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KBS1의 SNS토론을 보니 참 한심하네요

참맛 조회수 : 2,892
작성일 : 2011-12-11 01:20:46

sns를 규제할려고 하는데요,

일단 아래 표를 보시면,

http://twitpic.com/7re54h

2-30대가 대부분의 사용자들이고, 이번 서울선거에서 2-30대의 표가 야당으로 갔지요.

 

한날당측의 주장은 sns상의 음란물 등 불법적인 것을 규제하겠다는 건데요, 얘네들은 왜 이리 "정직"한지 쩝.

 

tweet을 보면 140자의 한계가 있습니다. 이게 문제가 되는게 전달에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1. 글자수의 한계. 140자.

2. 중요한 건 이겁니다. 전달은 retweet과 RT란 기능인데요. RT는 tweet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가 있는데요.

차잇점은 retweet은 원문 그대로 전달할 수 있고, RT는 전달자의 의견과 ID가 딸려가는데 이게 전체가 140자를 넘을 수 없습니다.

 

즉, person이란 사람이 1차 튓을 작성하면,

"이 세계는 아름답지만, 그러나 모든 곳이 아름답지는 않다. 따라서 우리는 아름다움을 널리 퍼뜨려서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내가 가진 아름다움도 제대로 모른다. 나의 아름다움이 무엇인가부터 찾아 봐야 하는 이유가 이것이다." - 136자인데요,

personb란 사람이 RT를 하게되면,

"나도 그리 생각한다. RT @person 이 세계는 아름답지만, 그러나 모든 곳이 아름답지는 않다. 따라서 우리는 아름다움을 널리 퍼뜨려서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내가 가진 아름다움도 제대로 모른다. 나의 아름다움이 무엇인가부터 찾아 봐야 하는 이유가 이것이다." 로 되어 19자 초과로 되어 글을 잘라야 합니다.

 

즉 retweet과 RT란 기능의 차잇점은 자기의견을 추가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RT기능이 있는 걸 찾게되고, 또 긴글을 볼 수 있는 기능을 찾고있습니다.

 

여기서 또 문제가 생기는데요, tweet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모두가 같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긴글을 작성할 수 있고 볼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tweet에서 작성한 글을 마음대로 전파하기 어려운 겁니다.

 

재미난 것은 트위터들은 RT를 선호하지 retweet를 선호하지 않습니다. 뭔가하면 그냥 RT를 누르면 자기 아이디가 포함되어 날아가는 것을 알면서도 RT를 누릅니다. 거의 버릇이 되어 있으면서도, 또 한면으로는 그것도 찬성 또는 공감의 의사표시가 되기 때문이죠.

 

즉, 하나의 글이 전달되는 데는 retweeet방식을 취하면 멀리 전파가 힘들다. 더구나 RT방식을 선호하기때문에 몇 명 안 넘어가면 RT의 특성상 140에 걸려 뭐를 전달하는지를 알 수가 없게 됩니다. 즉,

"RT @personf RT @persone RT @persond RT @personc 나도 그리 생각한다. RT @person 이 세계는 아름답지만, 그러나 모든 곳이 아름답지는 않다. 따라서 우리는 아름다움을 널리 퍼뜨려서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이런 식으로 되어 버리죠.

 

그러면 긴 글을 작성하고 보여 주는 기능이 있는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면 되지 않겠느냐고 할 수 있지만, 그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트위터들이 타임라인이라고 부르는 게시판처럼 글이 리스트되어 나오는 글의 목록 부분(이것이 전부입니다)을 보면, 항상 꽉찹니다. 상단에는 항상 "00개의 새 글이 올라와 있습니다"란 메세지가 있습니다. 문제는 팔로워가 많을수록, 글을 많이 작성하는 팔로워를 많이 가질수록 이것이 많지요. 저같은 경우는 2,000명 정도의 팔로워라서 많은 편도 아닌데요, 새 글은 몇 분사이에 몇백개씩 쌓입니다. 그래서 제대로 보는 건 트위터를 열었을 때마다 보는 몇개 또는 몇십개가 전부입니다.

 

즉, 트위터가 문제가 되는게 아니라 그 사람의 정치성향이 문제가 되는 겁니다. 이런 실정인데 sns규제법을 못 만들어서 안달을 하는 한날당이나 정부를 보면 웃음이 나옵니다. 결국 표적수사를 하겠다는 의사표시로 밖에는 이해가 안되는 겁니다.

 

인터넷실명제로 주민등록번호를 세계공용화를 시켜 놓고, 자기들도 지키지 못해서 걸리는 공직자선거법 등등 이 꼴통들이 저질러 놓은 악법들만 해도 정신이 없는데 또 만들려고 하니 쥐가 웃을 일입니다.

IP : 121.151.xxx.20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ㅇ
    '11.12.11 1:24 AM (115.139.xxx.16)

    SNS와 음란물을 거론하니 생각나는게 그 a양 비디오인데요.
    그 비디오 소식이 처음 터졌을 때 인터넷 하고 있었거든요.
    그거 처음으로 확산 시킨건 뉴스에요.
    뉴스에서 크게 터트리면서 이슈화됬고 SNS는 그 다음이죠.
    그리고는 SNS 규제해야 한다는 기사가 a양 비디오를 예로 들면서 나오더군요.

