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저'의 정확한 의미? 국어 전공분들 답변 부탁해요~

한국어 조회수 : 5,658
작성일 : 2011-12-10 18:30:04

지금까지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쳐 이르는 말로 알고 있었거든요.

'한 술 뜨다' 할 때 술에 젓가락을 의미하는 저가 합쳐진 말이라고 생각했고

식당에서 "여기 수저랑 저분(젓가락) 좀 주세요"라고 말하는 사람 보면 겉으로 말은 안 했지만

속으로는  지적해주고 싶어서 몸부림을 치곤 했는데요 ㅎㅎㅎ

사전을 찾아보니 수저의  제 2 의미에 숟가락이라는 뜻도 있네요. 숟가락의  높임말이라네요.

사전에 그리 나오니 맞는 말이겠지만 어쩐지 너무 어색해요.

실제로 수저를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친 의미에 더해 숟가락 하나의 의미 만으로 사용하는 게 자연스러운 건가요?

저만 모르고 있었나봐요.

괜히 수저는 숟가락이랑 젓가락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야 라고 잘난 척 했다가 큰 망신 당할 뻔 했네요.

IP : 221.155.xxx.88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1.12.10 6:56 PM (125.187.xxx.175)

    수저 = 숟가락+젓가락 으로 배웠는데
    그냥 숟가락 하나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는 분들도 많았어요.
    혹시 그렇게 쓰는 사람이 많다보니 표준어가 된 걸까요?

  • 2. 한국어
    '11.12.10 7:28 PM (221.155.xxx.88)

    그러니까
    수저의 뜻은

    1.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친 말
    2. 숟가락의 높임말

    이라고 사전에 나와 있네요.
    '저는' 님 댓글처럼 사람이 많이 쓰다보니 표준어가 된 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잠시 해봤습니다.

  • 3. 저도
    '11.12.10 7:30 PM (119.207.xxx.9)

    원글님하고 완전 같네요. 그렇게 알고 있는거와 그런상황들을 저도 겪고 저도 원글님처럼 속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 4. 저도
    '11.12.10 8:08 PM (14.52.xxx.59)

    2번 경우는 통념이 만들어낸 다른 의미가 아닐까 싶어요
    사람들이 많이 쓰면 그게 먹히는게 표준어거든요 ㅎ
    우리나라 음식에서 숟가락만 갖고 상을 차리지는 않으니 그냥 묶어서 그렇게도 쓰나보죠
    죽을 차려도 젓가락이 오르잖아요

  • 5. 토닥토닥
    '11.12.10 9:01 PM (121.134.xxx.135)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한말이고 숟가락을 높일때만 쓰는말이지요
    그러니 자신의 숟가락을 달라고 수저와 젓가락 달라고 하는건 맞지 않고 둘다 없다면 그냥 수저 달라고 하면 되지요 아니면 숟가락 달라고해야 할것 같아요
    어른의 숟가락을 말할때 수저라 해야 옳을 듯 합니다

  • 6. 아이고..
    '11.12.10 9:26 PM (222.121.xxx.183)

    숟가락님도 높임말을 해드려야 하는 드러븐 세상.. 수저님..ㅋㅋ
    저도 숟가락+젓가락인줄 알았네요..
    이제 우리집 수저님께도 경의를..

  • 7. 숟가락이 젓가락 보다 먼저 생겼어요
    '11.12.11 2:37 AM (61.47.xxx.182)

    수저는 순우리말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뜻하는 한자어 시저(숟가락 시, 젓가락 저)와는 발음상 닮아 있을 뿐, 별개의 말입니다.
    수저란 말은, 젓가락이라는 물건이 발명되기 전부터 사용되어 왔었고..
    숟가락과 젓가락 역시, 순우리말이며...
    숟가락을 높인 말로 수저가 있긴 하지만, 젓가락을 높여 부르는 말은 없어요.

    이러한 정보들을 조합해 유추해 보자면??
    수저라는 건, 음식물을 떠먹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의 이름으로...
    후에 젓가락이 생겼어도, 그걸 따로.. 별개로 구분해 높여 부를 필요를 못 느꼈기에,
    (그러니까... 어른에게 수저라는 말을 사용할 때, 굳이 숟가락과 젓가락을 구분해 사용할 필요가 없었기에...
    예를 들자면... 한수저 뜨세요..라던가, 먼저 수저 드시지요.라던가..등의 말을 하는 상황에서,
    굳이 숟가락과 젓가락을 나눠 따로 칭해 일컬을 필요가 없었기에)
    수저가 숟가락을 높여 부르는 말임과 동시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쳐 부르는 말로 정착된 게 아닐까요?


