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산후조리원 2주 있다가 혼자 있는 거 가능하겠지요?

예비산모 조회수 : 2,704
작성일 : 2011-11-04 12:26:16

산후조리원에 있다가 산후도우미를 부르거나 아니면 양가 어머니의 도움을 보통 받더라구요.

저는 좀 예민한 편이라 다른 사람(산후도우미)을 집에 들이기가 힘들 것 같고,

양가 어머니께도 맡기고 싶지 않습니다.(사정도 안 되고요)

남편 도움은 전혀 받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주말에나 잠깐 얼굴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안 그래도 저질 체력이라 걱정인데 제가 너무 무리한 산후 생활을 시도하는 걸까요?

초산에 체력이 아주 좋지 않은 편입니다. 엄마는 강하니까 할 수 있겠지요??

아기 낳아보신 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IP : 222.239.xxx.219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1.4 12:28 PM (121.152.xxx.219)

    안됩니다.
    엄마는 강하지만 산모는 약합니다.

    산후조리 최소 100일 하세요.
    조리원 있는 비용으로 도우미를 길게 쓰는게 더 좋구요.

  • 2. ..
    '11.11.4 12:30 PM (58.229.xxx.154)

    몸 불편하신걸 감수하신다면 충분히 혼자 가능하세요.
    남이 내 공간에 있는것이 힘들면 아무리 저질체력이라도 없는 힘 짜서 움직이게 되지요.
    2주정도 조리원에 계신다니...아기랑 둘이 생활 하시는데는 문제 없겠네요.
    해보시다가 힘드시면 그때 도움 청하셔도 늦지 않을듯 싶어요.

  • 3. ...
    '11.11.4 12:33 PM (122.32.xxx.12)

    아니면 조리원을 한 3주 있다가 나와서 하시는건 괜찮을것 같은데요....
    또 제 느낌엔 2주하고 3주는 또 차이가 컸던것 같고..

    아예 혼자 하실 생각이면...
    조리원을 한주 더 있으면 어떨까요..

  • 4. ...
    '11.11.4 12:41 PM (115.86.xxx.24)

    죽이되든 밥이되든 되겠지만
    저같으면 예민한 성격 죽이고
    그냥 도우미 쓰겠습니다.

    돈이 없어서 안쓰는거 아닌다음에야.
    평생 한두번 낳는거 내가 얼마나 강한지 시험해볼 필요 있을까요?

    (어제 친구들이랑 산후조리 얘기 하다가 울고 짠 이야기 나왔는데 다시 울컥해 지더군요.
    애 낳는거 보다 낳고나서가 훨씬 심적으로 힘들었어요. 적어도 1년은 아주 힘든데
    1주, 2주,3주...이럴때부터 실미도 뭐하러 당겨서 들어갈려고 하세요.)

  • 5. ㅡ.ㅡ
    '11.11.4 12:54 PM (175.112.xxx.49)

    산후조리원2주에 도우미분한달(6시퇴근 주말일찍퇴근 일요일 쉬시고) 이후엔 친정어머니 도움 간간히 받고 남편이

    많이도와주는 편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전 힘들던데요. 노산에 첫애라서 모든게 서툴고 조심스럽구요.

    도우미분퇴근후엔 계속 남편과 번갈아 아기돌봤지만 아무래도 엄마가 더 안고 달래게 되고 백일되기전 아기 밤낮없이

    보채고 엄마는 수면부족에 체력적으로 넘 힘들어요. 밤에만 주로 제가 안고 달래고 했는대도 출산4개월이 지난 요즘

    날씨궂음 뼈마디가 욱씬거린다는 말을 실감하고 있네요. 몸조리 정말중요해요.

  • 6. 저도
    '11.11.4 1:11 PM (116.38.xxx.68)

    예민한 성격 죽이고 산후도우미 쓰겠습니다. 저도 예민해서 사람들이기 싫어서 안 썼는데;; 남편이 프리라 남편을 아주 잡았습니다. 남편 고생할까봐 결국 시어머니가 와서 청소해 주시고 반찬해 날라주고 하셨는데 그럼에도 남편 잡았어요;; 수발 들 게 얼마나 많은지, 아가랑 있는 방은 깨끗해야 해서 청소도 하루 한 번은 닦는 거까지 해야하고 환기도 해야하고(찬바람 들까봐 아기랑 저는 딴 방으로 피신) 간식도 먹어야 젖도 잘 나오고. 우리 남편은 지금도 산후조리 생각하면 피곤해 하면서도 뿌듯해 합니다. 저는 제가 장애인 같이 제 앞가림도 못 했던 비참한 시절 같아요(장애인 비하 아님) 당시엔 무력하고 손 많이 가는 나 자신에 대한 회의와 남편에게 무한미안 하더군요.

    이제 10개월차인데 이제는 많이 예민한 거 누그러져서 돈만 되면 아줌마 쓰고 싶어요. ㅠ쓰세요~~

  • 7. 예비산모
    '11.11.4 2:14 PM (222.239.xxx.219)

    댓글 달아주신 것을 보니 생각이 많아지네요.ㅠㅠ
    잡을 남편이라도 있으면 강행하겠는데 남편 얼굴보기도 힘들 것 같아서요.
    남편이 아이 얼굴 보기도 힘들 거예요.
    '닥치고 산후조리만'생각해야 하는 건가요.ㅠㅠ
    며칠 전에 아기 낳은 친구랑 통화했더니 아기 낳고 3일 동안 속옷도 혼자 못 갈아 입었다고
    저한테 너무 만만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뭐라 하더라구요.
    제가 너무 어리석은가봐요.

