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문의 생활비글 보고...

생활비 글 조회수 : 3,786
작성일 : 2011-11-14 12:03:58

신세한탄할곳이 여기밖에없어서

힘빠지는 소릴 할 터이니, 싫으신분은 패스 해주세요~~~

너무 아픈 댓글은 상처받아요.

대문의 생활비 글을 봤어요.

그글의 핵심은 비용의 문제가 아니라

남편의 아내에대한 역할생각이 문제란 생각이 들었어요.

전업주부는 내가 힘들여 돈 벌어다 주는 것을 편히 쓰는사람 이라는 시각...

저랑 원글님이랑 비슷한 것 같아요.

저는 아이 둘 키우는 전업주부.

남편은 평상시에 당신은 집에있기 아까울만큼 능력있는사람 이라고 이야기 하고,

또, 당신이 우리집에서 제일 수고가 많다고,  나를 많이 도와줘서 고맙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러면서 대기업다니는 자기자신이 언제짤릴지 모른다며   얼마 안남았다고 하면서

우리도 대비를 해야될텐데 어떻게 하면 좋겠냐고 자주 묻습니다.

저도 가슴이 답답한 건 사실이지요.

어제 모처럼 오빠부부와 맥주한잔을 가볍게 하였습니다.

남편은 술로 주사를 부리거나, 무리하게 마시는일이 없는 사람입니다.

어제도 두 부부가, 즐겁게 술 마시며 세상사는얘기 하다가

남편이 갑자기 제게

당신은 ***를 잘 하니까 ***관련 ***자격증을 따 보는 건 어때? 이렇게 물었어요.

제가 응 것도 좋겠지만, 일단 학비가 몇백단위로 들어가는데다, 그걸 내나이에 따서 뭘 할 수 있겠어? 라는식의

대답을 했어요.

그러니 갑자기 버럭 하면서 하는말이

"언제까지 가사일만 할꺼야?" 라고 했어요.

제 남편 좋은사람이에요. 저를 배려해주고 존중해줘요.

아마 집에서 정체되어있는 저를 보면서 답답했겠지요.

제 입장에선 마흔넘은 아줌마가, 초등학생 둘을 데리고

아이들 케어해가면서 쉽게 공부할 수 있는 종목도 아니고(올인해야해요, 제 주위에 저 자격증 딴 사람 보니 애들케어 하나도 못하더라구요)

학비도 꽤 많이 들어요 몇백에서 천도넘어가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제나이에 저 자격증 달랑 하나 가지고 일 구하는거 쉽지않쟎아요. 자격증만 따고 일 못하는 사람 여럿 봤어요.

이러니까 아예 안하는게 맞다고 생각했거든요.

남편입장에선 이런 제가 답답하고

집에서 화석처럼 굳어가는게 한심했겠지요.

오빠나 언니도 점잖은 사람들이라

움찔 했지만, 못들은것처럼 넘어갔어요.

오늘도 별 말 없어요.

남편은 아무일 없었다는 듯 출근하였는데

월욜 아침부터 저는 막막합니다.

남편말이 맞으니까요....

남편이 곧 그만두게 될 수도 있고....

제가 이렇게 편히 놀고먹으면 안되고 뭐라도 노력해야하는 게 맞의까요....

마흔넘은, 일에서 손 놓은지 10년넘는 아줌마가

(전직 대기업 총무과 직원이었더랬죠....)

뭘 할수 있을까요?

그리고 마흔 넘으면 대기업 과장급 이상 남편들은

행보가 어떻게 되던지도 궁금합니다.

남편 말대로 그만둬야하는 사람이 대부분인가요?

남편이 맨날 저보고

당신이 회사다니던 시절과는 180도 달라져서 당신은 이해못한다고 해요.

제가 일 놓은지 오래되는데다, 지방에 살고있으니

감이 없네요....

