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요즘 지방국립대 서열이 어느정도인가요?

궁금 조회수 : 3,824
작성일 : 2011-12-03 10:38:26

요새 선호도가 많이 떨어졌다고 들었습니다.

서울의 대학과 비교해 본다면 어느대학 서열정도인가요?

IP : 114.203.xxx.12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인마이오피니언
    '11.12.3 10:53 AM (125.180.xxx.163)

    서열보다도 전 졸업 후 어디에서 터를 잡고 살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 지역에서 자라서 그 지역 국립대 나와 그 지역에서 살아가실 분이라면 지방 국립대 추천합니다.
    하지만 서울서 나고 자란 사람이 대학만 지방국립대 졸업하고 다시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사실 분이라면
    비추입니다. 대한민국은 인맥사회입니다.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겠지만요.
    저희들끼리 얘기로 향토존 지키면서 사는데에는 인서울보다도 오히려 지방국립대가 좋다고도 해요.
    지방대학 나와서 요즘 서울에 취직도 어렵지만 취직 된다하여도 학연으로 엮여진 기업문화에서도 좀
    외롭고 힘듭니다. 타지역에 사시는 분이 오로지 등록금 저렴하다는 이유로 국립대 가시는 것은 인생을
    좀 길게 보고 생각할 때 마이너스 요소가 많아요.
    저는 그 지역에서 태어나 계속 살아가실 분에게만 지방국립대 추천합니다.
    저는 15년전에 지방국립대 나와 서울서 취직해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20여년전에 지방에서 내신1등급에 서성한을 추천하던 선생님들고 계셨지만 지방에서 사립대 등록금과
    하숙비용생각하면 지역 국립대 가는 것이 당연한 효도라 생각했던 1인 입니다.
    지금 제 자식들 생각하면 인서울이 목표지요. 지금은 수도권 살고 있으니...
    질문의 의도에 맞는 댓글인지는 모르겠으나 졸업 후의 인생설계도 함께 고려해 보셨으면 해서 글 올립니다.

  • 2. 서열
    '11.12.3 11:08 AM (118.220.xxx.49) - 삭제된댓글

    애매하네요.. 위에 리플 단 분 말마따나 학생의 원래 생활터전이 어디였느냐에 따라 다르겠죠.
    원래 서울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에게는 건동홍 라인 정도가 될 것 같구요.
    그 국립대가 있는 지방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에게는 중경외시 라인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 3. 글쎄요.
    '11.12.3 11:34 AM (1.251.xxx.68)

    그 국립대가 있는 지방에서 나고 자란 학생들에게도 중경외시 정도는 아닐겁니다.
    절대 아니죠.
    20년쯤 전에는 그랬어요.
    지금은 많이 훅 갔죠.
    인서울 하위권 대학 정도 될까 말까.

  • 4. 과거
    '11.12.3 11:56 AM (125.137.xxx.235)

    요즘은 지방 국립대가 중경외시 못 따라가죠.

    우리 앞집 아이가 지방(제가 사는 지역) 국립대 장학생 포기하고 시립대 갔어요..
    무조건 인서울~~

  • 5. 대학2학년..
    '11.12.3 11:58 AM (183.103.xxx.46)

    우리아이가 경희대와 부산대 ..고민하다가 그냥 부산대갔어요. 2년전..
    저는 그냥 서울로 갔으면 했지만..아이가 원하는 학교와는 넘 동떨어져서..ㅠㅠ
    본인생각은 거기보다는 차라리 여기가자..하는 생각이었던것같아요.
    높은과는 경희대랑 비슷하구요. 좀 낮은과는 그 밑라인 인것같어요.

  • 6. ....
    '11.12.3 12:02 PM (59.25.xxx.90)

    이번에 사법고시.수석이 지방국립대 나온 24세 여자더군요. 고시 힙격률도 서울고려연세성균관이 우월했고 그담 한양이나 지방 국립대ㅡ경북대 전남대ㅡ나 비슷했어요.그러니.건동홍라인이라고 단정 지을순.없는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167 박희태 국회의장 비서 사표? 2 .. 2011/12/06 1,770
47166 뽐뿌 통신업체게시판에서 인터넷 가입하신분 계신가요? 2 통신업체이동.. 2011/12/06 2,003
47165 꼼꼼한 가카, 물민영화 추진중!4대강사업 진짜목적드러나 3 참맛 2011/12/06 2,453
47164 "MB 일 터지면 미국으로 도망갈 것" 6 .. 2011/12/06 3,733
47163 냉장고냄새 3 질문 2011/12/06 2,192
47162 초3 남아 훈육에 대해서 조언을 구합니다. 4 .. 2011/12/06 3,601
47161 그룹별 과학실험교실 어떤가요? 1 감량중 2011/12/06 1,613
47160 생신상.. 이제는 좀 사먹었으면 좋겠는데 24 임신7주 2011/12/06 3,783
47159 초등 아이들이 좋아할만한, 간단한 새콤달콤한 동치미 레시피 없을.. 2 본죽의 동치.. 2011/12/06 1,628
47158 신한카드중 쓰임새가 가장 많은건 뭘까요? 4 주부입장에서.. 2011/12/06 2,744
47157 입시설명회에 가보니... 1 ** 2011/12/06 2,303
47156 김치냉장고...필수인가요? 7 궁금 2011/12/06 2,735
47155 그런데..대체 연예인들이 그런 비디오..왜 찍는건지...이해불가.. 24 이해불가 2011/12/06 18,463
47154 내년에 7세 되는 우리 아들 어쩔까요? 2 고민스러워요.. 2011/12/06 2,169
47153 동네에 일반 빵집들 많이 있나요 15 얼마만인가 2011/12/06 3,151
47152 애들 선물 고민입니다. 크리스마스 .. 2011/12/06 1,608
47151 점 빼고 왔는데, 어떻게 관리하나요? 8 드뎌 2011/12/06 8,350
47150 아침드라마 태양의신부 보시는분 계세요? 2 스토리가 궁.. 2011/12/06 2,774
47149 부모에게 원한까지는 아니어도 맺힌게 있으면 평생 가는거같네요 8 부모와 자식.. 2011/12/06 7,237
47148 금값 오르는 중인데 다같이 참여해 보아요~ 오미짱 2011/12/06 2,072
47147 더 이상 비디오 유출로 연에계서 퇴출되는 건 반대합니다! 11 참맛 2011/12/06 4,109
47146 냉장고에서 소리가 나더니 냉기가 전만 못해요 1 참참 2011/12/06 3,266
47145 알타리가 덜절여져 싱거운데 뭘더넣을까요? 1 지현맘 2011/12/06 2,275
47144 아이 사고 후 보험보상 관련으로 문의드려요 2 보험보상 2011/12/06 1,856
47143 3개월 여아인데요..도와주세요.. 7 새댁임 2011/12/06 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