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1 맘님들 아이 공부에 대해 질문좀..

조회수 : 2,701
작성일 : 2011-11-29 10:05:27

수학중에서 풀이 식 답 적는 문제들 있잖아요.

풀이 적는란에 큰 공간 있어서 영희는 어쩌고 하고 식 적고 답적는 문제요.

이거 다른 아이들 잘 하나요?

우리아이 덧셈 뺄셈 잘 하고 다른것도 잘 하는데 이런식의 긴 문제는 전혀 못해요.

아무리 반복해도 소용없고 이젠 애초에 이런 문제 나오면 손을 안댈려고까지 하네요.

문제를 읽었을때 영희가 구슬을 5개 가져갔다고 하면 -5를 하면 되는데 이런걸 못해요.

아이 아빠는 이렇게 긴 문제를 이해하고 풀수 있으면 그게 초1이냐라고 얘기는 하지만 풀수 있고 풀어야 되니까 초1 문제집에 나오고 시험에 나오는게 아닐까요.

이걸 다른 아이들도 못푸는지 우리아이만 못푸는지 모르겠네요.

아니면 다른 아이들은 예전에는 못풀었는데 이젠 잘 푼다면 우리아이가 좀 이해력이 떨어지는건지..

IP : 120.73.xxx.237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게
    '11.11.29 10:07 AM (180.230.xxx.169)

    이해력 문제인것 같아요. 저는 어른이 봐도 너무 생소한데 아이는 의외로 잘 풀더라고요. 잘 풀기는 해도 그걸 이해하고 식으로 만드는 것이 아주 쉬워 보이지는 않아요.

  • 2. ...
    '11.11.29 10:09 AM (108.41.xxx.63)

    빼기는 더하기보다 더 어려워해요.
    실생활 예를 많이 들어 주시고 예를 들어 사탕이 열개였는데 영희가 2개를 먹으면 몇개 남았냐 이런 거죠.
    실제로 사탕 갖다 좋고 덧셈 뺄셈 하게 해 주세요.

  • 3. ..
    '11.11.29 10:10 AM (121.170.xxx.92)

    울집 아이도 그런 문제 나오면 헤매요. 이게 무슨 소리냐고 덧셈을 해야 하는지 뺄셈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짜증냅니다... 비슷한 유형을 계속 풀어 보는 수밖에 없어요.
    왜 79인가? 풀이과정: 10개씩 일곱 묶음이고 9개가 남기 때문에...뭐 이런 문제도 있는데 막 헤매요.

  • 4. ^^
    '11.11.29 10:10 AM (121.162.xxx.70)

    저희 아들 1학년 처음 들어가고 단원평가만 보면 꼴등을 내리 세번을 하는거예요.
    집에서 제가 문제를 읽어주고 오답풀이를 시켜보면 잘 맞추는데 혼자 읽고 풀때는 못하는 거였죠.
    수에 대한 계산을 못하는게 아니고 읽기 능력 부족이란 생각에 아이 연령보다 한단계 낮은 책을 매일 여섯권씩 자기전 읽어 줬어요.
    딱 두달 지나니까 문장제 문제들도 잘 풀어내더군요.

  • 5. como
    '11.11.29 10:10 AM (116.40.xxx.139)

    그게 이해력문제라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고 하는건데 우리아들 책 안 읽는편인데 잘 하는거보면 어느정도 이해력이 타고나는게 아닐까? 생각이 들어요

  • 6. ...............
    '11.11.29 10:11 AM (211.235.xxx.20)

    울집 아이도 한글을 늦게 가르쳤더니 그런 불상사가 좀 있어요.
    물론 님이 말하는 문제는 다 풉니다만
    슬기로운 생활이나 국어문제에서 엄청 헤맵니다.
    본인의 생각을 묻는 문제만 나오면 그냥 백지를 내죠.
    그문제 못풀면 국어에 문제가 좀 있는듯 합니다.
    유아논술같은거 하면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방법밖에 사실 없어요.
    요즘 초등1학년 문제들을 보면 우리 자랄때와는 영판 다릅니다.
    그냥 직설적으로 일더하기일은? 하는 문제는 없어요.
    문제를 많이 풀어보고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방법... 그리고 대화 많이 하기..