IP : 122.34.xxx.26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실
    '11.11.14 12:20 PM (112.168.xxx.63)

    밖에서 일하면서 가정을 책임지는 거 너무 힘든 일 같아요.
    남자나 여자나 자기 벌이로 내 가정을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면 ...
    남편분이 평소에 원글님을 아끼고 챙기시는데 저런 말씀 할 정도면 남편분 스스로는
    얼마나 힘들고 스트레스에 찌들어 있겠어요. 오죽하면 아내에게 같이 부담을 좀 나눌
    생각을 할까 싶어요.
    아이가 아주 어린 나이도 아니고 초등생정도 되었으니 남편분은 원글님도 같이 뭔가를
    해줬으면 하고 바라는 거 같아요. 당장 큰 대기업에 큰 수입을 원하는게 아니라...

    사실 전 아직 아이없는 맞벌인데도 맞벌이 수입이 워낙 작아서 계속 일해야 할 상황이에요
    지금 아이없이 둘이 버는데도 솔직히 좀 힘들어요.

    또 다른 형제네 보면요. 다들 맞벌이거나 아르바이트로 뭔가 하거나 하는데
    한 집은 그냥 남편만 바라보고 아무것도 할 생각을 안하더군요. 애들도 컸는데...
    근데 그 남편은 자영업인데 요새 일이 없어서 수입도 없어 너무 힘들어하고 걱정해요
    그걸 혼자만 감당하고 있죠. 아내는 쓸거쓰고 평상시처럼 지출만 하고 있는 상태고요.
    힘들때 두 사람이 짐을 나눠야 하는데... 아님 안에서라도 줄일 거 줄이고 아껴야 하는데...

    밖에서 일하는 남편만 믿고 혹은 남편이 당연히 돈 벌어와야 한다고 방관하고 있다가
    남편이 없음 어쩌려고 그러나..싶은 걱정도 되고 답답하더군요.

  • 2. MandY
    '11.11.14 12:21 PM (112.150.xxx.159)

    관련 자격증이 뭔지는 모르겠지만, 지금 경제적능력이 되신다면 도전해보시라 권해드리고 싶어요.
    꼭 수익을 올리는 일이 아니더라도 지역사회에 봉사도 할 수 있는 거니까요.

    경제적으로 풍족하게 노후를 준비할 수 없다면 뭔가 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건 중요한 거 같아요.
    요샌 평생학습관도 많고 자격증과정도 짧게 많아요. 관련자격증은 딴후 계발은 결국 자기몫이지만, 그래도 쯩이 주는 자신감도 무시 못하죠. 인맥형성에도 도움이 되구요.

    남편분이 자꾸 압력을 주는건 본인도 불안하기 때문이겠죠. 저희도 그래요.
    저희 남편은 현장직(?)이라 수명도 짧고 영업력이 있는 사람은 아니고 나중 생각하면 사실 얘들 제대로 가르칠수나 있을까 불안하고 그러니 당연히 은근히 저에게 압력이 와요.

    전 노후에 취미생활을 직업화하는게 가장 이상적이다 생각하는데, 남편에게도 적극권하고 있고요.
    물론 빠뜻한 살림에 얘들 학비뺏는거 같은 기분일때도 있어서 마음이 무겁지만, 그래도 얘들에게 부담 안주려면 어느정도의 자기계발은 필요하다 생각하게 됐어요.

  • 3. 저도
    '11.11.14 12:23 PM (122.34.xxx.26)

    남편만 바라보고 있고싶지는 않은데요.
    당장 10여년 놀다가 일을 하려니까
    도대체 감이 안잡혀요.
    올 초에, 둘째가 학교들어가서
    오전에 시간이 여유롭길래
    남편이 자영업 타령을 하니까
    슈퍼 캐셔라도 하려고 했거든요.
    경험을 쌓아보려는 생각이었는데
    남편이 애들 동네창피하다며
    하지말라고 난리났었어요.

    뭘 하면 좋을지 모르겠어요...

  • 4. ....
    '11.11.14 12:30 PM (175.196.xxx.75)

    원글님 일단 남편이 하라는 자격증 공부 시작하세요...

    일단 시작하는데 큰 돈이 드는건 아니실테니 한과목 책이라도 사셔서 함 봐보시구요..

    전에 대기업총무과직원이셨다니 충분히 가능하실것 같은데요...

    아이들도 초등학생이나 엄마도 같이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일단 시작해보시면 계속 하실수 있을지 없을지 판단이 가능하실듯 해요..

