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부모님 명의집에 전세로 들어가는거 어떨까요?

전공수학 조회수 : 7,090
작성일 : 2011-11-11 09:17:32

안녕하세요

결혼 6개월차 신혼입니당

 

결혼하면서 시부모님이 2억 7천짜리 전세를 얻어주셨는데요

처음 인사갔을때 삼성동에 아파트가 있는데 내년 4월 전세 만기되면 거기로 들어가도 된다라고 하시길래

그냥 만기때 들어가면 되나부다 했는데 전세금 4억 9천을 저희가 드리고 들어가야하더라구요

 

친정엄마는 그렇게라도 들어가면 전세만기때마다 이사다니거나 전세금 올려줘야할 걱정없이 아이들 키우면서 쭉 살면 좋겠다고 하시면서 5천정도 도와주시겠다고 하네요...

내년 4월까지 7천은 모을수있을거같아 그때 들어가려면 1억을 대출받아야하는데

 

전 4억 9천을 드리고 들어갈바엔 차라리 4억 9천으로 작더라도 우리명의의 집을 하나 사는게 낫다고 생각되는데요...

회원님들 생각은 어떠세요?

 

 

 

IP : 222.110.xxx.1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1.11.11 9:19 AM (112.148.xxx.223)

    그정도 여유가 있으시면 작더라도 내집을 사는 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 2. ..
    '11.11.11 9:21 AM (211.253.xxx.235)

    본인 집 마련하시는 게 좋죠.

    셈이 이해가 안되긴 합니다.
    2억 7천짜리 전세 얻어주셨는데 그건 내꺼로 챙기고 4억 9천짜리 집에 그냥 들어가실 예정이셨던 거???

  • 3. 다른
    '11.11.11 9:22 AM (110.15.xxx.248)

    형제가 어떻게 되는데요?
    형제가 많은 편이라면 그런 경우 재산 때문에 다툼이 생기기 쉽구요
    두 형제 뿐이라든지.. 이렇다면
    나중에 물려줄 생각이지만 전세돈까지 해주기엔 부담스러우니 너희가 장만해라. 이런 경우 같구요

    집안 분위기에 따라 좀 다르죠
    경제적 부담이 없는 시댁 같으면 그렇게 들어가는 것도 친정어머니 말씀대로 좋을거에요
    일년정도에 그 정도 모았다면 융자 1억 정도도 금방 갚겠네요

  • 4. 맑은날
    '11.11.11 9:24 AM (108.41.xxx.63)

    전세 얻어 주신건 그 돈을 주신 거죠?
    그 값이라면 저라도 집 사겠어요.

  • 5. 그런가요
    '11.11.11 9:26 AM (211.246.xxx.150)

    부모님이 처음에 돈 한푼 지원안해주시면서 본인들 집에 4억 9천 전세금 마련해 들어오라고 하시는
    제안이라면 두말할 것 없이 님 생각이 맞습니다 하지만 2억이 넘는 돈을 시작할 때 부모님께 전세금으로 지원받은거라면 부모님이 꽤 후하고 괜찮신 분들 같기도 하네요 전세금 내고 들어가면 당분간 부동산 팔릴 일도 거의
    없을거 같고 그 집은 결국 님네꺼 될거 같기도 하구요 고민되시겠어요 그와 별개로 이제 겨우 6개월 되신 분이고 시부모에게 지원받은 자산이 2억 7천이나 되는데 거기에 친정에서 겨우 5천 더하고 본인들 모은돈에 나머지는
    대출해서 '우리 명의 집'으로 갈아탈 생각을 하시는게 아주 조금 님 위주이신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 6. 우선
    '11.11.11 9:30 AM (220.86.xxx.243)

    시부모명의 집에 전세로 들어가서 살아보세요. 아직 신혼6개월이면 아기 낳고 살다가 생각하셔도 될듯해요. 그집이 원글님댁이 될수도 있구요.

