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냉장고...필수인가요?

궁금 조회수 : 2,740
작성일 : 2011-12-06 12:04:56

저는 결혼 7년차 아이 둘있는 주부입니다.

요즘 주변 집들 둘러봐도 김치냉장고 없는집이 없더라구요...

저희는 없거든요.

 

일단 김장을 안해서 넣어둘 만한 김치가 없구요..ㅠㅠ

지금 냉장고 여름에 수박 넣어둘때 빼고는 굳이 좁다는 생각이 안드는데

김치냉장고가 꼭 필요하고 정말 유용하다면

내년엔 하나 장만하고 싶은 생각도 드는데요...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꾸벅...

IP : 175.206.xxx.120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2.6 12:09 PM (211.206.xxx.110)

    김냉에 김치는 왼쪽만 넣고..오른쪽은 과일에 쌀 잡곡 가득이예요..과일 야채 많이 먹는집이라..많이 사다 놓으니..냉장고보단 좀 오래 가요..김냉에 김치만 넣고 사는법은 없어요..여름에 맥주 넣어놓음 와방 시원..

  • 2. 남편이
    '11.12.6 12:11 PM (114.203.xxx.124)

    익은 김치 말고 새 김치를 좋아하고 또 먹는 양도 많아서 김냉은 꼭 필요한 집입니다.
    여름엔 한쪽이 거의 과일로 채워지구요^^

  • 3. ..
    '11.12.6 12:11 PM (1.225.xxx.48)

    저희집도 김치를 별로 안먹어서 김치 냉장고가 필요한가? 했었는데요
    확실히 김치 냉장고에 김치를 넣으니까 그나마 조금 먹는 김치도 김냉에 두니 맛있더라고요.
    그래서 그 해는 김장이 두배나 더 빨리 소진되었어요.
    다른 식재료도 김냉에 두니 더 오래 가고요.
    전 스탠드형으로 사서 위에는 냉동고로 쓰니 참 요긴해요.

  • 4. 전 사랑해주고 있어요
    '11.12.6 12:13 PM (121.154.xxx.97)

    김치냉장고 말 그대로 김치를 저장해 주는 냉장고지요.
    김장때 보통때보다 김치를 많이 담지요. 일반냉장고에 들어가고도 남을 만큼이요.
    근데 일반냉장고는 김치가 계속 익어가지요 김치냉장고는 거의 일년내내 김치맛이
    크게 변하지 않아요. 김장때 김치 일년치 담아놓을수 있으니 정말 좋구요.
    저도 처음엔 김치냉장고 뭘~ 했는데 지금은 정말 고마워해요 ㅎㅎ
    다시물도 일반냉장고는 길어야 삼일정도지만 김냉은 일주일도 끄떡없고요.
    과일 채소도 김냉에 보관하면 오랫동안 싱싱하고요.
    하니만 글님은 김장을 안하고 일반냉장고도 널널하다니 굳이 필요할까 싶네요.
    김냉이 있으니 뭐든 쟁여놓고 그래서 어쩔땐 이게 좋은건가 싶기도 하고요.
    그때그때 조금씩 준비해서 먹는것도 낭비도 안돼고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요.

  • 5. 없어요
    '11.12.6 1:08 PM (183.98.xxx.79)

    예전에 있었는데 고장나고 나서 고치는 비용이 많이 들어 그냥 버렸어요.
    김냉 있을때 잘 썼었지만 없으니 또 그것에 적응하고 삽니다.
    예전처럼 많이 안 사고 먹을 만큼만 사니 항상 싱싱한 거 먹어서 좋구요.
    전기료도 적게 나가고....전 김냉 없어도 만족하답니다.

  • 6.
    '11.12.6 1:30 PM (112.187.xxx.132)

    자취하는데요. 나올때 엄마가 김냉을 바꿔서 전에 쓰던 아주 오래된 구모델을 가지고 나왔거든요.
    한쪽은 냥이들 사료 넣어놓고 한쪽은 김치한통, 쌀,잡곡 이렇고 넣고 쓰는데 너무 좋아요.
    뭣보다 쌀 여름에 벌레 안생겨서 안심할수 있어서 좋네요.

  • 7. 원글이
    '11.12.6 6:46 PM (175.206.xxx.120)

    모두 답변 감사합니다
    심각히 고민해봐야겠네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905 애플컴퓨터와 매킨토시에 대해 잘 아시는 분 5 왕궁금 2012/01/08 1,239
58904 이렇게 먹고 살다가는 큰일날것 같아요. 11 먹기 2012/01/08 10,506
58903 병원에 가야 할까요 2 ... 2012/01/08 1,224
58902 1.2월생조기입학생각하시는분들. 9 ggㅎ 2012/01/08 2,319
58901 흐미.....율무가 엄청 비싸네요 8 비싸.. 2012/01/08 3,054
58900 검은깨를 샀습니다. 씻어보신 분! 질문있어요 6 검은깨궁금 2012/01/08 2,053
58899 예전 자게 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3 2012/01/08 1,024
58898 영어 해석 좀 도와주세요. 1 duddj 2012/01/08 1,294
58897 세계 1위 자리 놓치지 않는 북한 safi 2012/01/08 988
58896 도서관 컴퓨터 사건..전 반대 경우네요. 3 문화 충돌?.. 2012/01/08 2,040
58895 혹시 우결에 나왔던 패딩, 혹은 방한복 잘 아시는분 3 잠바 2012/01/08 1,604
58894 혹시 아이 이름이 "지안"인 분들 계신가요? .. 17 이름짓기 2012/01/08 17,129
58893 밤에 벚꽃이 흐드러지게 꾼 꿈 2 벚꽃나무 2012/01/08 3,732
58892 가스요금 아끼는방법좀가르쳐주세요..안쓸때는 외출로해놓는게나은지 .. 2 스프링 2012/01/08 2,288
58891 서울 동묘로 출근시 동네(아파트) 좀 추천해주세요.. 4 아파트 2012/01/08 1,975
58890 브래드피트가 한국연예인으로 치면 누구정도되나요? 54 피트 2012/01/08 9,588
58889 후회하지 않아, 란 영화 보셨나요 ? 6 ... 2012/01/08 1,983
58888 아줌마 혼자 1박2일 10 놀란토끼 2012/01/08 2,990
58887 호텔서 사용하는 베개 추천 해 주세요. 2 holala.. 2012/01/08 2,126
58886 예비공대생, 물리를 전혀 모릅니다. 10 재수생맘 2012/01/08 2,664
58885 생식 먹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2 생식생식 2012/01/08 2,140
58884 르네휘테르 처음 사보려고 하는데 봐주세요 18 르네휘테르 2012/01/08 7,750
58883 결혼혼수 통통이 tv서 드뎌 led tv 지르게 됐는데...홈시.. 3 led 2012/01/08 1,429
58882 MB “아이 낳는게 외교업무보다 중요” 6 듣보잡 2012/01/08 1,501
58881 명품 휘감은 뻔뻔한 된장 모녀(사진) 24 .. 2012/01/08 15,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