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돌잡치 답례품 나눠주는 것.. 제 말이 틀린지..

휴휴~~ 조회수 : 2,772
작성일 : 2011-12-20 11:45:50

보통 나갈때 주지요?

어제 남편한테 가족당 하나씩 돌림 될거라고 하니

그냥 주지 말고

진열해놓으면 나가면서 직접 들고가게 두는게.. 낫겠다고 하네요

그래서 그렇게 하면 한 사람이 2-3개씩 들고가면 모자라지 않겠냐고 했더니

저보고 진짜 쪼잔하게 굴지말라네요...돌잔치같은 좋은 날에 그런걸 따지고싶냐고...헉...~~

그걸 따지고싶지 않지만 모자라서 그냥 빈손으로 돌아가는 것보담 낫지않나요?

보통은 나가면서 가족당 하나씩 주는거 아닌가요? 2개까진 괜찮은데 그 이상 달라하는 사람은

좀 무례한 것 같아요~ㅜ.ㅜ 제 생각이 틀린건지...남편말이 맞는건지...

보증인원은 50명인데..선물은 60개정도 할꺼구요.

갯수도 신경쓰이고..그 날 정신 없을까봐 정성스레 준비한 선물 제대로 전달 못 할까봐

걱정이고..

머리가 아프네요~~

IP : 211.33.xxx.165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20 11:48 AM (211.253.xxx.235)

    답례품을 뭐 얼마나 좋은 거 하실지는 모르겠으나
    무식하게 몇개씩 집어들고 가는 사람 없어요.
    진열해놓고서 가시는 손님 배웅하면서 하나씩 손수 주시던지요.
    (그런 집 봤음. 와주셔서 감사했다고 하면서 배웅하고, 답례품 주고)

  • 2. ...
    '11.12.20 11:49 AM (121.137.xxx.39)

    보통은 남편 말씀처럼 밖에 진열해놓으면 가져가요. 안가져가시는분한테는 챙겨드리고...
    아예 안해도 상관없는데 하실거면 조금 넉넉히 해서 좋아하는 사람은 2~3개씩 가져가게 하시는게 나을거에요.

  • 3.
    '11.12.20 11:49 AM (59.10.xxx.202)

    돌잔치 마치고 돌아가시는 길목에 하나씩 들고 가져 나가게 하지 않나요?
    두 개씩 가져가는 사람은 그리 못 봤구요.
    귀찮다고 안 가져 가는 사람도 있어요.
    어린 친척 아이들도 자기꺼 안 챙기더라구요.
    그냥 그 정도 주문하심 적당할 거 같은데요.
    답례품이 뭔진 모르겠지만, 떡 같은건 남으면 밀봉해서 냉동실 넣었다가 데워 먹어도 되니까요.

  • 4. ....
    '11.12.20 11:52 AM (115.143.xxx.133)

    선물이 뭔가요? 저는 타올 준비했었는데 개인당 하나씩 드렸어요. 보증인원이 50인데 선물을 60개 준비했다면 어차피 남는 거 아닌가요? 왜 모자란다고 걱정하시는지요? 제 주변에는 직접 전달하지 않고 남편 분 말씀대로 일정한 장소에 진열해두면 알아서들 갖고 가더라구요. 몇 개씩 덥석 집어가는 사람은 못 봤답니다. 다들 보는 눈이 있으니 욕심내지 않고 가족당 하나건, 개인당 하나건 알아서들 챙겨가더라구요. 사소한 문제에 넘 힘빼지 마시고, 돌잔치 잘 치르세요~

  • 5. 원글
    '11.12.20 11:53 AM (211.33.xxx.165)

    그럼 그냥 넉넉하게 70~80개 하자니 남편은 그것도 싫다네요. 못 받는 사람은 별 신경 안 쓸거라구... 그냥 제 소신대로 주문해야겠어요.