  • 2. 참맛
    '11.12.11 1:29 AM (121.151.xxx.203)

    ㅇㅇㅇㅇ/ 저는 82에서 보고 알았네요 ㅎ

    sns는 취향이 같은 사람들끼리만 통신하기때문에 a양건도 그런 사람들끼리만 통하는 거죠.
    그러니 sns가 음란물이 어쩌고 하는 사람들만 사용금지시키면 아무 문제될 게 없지요. 적어도 음란물에 대해서는.

  • 3. 부자패밀리
    '11.12.11 1:39 AM (58.239.xxx.118)

    거론하는것자체가 코미디예요.
    스맛폰을 만드는 회사도 없애야해요 악의축 양산이잖아요
    컴터도 다 만들지 못하게 해야해요.

  • 4. ㅎㅎ
    '11.12.11 1:43 AM (175.210.xxx.243)

    아빠가 스맛폰을 아들에게 줬는데 아들이 스맛폰에 뜨는 음란물을 보고 정신과 치료 받았다는 말에 빵 터졌어요.
    어떻게 그런 이유를 들고 sns규제에 갖다 붙이는지..
    아예 컴퓨터를 없애라고 하는게 맞는 논리지 그걸 sns규제에다.. ㅎㅎ
    쟤네들은 어떻게 된게 하는 말마다 논리도 없고 설득력이 없나요?
    단체로 트윗 좀 배운후 토론에 참여해주시는 매너 좀...

  • 5. 참맛
    '11.12.11 1:48 AM (121.151.xxx.203)

    ㅎㅎ/ ㅋㅋㅋㅋ
    그게 오늘 대박인데요 님이 살려 주시네요 ㅎㅎㅎㅎ

    sns를 아는 사람들은 그 음란물이 왜 뜨는가를 알죠 ㅋㅋㅋㅋㅋ

  • 6. ...
    '11.12.11 2:02 AM (61.43.xxx.245) - 삭제된댓글

    저도 그 예로 든 사연에서 빵터졌네요..암튼 SNS개념조차 모르는애들이 나와서 토론을 하니 한심할 뿐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291 프락셀..1번 받았는데.. 그만 둘까요 한번 더 받을까요..? .. 6 고민중 2011/12/12 87,921
49290 언더씽크 정수기 괜찮은가요? 6 정수맘 2011/12/12 2,509
49289 명의이전 제차를 남동.. 2011/12/12 1,428
49288 버거킹같은 곳에서 일하신 분계시면 조언주세요,많이 힘드나요? 2 패스트푸드점.. 2011/12/12 2,380
49287 직장맘인데 넘 우울하고 땅으로 꺼질듯 피곤해요. 3 만성피로 2011/12/12 2,625
49286 82님들! 치솔 강도는 어떤 걸로 사용하시나요? 4 라맨 2011/12/12 2,029
49285 이불 어디서 구매하시나요? 6 건강미인 2011/12/12 2,946
49284 참.신발이 거실까지 들어왔네요.. 3 ㅠ.ㅠ 2011/12/12 2,413
49283 죽전 살기 어떤가요. 1 직장이 강남.. 2011/12/12 2,585
49282 한미 FTA연계 의혹 일파만파 GMO 유기식품 규제 완화… 1 sooge 2011/12/12 1,694
49281 아기 침대 필요한가요? 10 ^^ 2011/12/12 2,148
49280 경기고등학교 근처에 숙소를 어떻게 찾을까요?(도움절실^^::) 3 숙소 2011/12/12 2,315
49279 대파가 많은데 대파 요리 알려주세요~ 19 고민 2011/12/12 20,532
49278 신설유치원 가면 알레르기 심해질까요? 알레르기 아.. 2011/12/12 1,312
49277 남편 집나간후 1달- 후기 20 남편부재중 2011/12/12 13,098
49276 성경을 읽으면 정말 도움이 될까요?? 14 알고싶어요... 2011/12/12 3,105
49275 네살딸이랑 둘이 서울 구경 가요... 갈만한곳 좀 알려주세요 4 부산에서 2011/12/12 2,395
49274 요즘 어찌 지내나요? 6 수능본 아이.. 2011/12/12 1,877
49273 아이폰어플로볼때.. 2 ... 2011/12/12 1,473
49272 시술로 얼굴에 난 여드름 자국 어느정도까지 완치시킬 수 있을까요.. 2 ^^ 2011/12/12 2,140
49271 미 국무부 ‘한국 SNS 검열’ 비판…클린턴 “인터넷 자유 재앙.. 샬랄라 2011/12/12 1,811
49270 야권통합, 위태로운 가결…상처만 깊어져 4 세우실 2011/12/12 1,779
49269 일회용 핫팩 써보신 분~~ 11 군대 2011/12/12 3,562
49268 뉴욕타임즈나 씨엔엔 해석할 정도면 수준이??? 7 rrr 2011/12/12 2,333
49267 아이들과 휴대폰연락이 잘 되시나요.. 3 속터져..... 2011/12/12 1,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