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옛날부터 궁금하던 거

하나 조회수 : 2,219
작성일 : 2011-11-27 10:59:25

우리 나라에 아이들 미국이나 영어권 아니면 하여튼 외국으로 유학 보내신 분들 많잖아요.

그런데 그 분들 나중에 아이들 거기서 직장 잡고 살게 하려는 건가요? 아니면

직장은 한국에서 잡는 걸 생각하고 보내는 건가요?

학교 다닐 때야 외국이 좋아 보이는데 나중에 크고 나서 직장을 거기서 잡으면

한국에서 산다는 건 거의 힘든 얘기잖아요. 그러면 결국 자식 하고도 보기가 어렵게 된다는 얘기인데

또 그 뿐만 아니라 태어날 손주들하고도 말이나 제대로 통할까 싶고 어쨋든 결국 애 초중등 때

미국 보내면서 결국은 한국엔 두 부부만 살게 된다는 얘기로 생각되면 전 좀 뭔가 허전해지고 그렇거든요.

여기서도 꼭 끼고 같이 살겠다는 얘기는 물론 아니예요. 하지만 같은 곳에서 같이 한 집에 안 살아도

공유하는 게 있는 곳하고 거긴

왔다 갔다 하면 된다지만 거리를 보든 뭘 보든 한국하곤 비교도 안 되고 무엇보다 같이 하는게 적고

문화나 살아가는 방식이 엄청나게 다른 두 곳이다 보니 거리감이 너무 너무 시간이 갈수록 점점

많아지겠다 싶은 거예요.

사는 재미가 자식한테서 돈을 받아서가 아니라 오고 가고 사는 거 한번 씩 보고 무슨 일 있을 때

모여서 함께 하고 하는게 누군가가 있다는 걸 느기게 해주는 건데 자식이라도 그리 멀리 있고

살아가는 공간이 그렇게 다른 곳이면 갈수록 손님 같아지게 되는 것이 서글플 것도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나는 그냥 그간 애한테 돈 대주는 키다리 아저씨 스폰서이고요. 

지금은 다들 보내놓고 아직 노후까지 경험한 사람들이 많지 않은 세월이라서 그런데 앞으로 한 10년

더 지나면 점점 외국 보낸 자식은 거기서 살고 여긴 늙은 두 부부만 사는 사람들이 많아 지겠다 싶은데

그런 거 다 상관없다 하고 보내시는 건지 궁금해요. 

미국은 막상 거기 대학 들어가도 졸업하기 어렵다 하시는데요 그럼 거기서 졸업하고 직장 거기서 잡으면

대부분 차라리 미국이든 외국 다른 나라건 거기서 애가 사는게 더 낫다고 생각하시나요?

제가 아니어서인지 다른 분들은 어떤지 궁금해요.

 

 

IP : 211.61.xxx.218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각 가정의
    '11.11.27 11:11 AM (174.118.xxx.116)

    ...사정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 양태를 보이죠.
    한국시민인지 아니면 외국시민인지, 영주권자인지...신분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하고, 경제력으로 양쪽 나라를 오고가는 가족들도 많구요. 아예 한국으로 완전히 정착하는 가족들도 제법 되죠.
    각 나라에서 살 수 있는 '힘'(돈이나 신분 , 직업이나 적응력등)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게다가 북미나 일본,중국등 선진 몇 국에서는 한국이민사회가 워낙 막강해지면서
    원글님이 하시는 걱정은 많이 희석되는 것같아요.

  • 2.
    '11.11.27 11:13 AM (211.202.xxx.24) - 삭제된댓글

    부모가 자식을 보낼 때, 얘를 미국에서 직장을 잡게 하겠다, 한국에서 직장을 잡게 하겠다, 생각하고 보내봤자 소용이 없어요.

    일단, 명문대는 우르르 한국인들이 잘도 들어갑니다만..(미국은 입학은 정말 쉽거든요.)
    졸업한 애들이 정말 몇 안되요.(석,박 말고 학사 얘기하는 겁니다.)
    일단 졸업 안 된 애들은 한국 중위권 대학으로 편입하거나 졸업 안 된 채로 그냥 한국 들어와서 취직 기웃거리는 경우가 허다하구요.

