릴께요....저는 못난엄마...헐... 2 어색주부 2012/01/19 598
    60158 화장실 곰팡이 냄새 없애는 방법 없을까요??? 4 병다리 2012/01/19 3,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