  • 7.
    '11.11.11 9:41 AM (222.98.xxx.193)

    제가 글만으로 볼때 시댁어르신들 아주 좋은분들 같은데요
    사실 2억7천가지고..아니 뭐 1억 더 가능하시다면 4억가까이 되는 돈으로 서울 괜찮은곳에 집 마련하는거 힘들지않나요
    친정어머님 말씀대로 이사다닐 필요없고 전세금 올려줄 염려없으니 얼마나 좋나요
    너무 날세우면서 보지마세요. 거기서 돈부지런히 모으셔서 괸찮은 집 장만하라고 배려하시는걸로 보입니다. 제눈엔..

  • 8.
    '11.11.11 9:44 AM (222.98.xxx.193)

    그집이 님 차지가 될수도 있단 댓글들은 제가보기엔 좀 오버같습니다

    그리 욕심내셨다가 계획틀어지면 속상할테니 그냥 임대인 눈치안보고 편히 살수있는 전세니 감사하다 생각하시면 될거같아요

  • 맞아요
    '11.11.11 9:54 AM (110.15.xxx.248)

    융자가 1억이라지만 갚을 능력되고 나중에 그게 종잣돈이 되서 집을 사더라도 덜 부담스럽겠죠
    나가란 소리 안하는 전셋집은 내 집이나 마찬가지에요
    지금 안들어가면 그냥 2억돈이 있는거구 들어가면 4억대로 뭉칫돈이 되니까
    나중에 시부모 집이 맘에 안들면 그 돈 빼서 집사서 나가면 되죠.
    돈 한푼 안내고 시부모가 얻어줬다면 나가는 것도 내맘대로 하는게 쉽지 않아요
    나갈 때 세를 놓더라도 그 돈은 시부모 돈이니까요.

  • 9. 전세
    '11.11.11 10:10 AM (211.192.xxx.60)

    남편 동료가 시어른 명의의 아파트에서 신혼살림을 시작했는데요.
    결혼한 지 1년도 채 안되었는데 시댁에서 급전이 필요하다며 매물로 내놓았어요.
    사전에 어떤 상의도 없었기에 한 달도 못 되는 기간에 신혼부부는 집 구하고 돈 마련하느라 혼쭐이 났고요.
    물론 다 사정이 있어서 그랬겠지만 시부모님 집이라 해서 맘 놓고 있을 수만은 없나보다 싶었어요.
    살면서 어떤 변수가 나타날 지 모르는 일이니 여러모로 잘 따져 보셔요.

  • ..
    '11.11.11 10:12 AM (211.253.xxx.235)

    이 분은 4억 9천 전세금 내고 들어가는 거니까 그 집이 매물로 나간다 해도
    4억 9천은 쥐고 있는 거잖아요.

  • 10. 제가 지금
    '11.11.11 10:11 AM (14.56.xxx.35)

    님이 말한 형태로 살고 있습니다. 아버님 집인데 저희가 전세금을 드리고(그 돈으로 대출금 갚으셨어요) 살고
    있어요. 전세금은 현시세보다는 저렴하게 드렸어요. (계약서를 따로 쓰지는 않았고, 아버님은 따로 사시지만
    같이 사는걸로 되어있어요) 암튼, 이사오고 좀 있으니 아버님께서 당신 이불 한채 마련해 놓으라고 하시고,
    시누이 놀러오면 당신 집이니 자고 가라하시고, 원래도 불쑥불쑥 찾아오시긴 했지만 당신 집이시니 너무나
    당당하게 토요일, 일요일 오셔서 주무시고 가시고, 어디 무슨 문제 없는지(새 집이라) 오시면 살피시고,
    가끔 집을 팔까싶다 말씀하시니 아, 정말 이게 뭔가 싶습니다. 더 웃긴 건 시댁식구들이 아버님이 아들한테 집해줬다고 알고 계세요. 그리고 아버님도 저희가 돈 드린건 다 잊으셨는지 자꾸 내 집에서 아들네가 살고 있다고 말씀하시구요. 전엔 아들집에 오셨어도 아들네라고 불편하다고, 너희 쉬라고 얼른 일어나시곤 했는데
    지금은 내 집에서 내가 자고 간다는데, 내 집에서 내 딸 재운다는데....이런식으로 나오시니 넘 피곤해요.

