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금저축에 소득세 5.5%말고 더 많은 세금이 붙는다고....

부탁드려요 조회수 : 2,717
작성일 : 2011-12-08 20:34:07

제가 모네타 검색하다 궁금해서 문의드려요.

연금저축을 수령할 때 매달 5.5%소득세 말고 누진세 8~37.5%정도의 세금이 추가로 붙는다는데....

알고계세요?

그리고 소득공제 400만원도 연봉이 8800만원 이상 되는 사람은 이익이 있어도

그 이하는 전혀 이익이 없다고 하는데....맞나요?

또 보험회사마다 받는 연금수령액이 천차만별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왜 자세한 설명은 안해주고 무조건 들으라고

세금공제 받으니 로또라도 되는 양 판매에 열을 올리는지.....

본사에 물어봐도 대리점이 알아서하는거라고 개인FC하고 상담하라고만 하고

나중에 책임을 회피하려고 하는 술책 같기도 하고....

의심이 병인지

아님 우리 모두가 속고있는건지....

지금까지 5.5%소득세만 알고 있었지만

연금 총액이 연간 600만원이 넘는 사람은 무슨 세금이 어마어마하게 또 붙는다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남편이 연금이 월350정도 나올 예정입니다.

추가로 연금저축을 들려고 하는데 세금이 어마어마하다고 하네요.

알고계신 분

부탁드려요.

링크걸어서 사이트 소개해주신 분 말고요.

IP : 112.158.xxx.19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마
    '11.12.8 8:48 PM (58.234.xxx.212)

    총연금액 600이하는 분리과세가 되는데 그 이상은 종합과세되거든요 그래서 누진세율붙는거에요

  • 2. 몰랐어요.
    '11.12.8 8:54 PM (112.158.xxx.196)

    노후에 월 50만원 정도 연금 없는 사람이 있을까요?
    아마 대부분 월 50이상은 받는다고 생각하는데
    거기에 소득세 5.5%에다가 누진세가 8.*%~34%나 받아간다니
    도대체 노후 연금까지 세금으로 다 가져간다는 이야기 아닌가요?
    결국은 연봉 8800만원보다 적게 버는 사람은 연금저축을 드는 것은 바보라고 하는게 맞네요.

  • 3. 아마
    '11.12.8 9:03 PM (58.234.xxx.212)

    5%는 원천징수에요 나중에 기납부공제가 되요

  • 4. 은현이
    '11.12.8 9:08 PM (124.54.xxx.12)

    저도 요즘 연금 관련 해서 글들이 많이 올라 와서 가입설계서 약관 훑어 봤는데
    정확히 얼마를 받는 지 잘 모르겠네요.
    가입설계서에 보니까 기본 연금,축하금,배당금 등 해서 쭉 써 놨던데 금리 9%예상으로 꾸며놓은거라서
    훨씬 적을것 같은데 정확히좀 알고 싶은데 어디에 문의 하면 좋은지요.
    전 삼성 "기쁨 둘셋 연금 보험 " 15년 만기 11년 넣었네요
    저희도 세금 혜택 받을려구 개인연금이랑 저축 개념 남편 연금 이랑 해서 40만원 가량 들어 가는 데 그건
    정년퇴직 하면 바로 해약 할려구요.

  • 5. ..................
    '11.12.8 9:24 PM (112.158.xxx.196)

    연금저축을 해약하면 소득공제 받은 것 22%를 토해내야한다는 것까지 알고있었지만
    누진세 37%는 아무도 말해주지 않았어요.
    게다가 소득공제는 연봉이 8800만원 넘지않는 경우...하나도 이익이 없다고 하구요.
    또 앞으로 금리가 점점 내리면 연금도 당연히 줄어들게 된다고......
    그럼 결론은 들지 말아야 하겠네요.
    그래도 미리 드신 분들은 60세가 되기 전에 받으셔야 누진세를 안내고 받을 수 있다고 해요.

  • 6. 연금은 사기에요
    '11.12.8 9:34 PM (112.168.xxx.48)

    1995년 35세부터 매달15만원 15년완납했는데..2025년부터 매달25만원 20년간 나온답니다.30년만에 5만원 더받을려고 적금부은게 한심하고 이해안되어서 어제 해약했어요.원금2600인데 17년간 24%이자 나왔네요.17년전 부동산은 거의 강남기준 10배 올랐어요.17년전 돈은 월급의 20%이데 지금 승진했지만 월급의 2% 밖에 안되요.완전 휴지쪼가리입니다.해약하는데 화가나서 17년전에 15만원이 얼마나 큰돈인데..따졌더니 큰돈이었죠.미안하답니다.직원이 죄가 있나요? 옆집 아줌마말에 속은 내잘못이고 젊어서 생각이 짧은탓이거죠..저축이나 적금이 100배 낫죠