    일단 관련 책 한권이라도 사셔서 읽어보시고 남편과 대화하세요..

    이렇게 남편말을 듣고 나도 노력한다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 5. 현직.....
    '11.11.14 12:35 PM (115.20.xxx.42)

    글쎄 남편분이 아까워한다면 능력이 있는분이겠죠? 공인중개사 도전해보세요. 애들이 학교갈 정도면 충분히 나머지시간활용해 공부해보세요. 요즘은 부동산도 많이 투명해져서 일하기가 수월합니다.

  • 6. 40넘은 대기업 과장급이상
    '11.11.14 1:41 PM (121.166.xxx.46) - 삭제된댓글

    솔직히 저희 남편도 40 중반의 대기업 차장입니다. 예전같으면 저나 남편이나 정년까지 다닌다고 별 걱정없었어요. 하지만 대기업 전반적인 분위기가 50을 넘으면 자연히 사직서를 준비하는 풍토로 바뀌었어요
    이래저래 많이 치이는게 보여요. 그리고 정말로 정년까지 계시는 분들이 한 명도 없어요
    공장에 계시는 현장 기술직이신 분들 아니면 모를까..
    저도 몇년 남지 않은 50을 바라보는 남편을 볼 때 걱정이 됩니다.

  • 7. 저랑
    '11.11.14 1:44 PM (123.213.xxx.156)

    상황이 같네요. 여러가지면에서
    우리남편도 당신은 똑똑하니까 할수있어 하면서 용기(?)를 주지만 사실 자신감이 점점
    없어지잖아요.
    공부한 지가 언제인지도 모르겠고 기억력은 가물가물하고 너무 오래 준비하면
    자존심도 상할 것 같고
    하지만 남편도 미래가 불안해서 하는 말이고 이제 평균수명도 길어졌는데 그냥 있을 수는
    없을 것 같아 저도 이제 준비하려고 합니다.
    심호흡 한번 하고 천천히 시작해 보세요.
    시작이 반이라고 생각하려구요.
    우리 같이 시작해요. 서로서로 용기를 주면서

  • 8. 뭐라도 하세요.
    '11.11.14 2:31 PM (121.88.xxx.241)

    간호조무사 자격증이라도 따셔서 직장 구하세요
    따기 그리 어렵지 않고요 일자리도 많아요.
    나이 많으셔도 한의원같은데는 취직 좀 쉬울거예요.
    제 친구 엄마들도 알음알음으로 간호조무사로 오래 일하시는 분 꽤 있었어요. 저 대학때 말이죵.

  • 9. 서른아홉
    '11.11.14 5:28 PM (1.246.xxx.81) - 삭제된댓글

    제 남편은 자영업자이고 애들이 셋이에요 추석 전에 벌초를 하러 시댁에 갔다가 남편과 아이들이 교통사고를 당했어요 애들은 작은 상처만 났지만 애들을 보호하려다 남편은 어깨를 심하게 다쳤습니다 물론 팔과 다리에도 깊은 상처가 났구요...남편이 병원에 입원하면서 일주일정도 쉬었는데 통증이 심해서 좀 쉬라는 병원 의사의 권유에도 남편은 퇴원했어요 자기가 쉬면 우리가족 다 굶어죽는다고ㅠㅠ 그때 맘이 정말 많이 아팠네요 애들도 어리고 셋이다보니 사실 엄두가 안났어요 이것저것 배우고 망설이기만 하다가 그일을 계기로 일을 시작했네요 물론 많이 벌지는 못해요 경력단절이 십년이 넘으니~ 경력을 살릴수도 없고 저도 솔직히 자신도 없고~ 파트타임으로 일하면서 애들 교육비정도 벌어요 그래도 많은 보탬이 되네요 남편도 조금은 안심이 된다고하고...애들도 첨엔 힘들어하더니 적응하고 나니 잘 지내구요
    요즘 다들 힘들잖아요 서운해만 하지말고 진지하게 고민해보시구 준비한다생각하고 시작하세요 평생 집에서 살림만 할거아니라면 한살이라도 젊을때 시작하세요

  • 10. ..
    '11.11.14 5:49 PM (119.192.xxx.16)

    괜히 사오정 오륙도라 그러겠습니까...

