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동치미를 담았는데..

도와주세요 ㅠㅠ 조회수 : 2,702
작성일 : 2011-11-20 12:37:09

지고추까지 제가 직접 만들어서..

 

나름 심혈을 기울여 키톡에 올라온 레세피대로 동치미를 담고..이제 1주일되었는데요..

 

국물은 얼추 익은 맛이 나요. 간도 맞고요..

 

그런데 어제 무를 잘라보니..(다발무지만 조금 큰듯해서 처음부터 잘라서 하루 소금에 절이고 담갔어요..)

전혀 익지 않은 맛..거기다 싱겁기까지..

 

 

지금이라도 소금 간을 더해야 하는 건지..

 

김냉에 보관했던 걸 밖에 둬볼까요..

 

아님 무를 좀 더 작게 잘라서 다시 넣어볼까요..

 

 

 제 동치 좀 구해주세요~~~ㅠㅠㅠㅠ

 

IP : 122.34.xxx.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밖에서 익으면..
    '11.11.20 12:50 PM (180.230.xxx.93)

    김치냉장고로 들어가야 하는데
    처음부터 김치냉장고에 넣고 익길 바라셨나요 ㅋㅋ
    당근 무는 아직 안 익었을 거고
    국물이 짭짜롬해야 맛이 금방 변하지 않아요.
    무 그대로 두시고
    밖에서 익혀서 넣으세요.
    한 보름은 있어야 익을 거예요.

  • 2. --
    '11.11.20 1:36 PM (211.206.xxx.110)

    저도 그 레시피로 만들었는데..하루 안에다 익히고 김냉에 넣었어요..넣기전 냄새 맡아보니 익은듯..일주일후 먹어보라는데...윗분 말씀대로 걍 2주 지나고 생각나면 열어야 할듯..

  • 3. ...
    '11.11.20 1:52 PM (125.189.xxx.233)

    발효가 제대로 시작됐으면 다시 밖에 두는게 옳은 일인지 모르겠네요.
    아직 안된 듯하면 밖에 하루이틀 더 두셔두 되구요. 무는 걱정마시고 국물이 절대 싱겁지않게해두세요.
    짠 건 희석하면 되지만 싱거우면 골마지낄 수 있고 구제가 안되니까요.

    우리나라 음식 중 소금에 절여두는 저장식품은 간이 너무 싱겁지만 않으면 시간이 다 해결해줍니다.
    걱정마세요...^^

  • 4. 저도
    '11.11.20 4:56 PM (175.112.xxx.218)

    저도 지금 담가놓고 베란다에 일주일째 두었는데 아까 무우를 잘라 먹어보니 국물이나 이파리는 익었는데 무우가 아직도 생무맛이 났어요.잘 안익네요.지난 겨울에는 담근지 이틀 정도 지나서 김냉에 넣었는데 땅속익힘으로 해도 발효가 되지 않고 영 이상한 맛이 되어서 다 버렸습니다.왜 그렇게 이상한 맛이 나고 숙성도 안되었는지 지금도 이해가 안됩니다.지금까지는 계속 밖에서 익혀서 다 익으면 김냉에 넣고 그랬는데 지난 겨울에만 덜 익은 채로 김냉에 넣고 익혔는데 익지 않고 이상한 맛이 나서 이번 겨울에는 다 익혀서 넣으려고 밖에 두었답니다.

  • 5. ...
    '11.11.20 10:39 PM (219.241.xxx.11)

    무는 좀 더 있다가 익어요
    국물이 맛이 제대로 이면 무에 간이 들며 싱거워질 수 있으므로 간을 더하셔야하구요
    자꾸 건딜고 출썩이시면 맛이 나빠져요. 간을 좀 세게 하시고 더 두셔야합니다. 그래야 익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358 초등학교 4학년에 내정초등학교 가면 어디중학교로 배정받나요? 4 궁금맘 2011/11/20 3,812
41357 가까운사람한테 속얘기얼마나하세요? 36 흠. 2011/11/20 10,106
41356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제8번 - <비창> 3악장 &a.. 2 바람처럼 2011/11/20 6,655
41355 무슨 병이지 싶어요. tv를 봐도 내용을 모르는게.. 2 알고싶습니다.. 2011/11/20 2,322
41354 역사채널e - 36년의 시작 2 신묘늑약 2011/11/20 1,937
41353 이광재라인(참여정부)의 경악할 한미FTA 충동질 12 부산사람 2011/11/20 3,150
41352 고3 올라가는 아이 계산실수 3 새벽 2011/11/20 2,852
41351 절임배추 샀다가 6 속상해 2011/11/20 3,950
41350 성북구 돈암동을 중심축으로 이 근방 빠샥하신 분들 아파트 추천 .. 3 성북구 2011/11/20 4,125
41349 이명박 호주여총리에 볼키스 부탁-허걱입니다. 3 애국 2011/11/20 2,829
41348 남편은 혼자두고 친정가서 오래놀고오면 .... 3 외로움 2011/11/20 2,912
41347 (급) 베가 LTE 쓰시는 분 웃자 2011/11/20 1,912
41346 가방 Anne klein이라는 브랜드 아세요? 8 브랜드 2011/11/20 13,808
41345 與, 창당 14주년 맞아 파워블로거들과 만난다는데…. 1 .. 2011/11/20 2,400
41344 미국 가는데 미리 영어를 가르쳐야 할까요? 3 고민.. 2011/11/20 2,403
41343 스테인레스 텀블러에 홍차 담아서 마시려구요~ 5 홍차 2011/11/20 4,222
41342 SKT 에 SKY 전화기 인데 비밀번호가 잠긴 경우 어디로 가야.. 3 서비스 2011/11/20 2,127
41341 주리가 이모딸이군요 6 애정만만세 2011/11/20 12,474
41340 떡갈비나 패티 만드시는 분들 갈아진 고기 사세요? 4 ... 2011/11/20 3,274
41339 뉴욕 시티 패스 & 브로드웨이 뮤지컬 질문 1 ------.. 2011/11/20 2,313
41338 중국어선 불법 조업의 실체.. 해군 출신이 밝혔음 1 짱깨 2011/11/20 2,417
41337 덴비 머그 관심 있으시면 싸게 구매하세요 공구할인 2011/11/20 3,656
41336 남자대학생패딩 3 2011/11/20 5,277
41335 전민동에 치과 추천해주세요. 1 이아파 2011/11/20 4,581
41334 시모님이 민망해서인지 화가 나서인지 안오시는데 5 D 2011/11/20 4,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