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똑똑했던 내 친구들 다 어디갔나..

그저그랬던 사람 조회수 : 2,262
작성일 : 2011-10-26 23:02:49

제가 초중고 다닐때 넘사벽이었던 친구들 많았었어요.

성적 뿐 아니라 성격, 집안, 대인관계, 리더쉽.. 외모까지

그 친구들에 비해서 저는 집안 그럭저럭, 외모는 좀 괜찮은 편이었지만 꾸밀 여유 없어서 선머스마처럼..

성적은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라서 잘 나왔지만 과외도 잘 안 받은 거라서 상위 1% 이런 건 아니었죠.

 

그런데 그렇게 똑똑했던 내 친구들은

대학교 졸업한 뒤에 일부는 대학원도 갔지만

대부분 친정도 잘 살고 시댁도 잘 살아서

자기 일을 하기보다는 그저 애들 잘 기르고 집안 잘 이끄는 걸 주변에서 기대하고 있었구요,

그래서 그렇게 똑똑했던 친구들이 다 전업주부를 했어요.

 

그에 비해서 저는

그저 제가 하지 않으면 죽도밥도 안되는 상황이었기에

애를 낳고도 시댁도 친정도 육아를 도와줄 생각도 형편도 안되어서

저 혼자 갖은 고생하면서 애 키우면서 일했답니다.

여기에 얽힌 이야기는 책으로 쓰고도 남습니다.

하여간에 밤이면 퇴근해서 갖난애 목욕시키고 기저귀삶고 우유병 소독하면 새벽2시.

새우잠 자고 새벽 6시면 일어나서 출근준비.

 

애들 키우면서도 누가 봐줄사람 없어서

애 봐주는 분한테 맡기고, 놀이방에 맡기고..

울면서 엄마 가지말라고 몸부림치는 애를 떼어놓고 출근했답니다.

 

그렇게 애를 쓰면서 남편하고 푼푼이 번 돈을 절약해서 쓰면서 저축해서

그저 편안히 살 정도가 되었지만

지금도 제 친구들은 집안에서 내려온 돈으로 저하고는 처지가 달라요.

 

그런데 제 친구들이 지금은 은근히 저를 부러워하네요.

너는 네 일이 있으니 얼마나 좋으니 하면서요.

물론 그 친구들이 제가 얼마나 힘들게 일했는지 어찌 알겠어요.

그런거 말 안하니까, 그리고 그 친구들은 저하고는 애초부터 경제수준이 달랐으니까

아무 사정도 모르고 그냥 지금 상태보고 그러는거겠죠.

 

그런데 제 친구들하고 얘기해보면

뭔가 사회생활을 안한 사람들한테서 느끼는, 막힌데가 있어요.

분명히 학교 다닐때는 저한테는 넘사벽이었던 친구였는데

그 친구들은 사회생활 또는 자아실현.. 아니면 그저 대인관계의  한계로 안해

뭔가 폭넓게 자기 자신을 발전시키지 못한 걸 느끼거든요.

 

지금 생각하면 우리 친정이 그리 잘 살지 않았고

시댁도 여유가 없었다는 것이

제가 제 일을 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어찌 생각하면 좀 안타깝기도 해요.

그렇게 똑똑했던 내 친구들이 결혼과 육아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사회안에서 발현시키지 못하고

가족 안에서만 그 능력을 쓰는거 말이예요.

 

그러니까 사람이 너무 잘 나고, 친정이나 시댁이 너무 지체 높아도

그 안에서 여자가 자기발전을 도모하기 어려운 것도 있는 듯 해요.

 

IP : 69.38.xxx.14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10.26 11:05 PM (112.153.xxx.114)

    사람은 다 자기 분대로 살아가는 것 같아요..

  • 2. ...
    '11.10.26 11:08 PM (125.187.xxx.205)

    슬픈 여성의 현실일 수도.
    아무리 잘났어도 어떤 근성이 부족했기에...또 자기의 가치관대로...또는 어쩌면 그릇이 그 정도였기에...그럴수도 있고요.

  • 3. ..
    '11.10.26 11:08 PM (182.208.xxx.62)

    맞아요, 저는 집안좋고, 대학졸업해서 바로 선봐서 결혼한 친한 언니 보면서 그런 생각합니다. 공부도 잘하고 똑똑해요. 근데 뭔가 좀 맹한 구석이라고 해야하나? 사회의 쓴맛(?)을 못봐서 그런지 다른사람에겐 당연한걸 모르거나 할때가 왕왕 있어요. 참, 그리고 너무 자주 자기 어린시절 상주도우미 어쩌고, 이층집 큰 주택이 어쩌고 하거나 아님 대학시절 공부잘한 이야길 꺼낸다는거...ㅡ.ㅡ; 참, 저 그언니 부모님 어느대학 나오신것도 아네요 그러고 보니.ㅎㅎ

  • 4. 저는
    '11.10.26 11:09 PM (125.177.xxx.151)

    그냥 아이 키우면서 남편돈 쓰며 편하게 사는게 좋은디~~^^
    남편에게 죄송할 뿐입니다...