    일단은 정년까지 수명을 다하는 샐러리맨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구요.

    40대후반부터는 언제든 퇴직할 수 있다는 각오해야 하죠...


    40대부터는 조직에서 살아남기 위한 스트레스가 클겁니다.
    노후를 생각할때는 더욱더....

    40대이전까지야 늦든 빠른든 오십보백보로 승진해서 올라가니
    잘 느끼지 못하지만...
    40대이후에는 조직에서 얼마나 살아남을 수 있는지 보이지요...느껴지고요..

    또한, 그나이쯤이면 조직의 주류와 비주류과 확연히 구분될 때입니다.
    실세 부서의 실세 라인의 상사를 모신 경험을 가지고 그 네트워크내에 들어가면
    요직발령, 승진 등이 이어지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경제위기 같은 외부충격이라도 와서 명예퇴직 실시하면 불안하겠죠....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후자겠죠.
    또, 그러한 것이 성실함, 업무능력과는 그다지 큰 상관이 없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6572 생강을 꿀에 절이는거요 그거 꼭 냉장고에 넣어야 되나요? 5 ??????.. 2011/12/04 5,872
46571 어제 집회에서 얼굴에 피흘리던 시민의 부상당하는 경과 1 참맛 2011/12/04 2,517
46570 주변에 4,50대에 인생역전하신분 계신가요? 11 시간의흐름 2011/12/04 11,684
46569 눈두덩 실핏줄 터지면 병원 어디로 가나요? 3 ... 2011/12/04 2,884
46568 맥 파우더하고 디올 파우더..어느게 더 좋을까요? 2 ㅅㅅㅅㅅ 2011/12/04 3,495
46567 요즘같은 날씨, 반팔 원피스 구입해도 괜찮을까요? 5 bloom 2011/12/04 2,250
46566 경찰이 IT인을 무시하고 경시하는게 맞나본데요? 1 .. 2011/12/04 1,946
46565 중앙선관위가 2009년경 디도스방어시스템을 구축한 것으로 알려짐.. 4 참맛 2011/12/04 1,883
46564 옷사이즈 문의드려요~ jjjjj 2011/12/04 1,207
46563 중급자에게 용평스키장 어때요? 5 용평 2011/12/04 1,882
46562 좀비 PC 200대라든가 1500대 라든가... 4 컴맹 2011/12/04 1,919
46561 영하의 날씨에 물대포쏘는 조현오 경찰청장은 어떤사람 3 밝은태양 2011/12/04 2,140
46560 MBN 성향이 어떤가요 ? 4 ....... 2011/12/04 2,890
46559 패션고수님들~ 옷 컬러매치 문의드려요~ 5 color .. 2011/12/04 3,738
46558 차키를 잃어버렸어요... 3 알려주세요 2011/12/04 2,308
46557 모피가 눌려졌는데 어떻게 원상복귀 하나요? 2 생활의 달인.. 2011/12/04 2,425
46556 선관위 압박..좀더 세나가시길.. 1 .. 2011/12/04 1,760
46555 수도물에서 곰팡내 같은거 안나세요? 12 ... 2011/12/04 2,900
46554 머리만 한번 숙이면 많은 일들이 해결되는걸 8 마하난자 2011/12/04 2,908
46553 MBN 개국 여론조사 "차세대 지도자 1위 오세훈, 2위 나경원.. 23 밝은태양 2011/12/04 3,559
46552 오늘밤 MBC 시사매거진2580에서 선관위 한날당의 디도스공격을.. 2 참맛 2011/12/04 2,399
46551 아파트 아래부분이 필로티로 되어있는 집에 사시는 분, 장단점?.. 11 .. 2011/12/04 12,193
46550 눈화장하면 눈에 섀도가루 들어가서 충혈되는데요 7 푸른 2011/12/04 5,503
46549 [안양] 독서 모임 하고싶으신분 있으실까요? 6 미세스김 2011/12/04 2,554
46548 혼자 걸으며 나꼼수 들을때 2 헤벌쭉 2011/12/04 2,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