  • 11. 글쎄..
    '11.11.11 11:05 AM (211.199.xxx.206) - 삭제된댓글

    부모 자식간에 전세 계약이 성립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님이 들어가실거면 남편이름이 아니라 님 이름으로 전세계약서 써야할 것으로 생각되구요..

    시부모님의 인품에 따라서 님의 삶이 윗분 말씀대로 상당히 피곤해질 수 있음을 아셔야 될 것 같은데...

    저라면 그냥 지금 당장 집구입을 안하고 다른 곳에서 전세 살다가 돈 모아서 내힘으로 집장만 할듯..
    세상에 공짜는 없더라구요..이 날까지 살아보니

  • 12. fly
    '11.11.11 11:21 AM (115.143.xxx.59)

    외동아들이면 별탈없겠고..뭐..시부모인품에따라 다르지않나요?사주고도 생색내는집있고 안그런집있고..전 좋아보이는데..그집으로 들어가는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528 캐나다이민.. 돈 얼마나 필요할까요 10 .... 2011/12/13 5,531
49527 방학동안 한국에 오는 학생 문법정리 조언좀~ 1 과외샘 2011/12/13 1,632
49526 재밌는 삶... 이 있을까..싶도록 지쳐요; 사는게 하나.. 2011/12/13 1,600
49525 해외 거주중인 저..먹고 싶은 것 너무 많아 잠도 않오네요. 오.. 21 교포아줌마 2011/12/13 4,068
49524 만두 만들기 어렵네요 5 처음 만들었.. 2011/12/13 1,999
49523 본방사수못하고 뒤늦게 올려봅니다~~^^ 4 나가수시청기.. 2011/12/13 2,064
49522 돌선물로 현금이 좋지요? 2 이클립스74.. 2011/12/13 2,148
49521 아이방 침구 어떤게 좋을까요? 1 침구 2011/12/13 1,486
49520 미국 월가 점령 시위대 미국 서해안 항구 점령 시위 시작 참맛 2011/12/13 1,422
49519 이런 딸도 있습니다. 22 에휴~~ 2011/12/13 8,895
49518 미샤...초보양 라인 괜찮은가요? 설화수 쓰다가... 2 rhals 2011/12/13 3,867
49517 열나고 쑤시면 독감, 구토·설사하면 돼지독감 살림원 2011/12/13 1,716
49516 Sooge라는 분 멋지네요,,, 3 나나나 2011/12/13 2,071
49515 케이블에 클래식 명연주만 모아 놓은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겠어요 4 지나 2011/12/13 1,395
49514 식혜 이렇게 해도 되나요? 1 .. 2011/12/13 1,816
49513 셋째 키우고 계신분 힘들지 않으세요? 3 셋째 2011/12/13 2,073
49512 초5딸 드럼이나 기타같은거 시켜도 좋을까요? 3 잠꾸러기왕비.. 2011/12/13 1,808
49511 40대 중반 약대가 메리트 18 있나요? 2011/12/13 23,860
49510 너무 귀여워요 4 ㅋㅋㅋㅋㅋ 2011/12/13 2,126
49509 코카 스파니엘의 악행(?)은 어디까지 인가요? 16 @@ 2011/12/13 13,533
49508 김장김치가 물렀어요.ㅠㅠ 7 왕눈이 2011/12/13 4,618
49507 (19금?) 아이가 TV를 보다가 광고에서 멘트... 2 .. 2011/12/13 3,648
49506 부탁드립니다 1 소양증 2011/12/13 1,277
49505 이 밤중에 누룽지 민듭니다 ㅋㅋㅋㅋ 4 참맛 2011/12/13 1,971
49504 인간극장 날아라 지윤아... 3 ..... 2011/12/13 3,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