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의사결정의 역사로 본 포퓰리즘의 한계

달려라고고 조회수 : 1,180
작성일 : 2011-11-22 15:38:12

 

왕이 있고 신하가 있고 평민이 있는 고대 계급사회에서의 의사결정은 독재의 그것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평민은 왕이나 군주에게 의사결정권을 위임하지 않았다. 하지만 계급의 위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노력과 상관없이 태어남으로서 자연스레 가지게 된 권력으로 모든 것을 결정하고 선택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구성되고 발전하자 상황이 달라졌다. 평민의 수와 힘이 늘어나면서 더 이상 독재의 시대를 유지할 수 없게 됐다. 그래서 다수결이 등장한다. 공동체의 구성원이 동일하게 1개의 권리를 가지고 그것들을 각자 사용하여 다수가 동의하는 것, 원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다수결의 기본 원리이다.

 

그런데 다수결이 옳은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2가지 전제가 있어야 한다.

다수결에 참여하는 모든 국민이 똑똑할 것, 그리고 모든 국민이 도덕적일 것.

그것이 전제되어야 다수결을 성공적인 의사결정의 도구가 된다.

이를테면 싸이코패스 살인범이 공동체의 50%를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다수결로 살인의 정당성을 결정한다면 그 사회는 다수결로 살인이 합법적이 될 것 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기들이 그리 똑똑하지 않으며 때로 도덕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대리인을 뽑게되었다. 정치의 전문가를 뽑아 그것만 하도록, 그리고 도덕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월급도 책임지고 주는 것, 그것이 의회민주주의의 시작이다.

 

 

다수결은 이미 기본이되는 전제 2가지다 참이 아니기 때문에 바른 의사결정 도구일 수 없다. 그런데 어떤 정치인은 다수결로 하자고 한다. 국민이 한계가 있으니까 전문가인 국회의원을 뽑아 정치를 전문적으로 하게 하고 넌 전문가니까 틀렸을 경우 책임도 니가 지라고 뽑아 놓은 것이다. 그 정치인이 다수결로 돌아가자고 한다.

 

국민 귀에는 일견 솔깃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어떤 국가적 선택의 순간에

국민투표에 맏길 경우, 그 결과가 좋으면 “거봐요!” 인거고 결과가 안좋으면 “국민이 원했다!”하고 말할 수 있다. 어느쪽이든 정치인은 책임을 피한다.

 

이것이 포퓰리즘의 한계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다는 것.

IP : 180.182.xxx.4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496 편입생을 많이 뽑는과는 왜 그런걸까 알고 싶어요. 6 .. 2011/12/21 2,676
    52495 마음이 너무 괴롭습니다...아빠가 바람피는 걸 알게됐어요... 2 지옥.. 2011/12/21 2,570
    52494 세덱원목식탁 사용하고 계신 분들 어떠세요 6 식탁 2011/12/21 13,066
    52493 비틀즈 음악을 들려주는게 아이에게 좋다는데요? 2 비틀즈 2011/12/21 1,063
    52492 흔한 년말의 선물교환~~~ 10 고민타파!!.. 2011/12/21 2,115
    52491 여행지에서 남편에게 엽서를 보내고 싶은데 뭐가 필요할지... 다시 허니문.. 2011/12/21 709
    52490 김효진씨 아무리 봐도 이뿐 얼굴은 아네요 98 그냥 2011/12/21 12,660
    52489 저는 이제야 김장 스트레스는 받는중이랍니다. 9 김치가 싫어.. 2011/12/21 1,933
    52488 개꿈이라 말해 주세요 4 ? 2011/12/21 1,039
    52487 보이스피싱 전화 드디어 받아봤어요~! 5 웨이~? 2011/12/21 1,462
    52486 저는 남편이랑 우리딸한테도 많은 돈이 들어가요. 아고 2011/12/21 1,424
    52485 2012 중3 수학교과내용 올해와 달라지나요? 5 학부모 2011/12/21 1,200
    52484 아이교육..제 소신이 흔들리네요. 47 애엄마 2011/12/21 10,575
    52483 말썽꾸러기들 갑자기 급 착해졌어요... 2 내가 산타다.. 2011/12/21 1,086
    52482 클라리넷이나 오보에 레슨비가 보통 얼마 정도 하나요? 1 뭉뭉 2011/12/21 6,202
    52481 발이 넘 차서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2 evilka.. 2011/12/21 1,571
    52480 동거 이야기가 있길래.. 룸메이트와 동거남.. 이 어감이 다르죠.. 8 ㅡ.ㅡ 2011/12/21 2,170
    52479 뉴스에서 김정일 일가의 가계도(?)보다가요... 1 유전 2011/12/21 1,641
    52478 영어 처음시작하는 초4 아이, 윤선생영어? 눈높이 영어? 5 영어 2011/12/21 7,702
    52477 보리차 끓여놓으면 나중에 탁해지는데... 12 ........ 2011/12/21 11,955
    52476 창의적놀이 수학이요 3 7세 2011/12/21 1,112
    52475 중학생은 중학교 과목 중에 정보 (컴퓨터수업) .. 2 ! 2011/12/21 1,465
    52474 50번 빨아도 발냄새 안나는 양말 체험단 소식 2 산신령 2011/12/21 1,603
    52473 "내가 MB 고교 은사" 투자금 3억 가로채 9 세우실 2011/12/21 1,324
    52472 4번의 암을 이겨낸 제니 보셨어요? 2 모리 2011/12/21 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