  • 7. 바느질하는 엄마
    '11.11.29 10:15 AM (211.246.xxx.200)

    서술형 문제 말씀이시죠? 저희 아이도 1학년인데..일단 이런식의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나오기 때문에 꼭 풀어봐야 합니다.

    사고력 수학의 기본이기도 하고요..이런 문제도 훈련이 필요하구요. 어릴때부터 책을 많이 읽은 아이들은 좀 더 잘합니다..

    결국은 문장 독해력이 있어야 하니까요..일단 문제를 읽을때 한문장씩 끊어 읽혀보세요. 연필로 표시하면서..

    그리고 그림을 그리라 해보세요..갯수대로 동그라미를 그리고 거기에 덧그리거나 지워나가도록..

    어차피 이런 문제도 트레이닝 입니다..걱정마시고 이런 문제만 뽑아서 엄마가 함께 풀며 요령을 일러주세요.

    아이가 아직 감을 못잡아서 그런겁니다..

  • 8. ㅇㅇ
    '11.11.29 10:22 AM (211.237.xxx.51)

    이제 고등학교 들어가는 애 엄마인데요.
    국어를 못하는 애들은 수학도 못하고 영어도 못하고 과학도 못하고 사회도 못하고
    전과목 다 못합니다....
    그만큼 국어가 중요하더군요..
    학년 올라가면 갈수록 더 심해져요.
    수리력이 좋은 애들도 문제를 이해못해서 헤매면 수리력 소용없어요..

  • 9. 바느질하는 엄마
    '11.11.29 10:42 AM (211.246.xxx.200)

    윗님..1학년도 기말고사가 있나요? 요즘 수시평가 아닌가요? 그리고 1등은 어떻게 아시나요?
    등수가 나오나요? 저희애 학교랑 다른거 같아 여쭈어요..

  • 10. mm
    '11.11.29 11:03 AM (218.237.xxx.218)

    서술형 중에서 식 적고 답 적는건 쉬운 문제에 속하더군요.
    전 아직도 이해안가는 게 아직 국어도 완성되지 않은 초등학교 1학년들에게 풀이과정 적게 하는 문제를
    내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인과관계도 안배운 애들에게 따라서 이건 어쩌구 저쩌구 결론을 적게하니...

    아이 어릴때부터 요즘 수학문제 자체가 독해력이 되어야 풀 수 있다는 말 듣고 책 많이 보게 했고
    (지가 재밌다고 본거지만) 국어 공부에 신경써서 한자 공부까지 하고 있는데 기말시험 본다고 문제지
    풀다보니 정말 독해력 없는 아이들은 문제 자체를 이해못하겠단 생각 많이 들어요.

  • 11. mm
    '11.11.29 11:05 AM (218.237.xxx.218)

    바느질하는 엄마님 초 1학년도 기말시험 있어요.
    학교마다 1학기부터 기말 보고 2학기엔 중간, 기말 보는 학교도 있고 우리 아이 학교처럼
    2학기에만 기말 보는 학교도 있구요. 제가 알기론 서울 초등학교들은 중간, 기말이 없다고 들었어요.

  • 12. 바느질하는 엄마
    '11.11.29 11:10 AM (122.35.xxx.4)

    아..그렇군요..저는 서울이라 ..근데 등수도 나오나봐요..후덜덜..

  • 13. 독수리 날다
    '11.11.29 11:36 AM (175.112.xxx.250)

    위에 ^^님 말씀에 동감해요...

    요즘은 아이 때부터 책 안읽고 스스로 생각해 보지 않으면, 서술형 문제는 그 자체를 이해 못하더라구요,,
    큰딸은 지금 초2...작년엔 학습지 같은 걸 한번도 해 본적이 없어서 시험 자체를 이해를 못했는데 지금은 시험도 어떤거다..알아서 잘 하는 편입니다.. 책도(한글책 뿐 만 아니라 영어책도) 읽는 수준이 좀 높구요..