  • 8. 저도 저질체력
    '11.11.4 2:32 PM (203.226.xxx.94)

    조리원 2주 도우미 2주 하고
    1주일 버티다 유선염걸려 입원했어요

    1주일 입원동안... 20시간 잠만 잤어요..

  • 9. ...
    '11.11.4 2:55 PM (175.194.xxx.138)

    전 재왕절개로 아이낳고 5일만에 퇴원해서
    애둘 보면서 갓난아이까지 모유수유 해가면서
    일까지(자영업이라 집에서 일함) 했는데요
    지금 너무 힘들어요
    온몸이 안아픈데가 없고
    매일매일이 피곤하고 살은 절대 안빠지고 그대로...
    그냥 너무 속상하고 힘들어요
    되도록이면 조리원에 더 있다 나오세요
    안그럼 평생 후회 합니다

  • 10. ...
    '11.11.4 3:17 PM (125.177.xxx.148)

    평소에 운동을 많이 하시거나, 체력이 강한 분이라면 산후 조리원 2주정도만 하도고 바로 집에서 아이보고 살림 다하시는 분도 가끔 봤습니다만, 대부분 힘듭니다.

    첫아이고, 더구나 체력도 약하신 분이라면 아예 산후 조리원을 한주 더 하거나, 아니면 그냥 불편한거 참으시고 산후 도우미라도 2주 정도 더 쓰세요. 정말 운이 좋아서 아기가 아주 순한 경우라면 괜찮지만, 그렇지 않다면 첫 한달은 많이 힘듭니다.

  • 11. 순돌이
    '11.11.4 4:04 PM (175.124.xxx.3)

    저 예민해서 도우미 중간에 포기하고 혼자 했어요.
    온갖 병이 다 와서 너무 힘들어요.
    아픈데 애 때문에 병원 갈 시간도 여력도 없어서 두배 더 힘들어요.
    제발 도우미 마음에 안들고 스트레스 받으셔도 몇달은 낮이라도 도우미 쓰세요.

  • 12. dd
    '11.11.4 4:14 PM (119.194.xxx.127)

    딱 아이만 보시면 가능할 것 같아요. 대신 살림은 절대 하지 마세요. 국이나 반찬 같은 건 배달 시키시든지 누가 며칠에 한 번씩 끓여 주면 될 것 같구요.. 전 둘째 출산 내년에 하는데, 큰 애 얼굴 안 보고 살 자신 없어서 2주 조리원에 있다 집으로 올 거예요. 살림이나 청소 같은 건 일체 안할 거구요,, 큰 애가 아침에 유치원 가고 학원 갔다가 저녁 5시 이후에나 오니 많이 치닥거리 할 일도 없을 것 같네요.

  • 13. 비추
    '11.11.5 2:20 AM (112.169.xxx.181)

    몸 다 망가져요. 이건 경험자들이 잘 알죠..ㅠㅠ 도우미 너무 불편해도..나중에 몸 불편한 것보단 나을 거예요. 님은 애기만 케어하시구,,살림 누군가에게 맡기세요. 혼자서는 살림 안할래야 안할 수 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535 토이스토리2 원판 성우 그대로 나오는 오디오(cd) 문의 2 fta꺼져!.. 2011/11/23 855
39534 뿌리깊은 나무 보면.. 우리시대를 보는거같아서 마음이 아프네요... 3 .. 2011/11/23 995
39533 왜 무슨일 땜에 그런건지... 007뽄드 2011/11/23 552
39532 재취업 (30후반) 여쭤봅니다.. 1 어쩌나.. 2011/11/23 1,412
39531 스마트폰 처음 개통했는데 메뉴키에 불(백라이트)이 안들어오네요 스마트폰 2011/11/23 634
39530 고3 시험끝난아이들은 학교 안가나요 4 ..... 2011/11/23 1,486
39529 FTA집회는 왜 성공못하나? 5 이유 2011/11/23 1,497
39528 이런 시국에 죄송하지만, 출장미용 추천해주세요~! 초보맘 2011/11/23 1,011
39527 사주, 점치러 다닐필요 없네요 3 ... 2011/11/23 3,946
39526 느낌이 6.10항쟁전의 폭풍같은느낌이... 4 .. 2011/11/23 1,845
39525 이시국에 보험 질문 3 궁금이 2011/11/23 540
39524 편도선염도 전염되나요? ^^ 2011/11/23 9,266
39523 요즘 아파트 전세값 점점 내려가는 추세인가요? 7 ... 2011/11/23 2,950
39522 펌) FTA에 묻어가는 날치기 통과 안건 내용 1 깍두기 2011/11/23 727
39521 대한문 집회 가려는데..무슨역(지하철)에서 내리나요? 8 오늘 2011/11/23 1,293
39520 지역구 의원 홈페이지 들어가세요 ~ 4 호호홋 2011/11/23 495
39519 남편이 생활비를 (삭제해요) 44 fta반대 2011/11/23 12,203
39518 문화일보 오늘자 석간 헤드 언빌리버블 7 와우 2011/11/23 1,601
39517 나꼼29 2 Hjkkk 2011/11/23 1,177
39516 역대 대통령 식단 (마지막 사진보면서 울컥했어요) 33 . 2011/11/23 14,134
39515 영어귀를 뚫리게 해줄 애니나 영화추천 1 굽신굽신 2011/11/23 1,513
39514 fta되어도 소비자로서 그다지 반갑지 않은데.. 3 어린 2011/11/23 829
39513 아이들의 미래가 정말 걱정됩니다 5 괜찬치않아 2011/11/23 1,213
39512 무슨짓을 해도 150석 이상씩 뽑아주는 국민들이 있는 이상. 10 ㅇㅇ 2011/11/23 1,190
39511 42살인데 이 스타일 별로일까요? 2 재키 2011/11/23 2,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