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docque님 식후 무심코 마시는 커피한잔에 대해서요 궁금합니다

새알심 조회수 : 2,046
작성일 : 2012-01-05 08:51:25

늘 답글 중에 조언주실때 식후 무심코 마시는 커피한잔에 대해 언급하시는데  정말 궁금합니다

제가 중3때부터 마시기 시작한 믹스커피를 아직도  못 끊고 있는데요. ㅜㅜ

허약체질과 변비 아토피 (건조증) 를 체질로 갖고 있구요,

특히 22년째 편두통을 앓고 있어요.

편두통은 늘 체기가 있두통이 심한  것으로 여겨왔다가 1년전부터 신경과를 방문하면서 진단을 받아 치료중입니다.

병원에서나 어디서나 커피에 대해 심각하게 말하지는 않는 것 같아  습관적으로  마시고 있는데

끊기가 참 어려워요.

docque님 말씀듣고 경각심을 가지면  혹시 커피를 끊는 행운이 오지 않을까하여 불러봅니다.

제일 큰 낙이 커피랍니다ㅜㅜ

그리고 믹스커피나 아메리카노나 ㅇ하여간 커피는 다 같은 커피인가요?

몸에 안 좋기로는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IP : 122.35.xxx.84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5 8:57 AM (183.107.xxx.54)

    docque님은 아니지만
    제가 일기는 식후 바로 마시는 커피는 식사중 섭취한 철분을 뺐는다네요.
    그래서 커피를 드실때는 식후 30분.
    바쁠땐 안되지만 가능하면 지킬려고 합니다.
    커피의 카페인이 약도 되고 독도 되는건데 믹스커피는 거기다 설탕에 프림까지 있으니..

  • 2. 새알심
    '12.1.5 9:11 AM (122.35.xxx.84)

    에 철분 칼슘 다 데려간다죠?
    제게는 더 무서운 얘기가 필요한가봅니다
    이넘의 중독성향 땜시ㅜㅜ

  • 3. 새알심
    '12.1.5 9:12 AM (122.35.xxx.84)

    앗 그럼 30분 지키는 것은 괘않나요? ㅋ 그거라도 지켜야겠어요 감사

  • 4. ...
    '12.1.5 9:51 AM (220.72.xxx.167)

    30분은 불충분하구요. 최대한 안전하려면 2시간정도...
    물론 드신 음식에 따라 다르지만...
    이유는 위배출속도때문인데, 기름기 없는 음식을 먹으면 위에서 30분만에 십이지장으로 음식이 넘어가지만,
    기름기 있는 음식을 먹으면 최대 2시간까지 걸리거든요.
    커피로부터 음식속의 철분과 칼슘을 지키려 한다면 적어도 1시간 이상의 간격은 필요하지 싶습니다.

  • 5. 포천중문의대
    '12.1.5 10:00 AM (211.212.xxx.65) - 삭제된댓글

    김상만 교수가 쓴 책 만성피로해결사 부신을 고치자라는 책을 보면요..
    커피를 마약과 같이 분류하고 절대 끊어야 할 것으로 나와요..
    이게 영양분을 뺏을뿐만 아니라 우리 몸에서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신 호르몬을 고갈되게 한다네요..
    이 부신 호르몬이 고갈되면 늘 피로하고 아프고
    우울증도 오구요..날씨 변화에 민감해져
    흐리기만 해도 아프고 너무 추워도 아프고 너무 더워도 아프고 그런다네요..
    부신 호르몬이 우리 몸에서 하는 역할이 상당히 많더군요..
    타고난 건강체질이야 하루에 커피를 몇잔이나 마셔도 끄떡없지만
    타고난 허약체질은 커피를 관리해줘야 합니다..

    그 책 사서 읽어보세요..님께 도움되는 내용 많을꺼예요..

  • 6. docque
    '12.1.5 10:13 AM (121.132.xxx.147)

    커피 중독이 되는 이유는
    커피의 부작용 때문입니다.

    커피는 폴리페놀 성분 때문에 모든 미네랄의 흡수를 차단합니다.
    우리몸은 미네랄이 없으면 건강을 유지하기 힘듭니다.
    특히 산소공급이 안되고 거의 모든 생리 기능이 저하되죠.
    운동마저 안해서 산소공급이 상당한 수준으로 잘 안되는 사람은
    커피의 카페인성분(강심제)때문에 커피를 마시고 난 후 일시적으로 심폐기능이 좋아집니다.
    산소가 뇌에 공급이 되면서 머리도 맑아지고 각성이 되는거죠.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되지만 결국 근본적으로는 더 나빠지는 악순환이 됩니다.

    식후에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는게 좋은지는 몇가지를 이해하시면 됩니다.
    식후 2시간 정도는 음식물이 위에 머무르는 시간입니다.
    이시간 안에는 커피와 음식물이 바로 만나게 되므로 피해야 합니다.
    고형분이 포함된 식사는 상대적으로 위장관에서 이동속도가 느리고
    커피와 같은 유동식은 이동속도가 아주 빠릅니다.
    당연히 커피를 뒤에 마시면 따라잡혀서 만나게 될 확율이 커지죠.


    방법은 커피를 식전에 먼저 마시거나 바람직하게는 마시지 않는 겁니다.
    고온에 볶아서 만든 커피는 방향(향기)성분이 만들어지는데
    이 방향 성분은 대부분 간에 부담을 주는 발암물질 들입니다.
    술마시는거처럼 간에 부담을 줍니다.