    근데, 지금 둘째 7살 아들래미 보면 한숨만 푹푹...
    요즘 한글책 읽기 완전 매진하고 있답니다...^^;;;

  • 14. ...
    '11.11.29 12:05 PM (112.151.xxx.58)

    저는 식쓰는 연습을 엄청 시켰어요.
    지금 2학년인데 제법 논리적으로 써내려 갑니다.
    답이 틀려도 식이 맞으면 토닥토닥해줘요.

  • 15.
    '11.11.29 12:45 PM (123.212.xxx.170)

    그런 문제로 어릴때 사고력 수학을 시켰어요.. 문장제 위주의 이해력이 필요로 하는...
    가끔은 교과서랑 너무 달라서 이걸 내가 왜 시키나 싶지만..
    울 아이는 긴 문장제의 문제를 아무런 어려움없이 풀어요... 적어도 문장 이해는 잘 되거든요..

    책읽기 워낙 좋아해서 꼭 시켜야 할까 싶었는데.. 용어와 이해의 차이가 있어서..
    그냥 시켰어요... 시매스 이런거 하다가 좀 아닌듯 해서... 바꾼건데..

    아직은 별 변별력 없지만... 문장제가 어렵다거나 하진 않네요.

    교과서에서도 많이 나오는거 같던데요...
    요즘 국어 못하면 전과목이 어렵다고 해서...;;

    효과적인 책읽기에 저도 고민중이에요..
    저도 책 너무 좋아하지만... 그냥 좋아해서 읽기만 한다고 되는건 아니기에...;;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7183 민희진 '업무상 배임' 혐의 없음…경찰, 불송치 결정 00:01:15 91
1737182 챗지피티한테 이 질문 ㅇㅇ 00:01:02 49
1737181 전세금도 집주인 dsr로 잡는다는 소리가 있는데 3 가짜경제지표.. 2025/07/15 182
1737180 교육활동 평가 학부모 설문이 실명이네요 충격입니다 2025/07/15 125
1737179 바빠서 오늘 82처음 들아와요 ㅜㅜ 5 !! 2025/07/15 219
1737178 강선우가 갑질한 문자 공개한다면서요? 12 ... 2025/07/15 931
1737177 수박이 너무 맛있어요.^^ 5 ^^ 2025/07/15 526
1737176 이재명이 축협 찢어주면 지지로 돌아서겠음. 7 축구 2025/07/15 487
1737175 운전할때 얼굴보호 운전할때 2025/07/15 133
1737174 학원 사설모의고사 신청 후 오뚜기 2025/07/15 105
1737173 강선우고 무슨 진숙이고 간에 국짐하는 꼴 보니 다 통과될 듯.... 2 ***** 2025/07/15 357
1737172 강선우 곧 장관님 힘내시라 8 정청래 2025/07/15 447
1737171 강선우는 어렵나봅니다. 24 현재 2025/07/15 1,762
1737170 서울대서 울려 퍼진 '부정선거 음모론'…재학생들 규탄도 5 광화문으로가.. 2025/07/15 864
1737169 저희 아파트 음식쓰레기 처리 문제가 심각해요 3 .. 2025/07/15 739
1737168 인라인하키 국가대표 선발전관련 비리의혹 분노의타이핑.. 2025/07/15 93
1737167 이연복 국밥, 식약처 판매중단 회수조치 1 ........ 2025/07/15 1,351
1737166 권력의 사냥개, 감사원 ㅠ 7 쓰레기 2025/07/15 673
1737165 진짜 최근 3여년동안 개신교 혐오 최고조예요 23 .. 2025/07/15 1,340
1737164 나만의 시간이 없다는 것도 2 ㅁㄵ 2025/07/15 570
1737163 오늘 남편이 아내분 자전거 가르쳐 주더라구요 2 0011 2025/07/15 782
1737162 손절도 쉬운게 아니네요 1 ... 2025/07/15 1,036
1737161 책 거절사유가 정치적목적이라고 취소됨 7 ㅇㅇ 2025/07/15 988
1737160 군대간 아이 오한이 심하다는데 어디가 아픈걸까요? 12 군대 2025/07/15 1,082
1737159 단씨 성도 있어요? 6 ??? 2025/07/15 1,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