    졸업한 애들을 보아도, 왠만한 명문대 간판에, 뛰어난 학점에, 뛰어난 영어 실력(의외로 4-5년 살아도 말하는 수준이 안올라가는 애들이 있습니다.)이 갖춰진 인재가 아니라면 미국 내 취업이 힘듭니다. 물론 예외도 있죠. 간호학 한 친구들은 취직 정말 잘되었어요. 그건 그 직업의 수요가 워낙 넘치다보니 예외이구요.
    그런데 금융, 건축, 경영, 언론 모두 왠만한 인재 아니고서는 미국 내에서 번듯한 직업 잡기 힘듭니다.

    그래서 한국 생활 정말 정말 싫어했던 친구들만 미국에서 그냥 남고 나머지는 다들 한국으로 돌아옵니다.
    미국에서 남은 친구들도 결국 취직한 곳은, 도시는 그럴듯한 곳이지만 기업 자체는 고만고만한..미국인들 기준에서는 잘갔다 라고 생각하지 않는 기업들.
    그래서 결국은 대부분 한국 컴백입니다.
    그리고 그냥 한국 대학 나온 아이들이 들어가는 곳에 같이 원서를 쓰죠..

    결론은 부모가 아이가 미국 남았으면 하고 원해봤자, 거기서 번듯하게 남을 수 있는 아이는 몇 안됩니다. 대부분 돌아옵니다.
    물론 난 미국의 사회 분위기가 좋더라..하는 친구들은 직장이 그저그래도 거기서 정착해서 잘 살지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120 고등학교 입학하는 친구딸 무슨선물이 좋을까요~ 6 연이맘 2011/12/08 1,744
48119 82어플 댓글안보여요 3 아이폰 2011/12/08 1,442
48118 목동에 스키복 할인매장 없나요? 2 두아이맘 2011/12/08 2,469
48117 행복한 곳으로가 편히 쉬렴... 2 카미 2011/12/08 1,831
48116 영어 설명서인데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2 도움부탁해요.. 2011/12/08 1,605
48115 이럴 경우 어떻게 하세요? 4 ㅋㅋ 2011/12/08 1,398
48114 코스트코에서 반찬거리 될만한것.. 뭐 살만할까요? 5 코스트코 2011/12/08 4,621
48113 단감이 김치냉장고에서 얼었어요 도와주실래요? 1 ㅎㅂ 2011/12/08 1,938
48112 론스타 먹튀 막고 외환은행 지킵시다~! 4 apfhd 2011/12/08 1,523
48111 날씨상 바람이 세지 않은데도 현관문이 잘 안열릴정도로 압력을받아.. 외국인데요 2011/12/08 1,712
48110 [급 질문이요!] 부산역 근처 맛있는 고기집 추천해주세요~ 짱구엉덩이 2011/12/08 1,831
48109 남자가 "진지하게 만나자" 10 .. 2011/12/08 6,032
48108 아이 당장 내일 과학 시험인데요. 3 2011/12/08 1,690
48107 정시원서.. 5 ... 2011/12/08 2,358
48106 부동산 중개 수수료 보통 얼마나 받나요? (3억 이상시) 5 집 구하기 2011/12/08 3,337
48105 아이들 감기걸렸다하면 폐렴으로 가네요 5 ,,, 2011/12/08 2,214
48104 라텍스매트위에 왜? 9 ㅡㅡㅡㅡㅡㅡ.. 2011/12/08 7,813
48103 2011년 투명사회상 수상자 - 주진우기자 등.. 2 ^^별 2011/12/08 2,164
48102 머리가 다 빠져나가요ㅜㅜ 4 대머리 2011/12/08 2,129
48101 공 씨 만난 김 비서관, MB 경호비서 출신 1 흠... 2011/12/08 1,392
48100 대통령 친인척과 한·미 FTA 세우실 2011/12/08 1,578
48099 집을 지으려면... 3 나이젤 2011/12/08 1,805
48098 관심에서 멀어지면 안됩니다.대한문7시, 성북7시 과식농성 3 잊지말자FT.. 2011/12/08 1,516
48097 미국에 사는 친구딸(초등 5학년) 선물로 어떤게 좋을까요? 3 나-양 2011/12/08 2,646
48096 신은 왜 남자와 여자를 만들었을까요? 나름 진지한 고민; 7 오 신이시여.. 2011/12/08 2,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