    건강은 공평하지 않습니다.
    부자들은 사치를해도 표가 안나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명품에 빠지면 어찌될까요.

    건강도 그렇습니다.
    커피를 즐기고 술담배를 즐기면서도 평생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도 있지만
    아무리 조심을 해도 늘 힘든 사람들도 많습니다.

    여성들은 불리한게 참 많습니다.
    생리나 출산으로 잃어버린 영양소들을
    잘 보충해 줘야 함에도 대부분 그렇지 않습니다.
    영양보다는 기호나 맛에 치우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 낫지 않는 여성들의 질환은 영양문제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빈혈상태가 되면 커피한잔과 케익 한조각이 (또는 도넛 한조각이 ) 땡깁니다.
    그러나 최악의 음식인거죠.
    이게 누적이 되면 돌이킬 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합니다.

  • 7. 철분칼슘..
    '12.1.5 10:25 AM (218.234.xxx.17)

    그건 녹차도 마찬가지라고 해요. 녹차는 좋은 음료이지만 식후에 바로 마시게 되면 칼슘 성분을 배출시켜버린다고.. 음식물의 칼슘/철분이 위장에서 소화-혈액을 통해 몸에 영양 공급해야 하는데 못하게 되죠. 녹차도 식후 30분 이상 있다가 마시라는 소릴 들었어요.

  • 8. 이젠
    '12.1.5 10:26 AM (122.34.xxx.74)

    어머나 그렇군요. 커피중독 수준으로 마셔대는데 몸이 늘 쳐지고 머리가 무거운 게 다 영향이 있었군요.ㅠ 요새 잎차로 전향하려던 차였는데. 정신 번쩍나는 댓글 감사합니다.

  • 9. --;;;
    '12.1.5 10:41 AM (116.43.xxx.100)

    두통이 심하시면 철분부족일수도 있어요..생리끝무렵에 그런경우가 있는거 같아서 생리기간중엔 철분제 섭취해주고...요...커피도 그땐 덜마셔요.

    커피 식후 30분은 저도 지킵니다...소화흡수에 방해된다 그래서...그렇게 해요....그리고 커피 드시고 물도 많이 드세요....커피 1잔당 물 3잔....비율...만성탈수증이 올수도 있고..이게 체끼 비슷하대요...
    커피 끊을수 없다면 이렇게라도 해보세요..물은 차나 음료 말고 순수한 물로 드세요..

  • 10. ,,
    '12.1.5 2:14 PM (124.54.xxx.73)

    커피한잔과 케익 한조각은 저의 아침 혹은 아침+점심 식산데 참... 괴롭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1483 명절마다 반복되는 친정에 대한 소회.. 52 무명씨 2012/01/24 11,934
61482 새해에는 부자가 되고싶다고여? 하실수있습니다. 1 1230 2012/01/24 606
61481 차 멀미하는거 고칠 수 있나요? 8 궁금이 2012/01/24 1,920
61480 82 csi 여러분 이그릇은 어떤그릇일까요? 18 ... 2012/01/24 3,376
61479 원인 모를 어지럼증으로 힘들어요 6 .... 2012/01/24 2,216
61478 육개장 만들때 꼭 고사리랑 토란줄기 있어야 할까요? 12 도전 2012/01/24 2,781
61477 나꼼수는 좀 재미없어질라 하구요. 죄송 나꼽사리는 재미있어져가더.. 16 나꼼 나꼽 2012/01/24 2,490
61476 고민좀 같이..잘 한건지 ㅡㅡ 4 하늘 2012/01/24 1,054
61475 남대문 그릇도매...갈만한가요?^^;; 5 로즈 2012/01/24 2,270
61474 왜 우리나라 여자들은 12 2012/01/24 3,792
61473 연휴동안 2~3키로..다시 돌립시다ㅠㅠ 9 체중계 2012/01/24 2,104
61472 [일상:생활:아이디어]안경테 오래 쓰는 법 3 요리조리쿡꿍.. 2012/01/24 1,947
61471 이제는 기준을 만들어야 할 때이다 빠가사리 2012/01/24 415
61470 가베 해야되나요??? 6 ..... 2012/01/24 1,609
61469 하이브리드 스켈링 해보신분 계세요? 2 피부과 2012/01/24 825
61468 속풀이 1 명절 2012/01/24 494
61467 팥죽은 무슨 맛으로 먹는 건가요? 25 ?? 2012/01/24 3,390
61466 간단한 안마기 하나 사고싶은데요~ 1 어깨주물럭 2012/01/24 1,314
61465 인간말종들 사고 친후에 회개한답시곤 선교활동한다는 이야기 하지 .. 1 개신교 2012/01/24 780
61464 신세계 죽전 식당 괜찮은 곳 알려주세요^^ 9 오랜만에 2012/01/24 3,077
61463 임신테스트기요 생리예정일 전에 하면 효과없나요?? 6 ii 2012/01/24 15,967
61462 전세집 2개 일때 전세금 보호 방법?? 1 알려주세요... 2012/01/24 2,553
61461 지저분한 포털사이트 기사들때문에 구글로 홈페이지 변경했어요 3 ... 2012/01/24 1,180
61460 종신보험 자녀가 수령하면 세금 내나요? 7 보험 2012/01/24 3,477
61459 조언 부탁드려요.. 2 .. 2012/01/24 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