  • 7. 소득공제라는게.....
    '11.12.8 11:05 PM (112.158.xxx.196)

    나중에 소득세로 고스란히 내야하는 부분이라는 사실을 왜 알려주지 않는지 모르겠네요.
    결론은
    연봉이 8800이상 되는 사람이
    나중에 연금을 받기전에 미리 받아야만 이익이 되는 것이 연금저축이다!!!!!!
    즉 65세부터 연금을 받는다면 55세부터 64세까지 빨리 받아야 유리하고
    나중에 다른 연금과 같이 받을 생각을 한다면 큰 오산이다!!!!
    왜냐하면 누진세가 너무 많아서 결국은 손해가 되는 보험이다.

  • 8. 연금보험드세요..
    '11.12.9 2:26 AM (220.86.xxx.212)

    저두 연금 들때 소득공제 생각해서 연금저축 들까 하다가 나중에 받을때 세금 땐다고 해서 연금보험으로 들었거든요.. 요즘 비과세 되는거 많잖아요~

  • 9. 망고망고해
    '16.1.28 8:53 AM (58.233.xxx.239) - 삭제된댓글

    사회보장제도가 나날이 발전하고 있지만 보장제도만으로 노후를 대비하기엔
    너무나 부족합니다. 다가오는 고령화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 연금보험은 반드시 가입하셔야합니다.


    http://e-bohummall.kr/S001/page/bsave

    여기 연금보험비교사이트 괜찮더라구요. 다양한상품을 한눈에 비교할수있고 ,
    실시간 보험료계산도 가능하고.. 전문가 무료상담도 제공해서 추천해드리고 싶네요
    평소에 괜찮다거나 관심있던 상품 조회하면 보장내용도 쉽게 설명하고 보험료도 바로바로 나오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070 전세 알아보기 막내 2011/12/26 620
51069 홍대 공대 수시는 잘 한 거 맞죠? 2 아리송~ 2011/12/26 1,595
51068 이 교정할 때, 알아봐야 하는 것들..문의 4 목동 교정치.. 2011/12/26 1,112
51067 12월 26일 목사아들돼지 김용민 PD의 조간 브리핑 1 세우실 2011/12/26 732
51066 자살 중2 母 "나도 교사, 지난주 멍 물으니…&quo.. 8 ㅠㅠ 2011/12/26 4,276
51065 이화여대 재학생&졸업생 865명 경향신문 전면광고 22 참맛 2011/12/26 3,189
51064 예정일 넘겼는데 아기가 안나와요 10 초조임산부 2011/12/26 2,208
51063 어찌 빼야하나요?... 2 이놈의살 2011/12/26 902
51062 대치동 쪽으로 좋은 언어 선생님 좀 소개해 주세요 ㅠㅠ 4 으악 2011/12/26 1,056
51061 퍼펙트게임,마이웨이,미션임파서블4D,주말에 봤어요. 4 영화관 2011/12/26 1,522
51060 저도 시동생 결혼 부조금이 걱정됩니다. 21 .. 2011/12/26 3,494
51059 위내시경 검사 받아보신분들 12 조마조마 2011/12/26 1,812
51058 보일러에 대해서.. 4 보일러 2011/12/26 847
51057 강정마을 젓갈.... 드셔보신 분 계신가요? 긍정적으로!.. 2011/12/26 753
51056 바비인형 어디가 많나요? 2 남자만 둘 2011/12/26 548
51055 12월 26일 [손석희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1/12/26 637
51054 남편이 여직원에게 연애감정을 느끼나봐요 30 심난해요 2011/12/26 17,833
51053 망치로 깨뜨린 아이폰 액정을 수리하고파요 8 울컥 2011/12/26 1,516
51052 해결이 되어 원글 지웁니다. 6 미소쩡 2011/12/26 1,042
51051 경선 참여페이지 열렸습니다. 12 사월의눈동자.. 2011/12/26 614
51050 동생이 병원개원을 하면 부조금은 얼마 줘야 하나요? 16 정말 모르겠.. 2011/12/26 2,148
51049 맛있는 고구마 추천해주세요 1 귤대박 2011/12/26 801
51048 발이 접질러져서 발등이 부었어요 7 조심조심 2011/12/26 5,907
51047 미국에서 사용하던 자동차 한국으로 가져와보신분 계신가요? 3 ... 2011/12/26 967
51046 학교 운영위원회는 어떤 일을 하는가요? 3 ^^ 2011/12/26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