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정일 사후 북한의 선택?..

^^별 조회수 : 1,132
작성일 : 2011-12-20 16:20:37

'김정은 1인체제, 집단지도체제, 내전발생'까지

 

과거 김정일이 김일성의 후계자로서 20년이상 권력 기반을 다진 것에 비해 김정은은 지난 해 9월 노동당 대표자회를

통해 후계자로 공식 등장한 지 14개월밖에 안 된다는 점에서 김일성 사망이후 안정적인 후계구도를 확보한

김정일 위원장에 비해 김정은의 앞날이 휠씬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크리스토퍼 힐 전 차관보는 19일 영국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김정일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북한의 권력 상황에

큰 불확실성이 생겼다”며 “현재 김정은은 인민군 대장 외에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과 중앙위원회 위원의

직함을 갖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김정은의 나이가 27살이 불과하고 국정 경험이 없는 것이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고

말하는 등 김정은을 ‘준비 안 된 지도자’로 정의했다.

 

현재 전문가들은 군부를 김정은 체제의 최대 변수로 꼽고 있다. 다시 말해 군부의 의지에 따라 김정은 체제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김정은 부위원장은 군권을 어느정도 장악한 것으로 보이나 실질적으로는

이영호 총참모장이나 김정각 정치국 제일부국장의 파워가 상당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김정은 체제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높은 가능성으로 꼽히는 것은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 국방위 부원장겸 노동당 행정부장의 도움으로 당,정,군의 핵심 세력과 손잡고 일종의 ‘유훈통치’체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과의 관계를 공고히 하고 대외적인 도발을 자제하는 체제안정에 주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집단지도체제에 대한 가능성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김정은의 권력 기반이 허약하고 북한 민중의 지지도

불확실한 상태에서 1인 지도체제에 대한 당,정,군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각계 권력층이

연대하는 집단지도체제가 구성될 가능성도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경우 김정은은 형식상 최고지도자일 뿐

실질적으로 집단지도체계가 수렴청정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최악의 경우 북한 내부의 권력 투쟁속에 김정은이 체제 통제능력을 상실하고 북한 전체가 혼란에 빠지는 것이다.

이미 중앙 부대를 제외한 지방의 군부대들은 자급자족의 체계를 갖추고 느슨한 중앙 통제속에서 어느 정도 자율적인

부대 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방 부대의 군벌화 또는 당과 군부간의 갈등이 김정은 체제를

무너뜨리고 전혀 예상할 수 없는 혼란으로 북한을 몰고 갈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일단, 대부분의 북한 전문가들은 당장은 김정은 체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김정일 사망이후 북한 군부의

특이 동향이 없을뿐더러 김정일의 장례절차도 순조롭게 진행되는 등 당장 북한 체제에 엄청난 변화가 일어날 만한

조짐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어떤 후폭풍이 일어날 지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예측불가의

영역으로 보고 있다.

(아시아헤럴드=황찬규 기자)

http://www.asiaherald.co.kr/

 

IP : 1.230.xxx.10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897 김상철기자인지 뭔지. 3 오전 11시.. 2012/01/05 3,488
    57896 경기도 민원 119통합이 불만이신 분들... 4 아봉 2012/01/05 3,087
    57895 뽁뽁이 붙인 분들.. 답답하지 않으세요??? 9 음음음 2012/01/05 5,761
    57894 간단히 아침으로 먹을만한게 뭐가 있을까요? 9 배고파 2012/01/05 3,860
    57893 서울에 라식 잘하는 병원 알려주세요~ 3 어제 2012/01/05 2,193
    57892 에비중등 영어학원 등록했는데요 1 일산분들 알.. 2012/01/05 1,946
    57891 임산부의 병문안 2 폼폼퓨린 2012/01/05 4,251
    57890 중학생옷 노스와 네파중 어떤것이 질이 더 나은가요? 7 네파 2012/01/05 3,353
    57889 유산문제 어떻게 해야할까요? 13 슬픔하나 2012/01/05 4,111
    57888 제일 추운 시기가 언제일까요? 1월 말쯤? 1 ... 2012/01/05 4,127
    57887 의전원에 대해 82느님들께 자문을 구하오니 지나치지마시고 도와주.. 8 사랑이 2012/01/05 3,771
    57886 혹시 라텍스베개 써보신분 계세요? 10 아이구 2012/01/05 3,441
    57885 모짜르트 피아노 앨범 추천해주세요.. 1 보라클래식 2012/01/05 1,825
    57884 오븐선택 도와주세요 선물 2012/01/05 1,610
    57883 생식이 나을까요? 그냥 야채사다가 먹는게 나을까요? 5 sohapp.. 2012/01/05 3,046
    57882 고승덕, '전당대회 돈봉투' 폭로 (종합) 5 세우실 2012/01/05 2,130
    57881 주방 집게는 머 쓰시나요? 4 방학은..힘.. 2012/01/05 2,230
    57880 어떻게 버리나요? 13 아이스 팩 2012/01/05 3,501
    57879 모나지 않게 한말씀 드리고 싶은데...... 5 보통며느리 2012/01/05 2,707
    57878 굴전 맛있게 하는방법 일러주세요 3 지현맘 2012/01/05 2,948
    57877 본인 이름 누군가가 잘 불러주세요? 5 ㅎㅎㅎ 2012/01/05 1,817
    57876 사골국물이 오래 끓이면 써지나요? 1 아이둘 2012/01/05 1,684
    57875 낙지젓 추천해주세요 2 마r씨 2012/01/05 1,834
    57874 82님들께 도움 부탁해요 1 예비고맘 2012/01/05 1,458
    57873 아이를 낳으면 부모가 보는게 제일 좋겠고 10 어려운일 2012/01/05 2,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