    또... 원글님이 지적한 '수저와 저분(젓가락) 좀 주세요'라고 말하는 건 잘못된 거 맞아요.

    수저를 숟가락 단품의 의미로 사용한다 해도, 수저란 말이 높임말이기 때문에...
    평말인 젓가락을 함께 거론하는 건 잘못된 어법이 되는거죠.
    그럴 땐... 숟가락과 젓가락을 합쳐 수저 좀 주세요..라고 말하는 게 맞습니다.
    또... 젓가락을 높여 부르는 말이 따로 있다 해도,
    자신을 낮추고 상대를 높이는 한국어의 높임말 예법상, 본인의 필요를 높여 부르며 요구하는 것도 잘못 되었고요.
    숟가락(수분)과 젓가락(저분) 좀 주세요, 혹은 수저 좀 주세요..라고 해야 옳습니다.




    그리고 윗님... ㅋㅋㅋ
    숟가락을 높여 수저라 부르는 건, 숟가락이라는 물체 자체를 높이는 게 아닌데요.. ^^;;;
    어른의 나이를 들어 춘추라 하고, 임금의 밥상을 수라라 부르듯...
    높임의 대상은 숟가락을 취하는 어른에 있지, 숟가락 자체에 있지 않아요.
    그러니... 숟가락님도 높임말을 해드려야 하는 드러븐 세상..이라며 한탄 않으셔도 됩니다.
    ㅋㅋㅋㅋㅋ

  • 8. 와~
    '11.12.21 6:01 PM (183.101.xxx.104)

    윗님 덕분에 많이 배워갑니다.
    이제껏 남편에게 지적해왔던 말이었는데 제가 모르고 있었던 내용도 많네요.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477 테이가 나가수에 나오네요. 9 .. 2011/12/29 2,146
52476 월남쌈 소스 추천요, 그리고 해물파전 좀 봐주세요~~ 12 집들이준비중.. 2011/12/29 2,873
52475 올해 윤달이 몇 월이고 며칠부처 며칠까지 피할 수 있나요? 1 .. 2011/12/29 1,591
52474 도지사 김문수 패더리가 쏟아지는데 궁금한게.. 9 샹또라이 2011/12/29 1,803
52473 시애틀 워싱턴주립대학에 유학가는데요 2 이뿌이 2011/12/29 1,735
52472 고등 가기전에 언어영역 과외 필요한가요? 5 중등맘 2011/12/29 1,600
52471 지금 병원인데요ㅎ60대 할아버지가..쫄면송 듣고계시네요 ㅎㅎ 2 ㅎㅎ 2011/12/29 1,539
52470 여자가 대충 30대에 나이들어 하는 결혼에 대한 생각은요? 7 .. 2011/12/29 2,882
52469 개콘 시청자게시판에 벌써 3 ggg 2011/12/29 3,029
52468 보험공단에서 하라고 하는 검진 안하면 나중에 보험혜택 못 받나요.. 14 급질 2011/12/29 7,016
52467 휴롬 새거 중고로 팔려고 하는데 얼마에 팔면 팔릴까요? 6 고민 2011/12/29 2,492
52466 ㅇ사골 끓일때요. 1 찬물. 2011/12/29 488
52465 미국 L A 에 서 사올만한 물건 이 무엇이 있을까.. 5 ... 2011/12/29 2,026
52464 작품전시회 갈 때 선물? 1 가을바람 2011/12/29 9,742
52463 선물받은거 3 로얄살롯양주.. 2011/12/29 356
52462 이 게시판에는 그림은 안 올라가나요? 2 여쭈어요 2011/12/29 368
52461 남자들의 수다. 3 아줌마 2011/12/29 1,288
52460 앰네스티 ‘정봉주 양심수’ 검토…“선정시, 세계적 구명운동” 6 단풍별 2011/12/29 1,378
52459 저는 집에 전화해서.. 4 나는 엄만데.. 2011/12/29 1,046
52458 짝에서 말이죠.. 남자들의 심리가.. 정말 궁금.. 17 .. 2011/12/29 4,600
52457 김문수 도지사 장난전화 관련 패러디를 모아보았습니다. 11 세우실 2011/12/29 2,250
52456 우동집에서주는.. 3 ,,,,,,.. 2011/12/29 1,087
52455 내년 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문제 / 김문수편 1 저녁숲 2011/12/29 635
52454 아산병원도 폐, 심장쪽 잘 보나요? 3 ,. 2011/12/29 1,171
52453 이정희 의원님 트윗-한미 FTA대책법안 올리온 본회의 열렸습니다.. 2 sooge 2011/12/29 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