  • 6. ...
    '11.12.20 11:56 AM (112.151.xxx.58)

    저라면 남ㄴ편 뜻데로 해요. 답례품 그래봐야 이천원짜리인데요. 못받았다고 별 섭섭한것도 아니구요. 준비는 했구나 그정도만 알면되지요. 뭐 얼마나 귀한거라고 하나하나 나눶줄필요가 있나요? 못봗아도 그뿐인 돌 답례품

  • 7. ...
    '11.12.20 11:56 AM (14.47.xxx.160)

    몇개씩 가져가는 사람은 못봤어요.
    돌잔치 끝나고 그거 줄서서 받아가는건 좀...

    입구에 준비해놓고 가져가라고 하던데요^^

  • 8. 지난주
    '11.12.20 11:58 AM (211.210.xxx.62)

    지난주에 다녀왔어요.
    그냥 늘어 놓아도 마구 집어가지 않아요.
    모자르면 떡을 얼른 싸서 그거 들려주면 되요.
    사진 찍고 나서 떡을 조금씩 싸 두세요. 혹시 모르니까.

  • 9. 직원들이...
    '11.12.20 12:05 PM (121.190.xxx.94)

    직원들이 앞에서 정당히 나눠주기도 하던데요.
    저희는 답례품 문앞에 진열해 놓으니까 앞에서 인원수 계산하는 직원이 알아서 안가져가는분
    챙겨주기도 하고 하나씩 가져가라고 주더라구요.
    근데 어차피 답례품이 뭐 대단한것도 아닌지라 몇개씩 가져가는분들은 못 봤어요.
    귀찮다고 안가져 간다는분도 많고 꼭 챙겨야 하는분이 있으면 미리 몇개 가져다 드리면 되요

  • 10. 저는
    '11.12.20 1:05 PM (124.48.xxx.195)

    가장 최근에 간 돌잔치가 시고모님 손자 돌잔치 였는데 2개씩 집어가는 사람들 제법 있었어요.

  • 11. 애정녀
    '11.12.20 1:21 PM (211.246.xxx.91)

    축의금 받으실 거면, 그냥 쌓아두시고요.
    안 받으실 거면 하나씩 나눠 드리세요.
    남의 돈으로 생색내는 잔치 할 거라면 답례품 아끼지 마세요..웃겨요.

  • 12. 요즘
    '11.12.20 2:50 PM (219.249.xxx.144)

    문앞에서 직원들이 나눠주던데 그 방법으로하시고 좀 넉넉히해서 마음편히 하세요
    애기 첫 생일이라서 잔치하는것이니 외주신분들이 그저 고마운것 아닐까요

  • 13. 근데
    '11.12.20 3:13 PM (122.42.xxx.21)

    두개씩 챙겨가서 나중엔 못가져가는 ..저도 봤어요
    답례품에 무관심한듯 (소심)있다가 못받은 사람^^;;

  • 14. ----
    '11.12.20 3:24 PM (125.128.xxx.26)

    축의금 받으실 거면 가족당 하나는 인색하신 거에요.

    나가는 길목에 쌓아두면 일인당 가져가든가, 귀찮아서 안 가져가든가 할텐데

    가족당 하나씩 일일이 나눠주는 것은 모양새가 그래요.

    저도 잘 안 가져가려 하는데, 물품 받았냐고 물어보고 남편이 하나 받았다고 해도 더 챙겨주려고 하고 그러면

    별 거 아니더라도 저 사람들이 돌잔치 와 준 거 정말 고마워하나보다 그런 생각들어서 고맙더라구요.

    손님들 돌잔치 왔다갔다 여간 힘들텐데, 넉넉하게 준비하시는 게 어떨까요?

    많아야 두 개 집어가지 몇개씩 집어가는 사람들 많지 않아요.

