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그래도 밥은 먹어야지!(곤드레 나물)

지진맘 조회수 : 3,038
작성일 : 2011-11-25 16:25:32

밥 먹고 힘냅시다

정선에서 사온 말린 곤드레 나물이 있어요

일단 곤드레밥은 말구요( 이미 쌀 마니~ 담갔음)

볶아 먹거나 암튼.. 적당한 요리법을 좀 알려주세요

지금 물에 담가 두긴 했는데 불리면 얼마나 양이 늘어날지

오늘 저녁 반찬으로 먹을 수는 있는지 (시간이 어찌될지..)

그냥 시래기 볶듯이 볶으면 되는지....

제가 시레기 나물은 몇번 해먹엇고요

곤드레는 처음 입니다.

부탁합니데이~

IP : 122.36.xxx.1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1.25 4:33 PM (183.98.xxx.10)

    제 경우는 끒는 물에 삶아서 하룻밤 그냥 솥째로 둬요. 그래야 먹을 만하게 부드러워지더라구요. 제 것은 잘못 샀는지 흙이 엄청나와서 씻으면서 좀 힘들었어요.

  • 2. 나거티브
    '11.11.25 4:41 PM (118.46.xxx.91)

    아 부러워요~
    나물 맛있게 드시고 힘 팍팍 내세요.

  • 3. 지진맘
    '11.11.25 4:51 PM (122.36.xxx.11)

    감사~ 끓는 물에 삶는다는 말에...
    참 그렇지 했네요. 안그러면 그냥 천년만년 물에 담가 둘 뻔 했어요
    시레기도 잘 삶아야 연하게 잘되는데...
    방금 물 끓여 푹 삶았네요
    이따 보고서 상태 괜찮으면 볶고 아니면 내일 ~ ^^

  • 4. 저도
    '11.11.25 4:56 PM (211.246.xxx.230)

    정선에서 사와서 한달을 그냥 두었다가 지난주에 해먹었는데요. 곤드레나물 말린 거면 우선 하룻밤 정도 물에 담가두었다가 냄비에 담아 물이 나물 위까지 오게한 후 30-40분정도 끓여줘야해요. 압력솥은 5분만 하면 된다네요. 그리고 다시 찬물에 한 30분정도 담갔다가 여러번 헹구신 후에 꼭 짜서 달군 후라이팬에 들기름 또는 참기름 두르시고 마늘을 살짝 볶다가 곤드레나물 넣고 국간장으로 간 하시구요. 불은 중불이나 약불로 한참 볶아줘야해요. 중간에 물을 좀 붓어서 볶아 주시구요. 좀 더 부드럽더라구요. 그리고 마지막 간은 소금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
    곤드레를 처음사본지라 어떻게 요리하는건지 물으니 주인 아줌마가 요리법 프린트된 종이를 두시더라구요. ^^
    맛있게해서 드시길 바랍니다. ^^

  • 5. ...
    '11.11.25 5:25 PM (112.167.xxx.205)

    전 곤드레 요리중
    밥이 1등, 된장국이 2등, 나물이 3등.... 이었습니다..
    밥이 넘어갔다면 곤드레된장국으로 하심이 어떠실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260 윤평이 소이를 25 뿌나 2011/12/09 8,129
48259 뿌나 작가 사람을 가지고 놉니다. 6 마하난자 2011/12/09 4,754
48258 지금 kbs 1에서 하는 사람방 손님과 어머니 여 주인공이 누구.. 1 .... 2011/12/09 2,363
48257 하버드 학생들이 차린 나꼼 F3를 위한 아침 식사+그외 부페 12 지나 2011/12/09 7,557
48256 하도 연봉1억 많이 들어서 난 얼마나 되나 했더니 8 맞벌이 연봉.. 2011/12/09 5,599
48255 철인 28호가 무엇인가요? 5 몰라서리 2011/12/09 2,228
48254 한국남자 일본여자 궁극의 조합이죠. 6 남성우월사회.. 2011/12/08 7,048
48253 이혼하고 싶어요 3 정말!! 2011/12/08 3,928
48252 뭘가지러 갔다 잊어요 치매 인가요 4 치매 2011/12/08 2,368
48251 신규아파트 입주하는데 6 2011/12/08 3,030
48250 靑, 선관위 디도스 공격...행정관 연루설 '불쾌' 3 2011/12/08 2,286
48249 이 음악 제목좀 ... 아시는분 계실려나요? 4 .. 2011/12/08 1,856
48248 올 것이 왔나? 이 무슨 뉴스입니까? 2 나무 2011/12/08 3,121
48247 ((긴급의견))케이블방송 끊어야 될것 같네요 찌라시는꼭 망할 겁.. 5 김태진 2011/12/08 2,260
48246 한양 공대 기계공학과는 어떤지요. 18 .... 2011/12/08 5,423
48245 뿌리깊은 나무 끝나가는게 아쉬워요 1 ... 2011/12/08 2,033
48244 본인이 안구진탕이거나 주변에 안구진탕겪고계신분.. 1 눈동자 2011/12/08 2,493
48243 오늘 세상에 이런일이 보신분 ~ 7 호호 2011/12/08 3,600
48242 방바닥을 굴러다니는 스팀오븐을...? 1 제발요 2011/12/08 2,181
48241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1악장 11 바람처럼 2011/12/08 4,799
48240 자기전에 먹으면 속이아파요.. 3 아몽 2011/12/08 2,003
48239 아기가 토해요. 12 도와 주세요.. 2011/12/08 6,788
48238 아이 치과치료후 어떤 선물 주시나요? 2 6살 2011/12/08 1,462
48237 예비 고딩 참고서 추천해주세요~ ^^ 예비고딩맘 2011/12/08 1,273
48236 선과위 서버공격 드디어 청와대까지.. 6 .. 2011/12/08 2,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