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드라마 보면 부분 조명을 많이 쓰던데..

> 조회수 : 2,712
작성일 : 2011-11-30 11:50:24

왜 그럴까요? 아늑해 보여서?? 집이 넓으니 그렇게라도 집 꾸밈을 해 놓아야 해서?

가난한 집이든 부잣집이든 다들 부분 조명이네요

환한 분위기는 시트콤에서나 보여지는듯 하고..

 

천정에 공사를 안하는 건지...부분 조명하면 전기세가 더 비쌀듯 한데..

영화나 드라마 볼때마다 궁금해요~

 

 

IP : 121.170.xxx.9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1.11.30 12:02 PM (174.93.xxx.107)

    외국은 왜 부분조명이냐면요

    건물이 지어진지 오래되어서 그런거 같아요 (제 짐작입니다)
    보통의 집들이 보통 100년씩 오래된 집들이 많거든요

    그 시절에 웬 전등이 있었겠어요

    그러다 전기가 들어왔고, 선을 건물안에 갑자기 넣기보다는
    스텐드라는 걸 쓰는게 쉬웠을거구

    그렇게 살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되었겠죠

    그리고 목조 건물들이 많아서 전선을 안에 넣는거보다는
    스텐드를 쓰는게 안전할거 같네요

  • 2. 동감
    '11.11.30 12:06 PM (222.238.xxx.49)

    윗분 말씀이 맞아요. 우리 나라는 기본적으로 직접 조명이지만 미국만 해도 간접조명이 기본이랍니다.

    미국 아파트 가보면요, 우리 나라처럼 전구만 끼워 넣으면 불 오게 되어 있고 뭐 그런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아요. 전기 꽂는 곳만 있지요. 우리 나라가 집들어 오면 조명 스위치 켜는 식으로 얘네들은 스탠드 켠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 3. ..
    '11.11.30 12:12 PM (221.148.xxx.37)

    미국에서 지진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들었어요. 지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경우가 커서 우리나라와 같은 조명시설을 하지 않는다고요.

  • 4. 나거티브
    '11.11.30 12:17 PM (118.46.xxx.91)

    미드를 그렇게 보고도 그냥 드라마에서 분위기 잡느라고 그러는 줄 알았는데,
    이유가 있었군요.

  • 5. 외국에서
    '11.11.30 12:26 PM (210.94.xxx.89)

    잠깐씩 생활할때 젤 힘든게 바로 그 조명이었어요..
    상대적으로 전력 효율도 나쁜데 왜 그런 누런 백열등으로 부분 조명을 하는지..
    호텔에서 책보기도 힘들고..

    지진 같은 부분도 있긴 하겠지만, 일반 주택의 경우 목조 주택이 많아서 천정 조명을 별로 안한데요

  • 6. 전구발명이
    '11.11.30 12:31 PM (174.93.xxx.107)

    1880년에 전구가 발명이 되었네요

    그런데 미국이나 카나다에 있는 많은 집들은 그당시에 지어진 집들이 아직도 많구요
    전구의 상용화는 한참 이후였을거니까

    스텐드를 쓰기가 훨씬 편했을거구
    그러다보니 그게 생활화가 된게 맞는거 같네요

    한국도 전에는 전기줄이 천정에 늘어지고 그랬었지요 ㅎㅎ

    그때가 그립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609 알루미늄 파우치 파는 곳 아시는 분? 1 홍삼 2012/01/02 1,914
56608 다이렉트 차보험 괜찮나요? 5 여자시대 2012/01/02 1,326
56607 새해 벽두부터 지역 문화센터강좌 이런거 보니 화 나요.. 28 -_- 2012/01/02 3,780
56606 싱가폴뱅기 가장 싼거 얼마나 하나요? 2 땡처리루요 2012/01/02 1,929
56605 남편....xxx! 5 화가나요.... 2012/01/02 2,861
56604 남친이 이상한 말을 했는데 신경쓰이네요..ㅜㅜ 16 ?? 2012/01/02 12,066
56603 1월 2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4 세우실 2012/01/02 1,012
56602 외박한 아들이야기를 보다가 생각난 이야기입니다 2 선배이야기 2012/01/02 2,635
56601 포항 초등폭력 내용 좀 알고 싶어요 아빠 폭력전.. 2012/01/02 1,670
56600 학원선택 어렵네요~~ 3 선택 2012/01/02 1,234
56599 고등학교 교복 가격 얼마나 할까요 4 ㅇㅇ 2012/01/02 6,404
56598 여성복 브랜드중에 List 란 상표가 있나요? 4 새해 2012/01/02 2,238
56597 쫄고 있습니다 1 쫄고있음 2012/01/02 1,497
56596 이혼하려는 데 법무사나 변호사를 고용하는 것과 혼자 하는 차이를.. 5 . 2012/01/02 3,779
56595 시부모님 집들이 메뉴랑 기타등등 조언좀 해주세요 절실해요 ㅠㅠ .. 5 멋쟁이호빵 2012/01/02 1,874
56594 이 시간에 내일 아침을 위해 해놓은 것들 3 준비 2012/01/02 1,967
56593 sat 학원 추천 11 여름 2012/01/02 7,327
56592 세수하고 기초화장품 딱 하나만 바릅니다.. 16 다은맘 2012/01/02 8,961
56591 빨래가 빳빳한건 왜일까요? 6 빨래 2012/01/02 4,544
56590 나이 들 수록 친구가 없네요... 29 친구 2012/01/02 20,923
56589 저 잠들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5 불면증 2012/01/02 1,418
56588 밍크코트, 오리털패딩, 가죽가방...과연 인간에게 어디까지가? 21 applet.. 2012/01/02 4,815
56587 귀 뒷쪽이 콕콕 쑤시는데.. 5 감기인가요?.. 2012/01/02 17,076
56586 다음과 네이버 검색순위 참 차이납니다.. 3 정봉주1회 2012/01/02 1,729
56585 아버지와 문제요 3 응? 2012/01/02 1,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