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묘하게 수긍가는, 불구경하는 소방관

sukrat 조회수 : 1,357
작성일 : 2011-12-12 10:19:23

 

미국 테네시 주의 한 외딴 농촌마을 이동식 주택에 불이 났다. 잠자던 주인이 일어났을 때 집 안은 이미 연기로 자욱한 상태였다. 겨우 몸을 추스르고 집을 탈출한 주인은 ‘911’에 화재 신고를 했다.

 

신고를 받은 인근 소도시 사우스풀턴의 소방대원들은 소방트럭 등 화재 진압장비를 모두 갖춘 상태로 즉각 현장에 도착했다. 하지만 출동과정에서 집주인 벨씨가 연간 75달러(약 8만6250원)의 소방 요금을 납부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한 소방대원들은 차의 시동을 끄고 한가하게 도로 한편에 앉아 불구경만 했다. 불을 끄는대신 요금을 성실히 납부한 다른 이웃집에 불이 옮아붙는지만 면밀히 관찰했다. 벨 씨는 집과 가재도구가 잿더미로 사라지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

 

 

 

소방당국의 이 같은 조치를 두고 “소방관의 사명을 저버렸다”는 비판이 미국 내에서 일고 있다. 하지만 시의 태도는 강경하다.

20년 전부터 이 지역 사람들에겐 매년 75달러를 내고 사우스풀턴 시 소방 서비스를 이용하는 옵션이 있었다. 하지만 주민들 다수가 ‘설마 내 집에 불이 나겠느냐’는 생각에 요금을 내지 않았다. 벨 씨도 그중 하나였다.

돈을 내지 않은 집들 불마저 꺼주면 돈을 낸 집과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 시의 논리다. “예외를 인정해 주기 시작하면 누구도 돈을 내지 않을 것이고 주민들의 소방 요금이 없으면 소방서 운영을 할 수 없다. 다만 재산이 아닌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라면 요금 납부 여부에 관계없이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어떤 집주인은 “불만 꺼준다면 지금이라도 얼마든지 돈을 주겠다”고 애원했지만 소방관들은 끝까지 움직이지 않았다. 화재 현장에서 요금을 받기 시작하면 어느 누구도 연간 정액요금을 미리 내지 않을 것이란 논리였다.

 

순간적으로는 뭐 이딴 나라 이딴 정책 이딴 소방관이 다있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소방당국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매우 수긍이 간다. 소방세를 내지 않으면 소방서는 유지될 수 없다. 양심적으로 소방세를 내지 않은 주민의 1차적인 잘못이 만의 하나 자기 집에 불이 난 상황에 엄청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 것이다.

 

우리나라 소방관들은 박봉을 받고 목숨을 걸고 일을 한다. 화재 진압중 사고나 죽음에 이르러도 제대로된 보상을 받지 못한다, 그래서 때로는 시위도 벌어진다. 그러나 과연 정부만의 문제일까? 우리 정부가 미국처럼 원칙을 세우고 그대로 강경대응 한다면 우리 국민은 받아 들였을까?

 

IP : 180.182.xxx.4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12 10:29 AM (175.124.xxx.46)

    흥미로운 기사네요.
    소방요금도 내야 불꺼주는 나라, 걔네 괴롭겠다..소방보험회사네요.

  • 2. ...
    '11.12.12 10:37 AM (119.149.xxx.193) - 삭제된댓글

    우리나라 쥐새끼가 또 그거보고 배울까봐 겁나네요.
    민영화하자고 할까봐...

  • 3. 포실포실
    '11.12.12 4:38 PM (61.14.xxx.185)

    옳은 이야기긴 한데,
    '너무 자본주의적이다' 싶고,
    '소방도 민영화됐나?' 싶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480 보육료지원 받고 싶습니다. 11 한숨 2012/01/04 1,463
54479 레몬청 만들었는데요, 꼭 냉장고에 넣어야 할까요? 6 숙성 2012/01/04 3,256
54478 정신나간 공군, 오산 탄약고 안전구역에 332억 들여 골프장 추.. 4 세우실 2012/01/04 672
54477 집에 세탁기 급수, 배수구가 없어요 ㅠㅠ 도와주세요 12 .. 2012/01/04 2,789
54476 부산역...( 급해요) 5 늘푸른호수 2012/01/04 1,538
54475 선배어머님들.모유수유중 생리를 하는데 질문있습니다. 10 궁금합니다... 2012/01/04 3,707
54474 (추가)산만한 아이..만 1살이예요..올케와 함께 조언 좀 부탁.. 11 검사 2012/01/04 1,202
54473 광고대행사 에서 일해보신 분들 있나요? 광고회사들은 야근하고 주.. 6 페라라 2012/01/04 4,356
54472 요즘은 고시합격해도 개룡남은 별로인가 보군요.(펌) 22 2012/01/04 6,129
54471 파주 교하에 목욕탕이 없나요? 3 피리피리 2012/01/04 1,559
54470 요새도 인터넷 가입하면 현금 주는 데 있나요? 2 인터넷.. 2012/01/04 801
54469 돌 전 아이 목욕비를 내는게 맞나요? 34 아이맘 2012/01/04 3,075
54468 문수가 밀본보다 더 심한거 맞죠? 밀본 2012/01/04 502
54467 수원에사시는 분들! 가장 큰 번화가는 무슨 동인가요? 5 수원의 번화.. 2012/01/04 3,898
54466 문수의 뒤끝...[펌]ㄷㄷㄷㄷ 9 ㅡㅡ 2012/01/04 2,025
54465 개념기업 삼양식품의 꼼수 7 .... 2012/01/04 1,531
54464 감사합니다 59 ** 2012/01/04 11,420
54463 나이 43살 9 꿀이맘 2012/01/04 3,184
54462 날짜 영어로 읽을 때요.. 2 최선을다하자.. 2012/01/04 2,509
54461 니베아크림을 얼굴에 바르면 어떨까요? 2 좋은피부 2012/01/04 8,913
54460 선대인님은 한명숙님이 대표가 되늘 걸 원하지 않으신대요 16 나꼼수카페회.. 2012/01/04 1,862
54459 애슐리 어떤곳... 26 은새엄마 2012/01/04 3,879
54458 성우리조트스키복빌리는데 괜찮나요? 1 초등생 2012/01/04 677
54457 누나 많은 남자가 성격 좋은거 같아요. 28 .. 2012/01/04 11,803
54456 엄마 생신상 메뉴 도와주세요. 3 샐러드 2012/01/04 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