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장김치 담근 후 상온에 얼마있다가 김냉에 넣나요?

김치가 맛이 없어 조회수 : 6,363
작성일 : 2011-11-13 20:29:29

이제 김장김치를 담글텐데 여러 님들은 김치 담그신 후 언제 김냉에 넣으시나요?

담그자마자 바로? 아님 며칠 있다가???

담그자마자 바로 넣으면 김치가 써진다는 얘기도 있던데....

김냉에 넣는 시기가 맛에 많은 영향을 줄까요?

 

IP : 1.226.xxx.24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1.13 8:37 PM (59.86.xxx.217)

    김장하고 바로 넣어도 김냉에서 서서히 익어서 써지지않아요
    설익었을때 꺼내먹으면 쓰지요
    전 한통만 밖에다 익히고 나머지는 버무리고 바로 김냉에 넣어서 먹는데 쓴적 한번도 없었네요

  • 2. 제경우
    '11.11.13 9:10 PM (59.86.xxx.217)

    찹쌀풀을 넣긴하는데 빨리시어진다고하는소린 들었지만, 빨리시어지는느낌은 못느꼈구요
    작년에 찹쌀풀넣은김치 아직 남았는데 먹을만합니다
    올해는 저도 황태육수내서 찹쌀풀대신넣고 김장할까 생각하고있네요

  • 3. 다시마 북어 멸치육수
    '11.11.13 9:16 PM (121.147.xxx.151)

    에 찹쌀풀 쑤어서 김치 만들자 마자 김냉으로~~
    작년 김치 아직도 두 통이나 남았는데 먹을만해요.

  • 4. 저희도
    '11.11.13 9:27 PM (114.207.xxx.186)

    바로 먹을것 빼고는 바로 김냉가요.

  • 5. 저는
    '11.11.13 9:33 PM (124.216.xxx.69)

    48시간이후에 김냉에 넣습니다

    김냉 두칸에 두통씩 20포기했습니다

    아래김냉은 발효과학으로 중간김냉은 김치보관 중간으로

    이렇게 놔두면 맨 아래것부터 꺼내서 먹습니다

    이틀정도 실온에놔둔뒤에 먹으니깐 그 맛 그데로 유지된답니다

  • 6. ,,,,
    '11.11.13 10:14 PM (218.158.xxx.43)

    저는 작년에 이틀 실온에 뒀다가 김치 물러져서 낭패봤어요.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실온 발효 달리해야 됩니다.
    마늘, 과일, 풀, 액젓, 날생선류 많이 들어가면 빨리 넣어야되고, 발효 가속화 하는 양념이 별로 없다면 하루 정도 있다 넣으면 딱 맞는 듯 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428 호텔 뷔페 꼭좀추천해주세요. 엄마생일입니다. 9 아이짜 2011/11/15 2,777
39427 컴퓨터로 영화보다..좋은 장면을 저장시켜 놓으려고 하는데요..... 7 도와주세요 2011/11/15 1,606
39426 외한은행 노조에서 무이자 대출을 추진중 학자금 대출.. 2011/11/15 1,485
39425 '박근혜 신당설'로 드러난 중구난방 친박계 1 세우실 2011/11/15 1,430
39424 김홍도 목사가 박원순 시장을 고발하기 위해 서명운동 중이라네요... 21 개독 2011/11/15 2,816
39423 당대표실은 전화받네요. 통화했어요 4 조마조마 2011/11/15 1,757
39422 led 집에서 하는 기구 하하하 2011/11/15 1,360
39421 slp 유치부 일하기 어떤가요? 5 베이 2011/11/15 2,371
39420 다이소 세탁먼지거름망 잘 걸러지나요?? 5 한번 2011/11/15 7,525
39419 전시기획이나 갤러리.미술관 이런쪽 일해보신분 계세요? 3 문화호기심 2011/11/15 1,799
39418 저렴한 요금제 공짜 스마트폰 아시는 분.. 3 .. 2011/11/15 2,176
39417 남편의 가발 7 가발 2011/11/15 3,122
39416 펌] 고양이, 쥐 잡아 던지는 사진 순간 포착 1 녹차맛~ 2011/11/15 2,691
39415 국회의원들, 통화가 어렵네요 1 조마조마 2011/11/15 1,370
39414 식탐많고 양도 많이 먹는 사람은 어떻게 다이어트를 하는게 좋을까.. 3 유투 2011/11/15 2,805
39413 공돈이 한 200만원 생겼는데.... 5 선택 2011/11/15 3,133
39412 이럴때 어떻게 했어야했나요?... 3 어렵다..... 2011/11/15 1,409
39411 아래 전교 1등 관련한 글 댓들중에 6 꿈꾸는자 2011/11/15 3,538
39410 상가매매에 아시는분!! 2 .. 2011/11/15 1,984
39409 靑 "미국에 재협상 요구? 너무 무례" 13 우언 2011/11/15 2,097
39408 아 브래드피트 넘 잘생겼어요 한국 첨오다니..ㅠㅠ 48 피트팬 2011/11/15 8,132
39407 딸 아이가 남자 아이 팔을 물었어요.. 7 한숨.. 2011/11/15 2,418
39406 페브리즈 (다우니향) 가격 코스트코 2011/11/15 1,757
39405 9살아이 영구치에 대해 문의합니다 4 치아문의 2011/11/15 1,778
39404 한나라당 나성린 “강호동 영입, 고려한 적 없다” 2 세우실 2011/11/15 1,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