  • 15. sweet_hoho
    '11.12.20 8:36 PM (218.52.xxx.33)

    딸내미 돌잔치 할 때, 입구에 예쁘게 진열해놨어요.
    알아서 가지고 가는 사람들도 있었고, 인사하면서 저희가 드리기도 했어요.
    인사 못드린 분들은 하나씩 들고 가셨다던데, 저희가 인사드리면서는 아기 수나 손님 수(연애 중인 미혼 커플)대로 드렸어요.
    신랑 회사 총각들이(기숙사 생활하는) 수건이라고 많이 가져가도 되냐길래 가져가라고 했었고요.
    잔치 전에 제 친구랑 친정 식구들껀 제가 따로 챙겨놔서, 나중에 시댁 식구들은 하나도 못가져갔어요.
    시댁 식구들에게 답례품 못준게 별로 미안하지도 않아서 혼자 좀 찔렸어요 ㅋ

    다른 돌잔치 가서 봐도, 입구에 포토 테이블 옆에 따로 답례품 진열 해놓고는
    아기 엄마아빠가 인사하면서 주던데요.
    알아서 가져가는 사람들은 가족당 하나씩 챙기고, 주최측에서는 하나 더 가져가라고 더 주고요.

    저도 지난 주에 돌잔치 갔다가 아기 엄마가 하나 더 줘서 예쁜 그릇 세트 두 개 받아왔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456 82에는 스크랩 기능 없나요? 1 koko 2012/01/12 492
57455 동태전 만들때... 6 은새엄마 2012/01/12 2,240
57454 제가 너무 걱정이 많나요?... 1 걱정.. 2012/01/12 584
57453 이럴수도 있나요?? 지금 소리내서 엉엉 울고 있어요 18 벌금녀 2012/01/12 11,890
57452 동대문.동평화에대해 아시는분! 꼭좀 알려주세요 2 박선영 2012/01/12 1,413
57451 아기한테 대리만족을 느끼는거같아요...ㅋㅋㅋ 8 볼우물 2012/01/12 2,338
57450 차례 준비로 곶감을 구입하려는데 장터 곶감 드셔보신 분 추천 부.. 1 곶감 2012/01/12 543
57449 시골에서 농사짓는 어르신들께 보내드릴 선물 뭐가 좋을까요,, 부.. 8 roda 2012/01/12 2,359
57448 0~2세,5세 소득과 상관 없이 보육료 지원 어떻게 생각하세요?.. 14 엄마 2012/01/12 1,548
57447 일렉청소기 쓰시는 분들..궁금한 게 있어요.. 6 라임 2012/01/12 911
57446 영어 땜에 고민이예요~~ 2 영어 2012/01/12 869
57445 가격대비 성능괜찮은 스피커브랜드는 무엇일까요? 1 dd 2012/01/12 510
57444 아이가 배우는 생물 내용인데 이정도 수준이면 몇학년쯤 되나요? .. 2 .. 2012/01/12 562
57443 헬스에서 사용하는 고무줄같은거. 2 .. 2012/01/12 804
57442 안철수 "빠르면 이달 말 기부재단 구체화"(종.. 세우실 2012/01/12 656
57441 그래서요? 깔깔깔 2 j 2012/01/12 621
57440 아기랑 집에 하루종일 있는데 너무 조용해요 4 조용 2012/01/12 1,163
57439 대문글에서 '보그병신체'? 18 알야야 면장.. 2012/01/12 3,297
57438 작은일에 감동하고, 작은일에 분노하는 사람은... 자존감? 피.. 2012/01/12 735
57437 옥션이베이 취소관련이요~ 도와주세요~~ 6 급급 2012/01/12 1,745
57436 나꼼수 34회 다운 받으셨나요? 7 속터져 2012/01/12 1,051
57435 블라인드요..방온효과가 있나요? 블라인드 2012/01/12 336
57434 코스트코 당일 상품권 사서 입장 가능한가요? 4 처음이용 2012/01/12 1,551
57433 콘도에 애완견 데려가도 되나요? 7 고민 중 2012/01/12 2,387
57432 아이가 통기타 배우는데 기타 좀 추천해 주실래요? 7 .. 2012/01/12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