  • 5. 기회조건
    '11.10.26 11:10 PM (210.124.xxx.64)

    님 글만 읽어도 너무 장하십니다.
    사회생활을 안한 사람들한테서 느끼는, 막힌 데...........가 뭔지도 잘 알아요.
    인생이 참 길어서 그런 면에서 철저히 프로가 되는게 중요하긴한데요,
    3년간 마음 편히 행복............하게 육아한 그 기쁨이 있으니
    그분들은 님을 너무 많이 부러워하면 안 되는 거예요. 돌아보면 전 그 3년이 평생 중 가장 행복했거든요.

  • 6. 0000
    '11.10.26 11:10 PM (94.218.xxx.131)

    공부잘하고 똑똑하지만 사회생활에 맞는 성향이 아닌 거죠. 환경 영향도 있지만 그 안에서도 사람은 모두 다릅니다. 그 친구들은 집이 부자여도, 가난했어도 똑같은 삶을 살 거구요. 님은 님대로 집이 부유했다고 전업주부 한다고 볼 수 없죠.

    원글님이 얼마나 사회적 명성을 얻었는지는 모르겠으나 그녀들은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답니다. 본인이 행복하면 되는 것 아닐까요?

  • 그리고
    '11.10.26 11:14 PM (94.218.xxx.131)

    전업주부하는 게 "슬픈" 현실인가요? 남의 이목보다는 개인의 행복이 더 존중받아야 마땅하다고 보네요.

  • 7. 먼저
    '11.10.27 10:23 AM (121.168.xxx.134)

    열심히 사셨던것에는 존경을 표하는데요,,

    그런데,,,님글이 그냥 편하게 느껴지지만은 안네요.
    똑똑한 친구들이 사회아닌 가정안에서만 그 능력을 발휘하는것이,,,안타까운일인가요?

    제 주변에는 스카이 박사나 치과의사, 한의사로 사회생활 하다가 아이 초등고학년 무렵 해서 전업으로 바꾼 분들이 몇분계세요.
    그분들은 가치관이 그래서 그런지 어느 누구도 가정생활에 자신의 능력을 묻었다고 안타까워하지 않던데요.

    학교다닐때 공부하던 그 맹렬함으로,,아이들 케어도 엄청 열심히 하더군요.
    솔직히 옆에서 보면서 좌절감 느끼지요.
    학교다닐때는 공부로(저도 어느정도 공부했지만 그렇다고 의대갈정도는 아니었으니까요) 넘사벽이더니
    이제 아이키울때도 넘사벽이네 하고요.

    그냥 님이 행복하시면 그대로 행복느끼면서 감사하는 모습이 보기좋지
    다른 이의 삶을 가지고 이러쿵저러쿵하는것,,별로 안좋아보여요.

  • 그저그랬던 사람
    '11.10.27 3:21 PM (69.38.xxx.146)

    제가 다른이의 삶을 가지고 이러쿵저러쿵하는 것처럼 보이나요?
    생각을 쓴거가지고 이러쿵한다고 하면 이 세상에 할말이 뭐가 있나 싶네요.
    님처럼 그렇게 이러쿵저러쿵한다하면 님의 판단에 안 걸릴 사람이 없겠어요..

    분명히 말할께요.
    초중고일 때는 그 친구들이 제게 넘사벽이었지만
    지금은 제가 그 친구들한테 넘사벽입니다.
    제가 능력이 뛰어나서가 아니고
    그 친구들이 좋은 형편에서 굳이 울고불고 하는 애들 떼어놓고 일하러 가지 않아도 되고
    열이 쩔쩔 끓는 애를 남의 손에 맡기고 눈물을 훌리면서 직장을 향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죠.
    저는 그렇게 힘들게 일을 해서 살아남아야 했기 때문에 오늘이 있었던 것이구요.
    그 당시에 그 친구들한테는 자녀양육과 집안을 잘 이끄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을테고
    저는 힘든 상황에서도 일을 하지 않으면 안되니까 직장과 집안 양쪽에 모두 다 해야 했구요.

    물론 그런 환경은 자신의 선택이 아니었지만
    일을 하냐 안하느냐의 핵심은 각자의 선택이었고 지금도 각자의 선택에 만족할 것이라 생각해요.

    제글의 요지는
    남자라면 안 그럴지 모르지만
    여자의 경우에는 가정형편이 좋아서 굳이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자신의 능력을 갈고 닦기 어려운 것으로 보이는데
    그 예로서 제 친구들이 어릴 때 그렇게 똑똑했었는데 자신의 능력을 자녀양육에만 쏟고 집안살림만 하다보니
    넘사벽이었던 친구들이 현재는 아니더라 그말입니다.

    제 글에서 환경에 따른 여성의 능력계발 동기의 차이를 읽으셨다면 되었구요,
    제 글에서 님처럼 남의 삶에 이러쿵저러쿵 한다고 읽으셨다면 그건 '먼저' 님의 선택이구요.
    모두 각자 생각하는대로 사는 것이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400 정말 존경스런 수원촛불!!!! 19 참맛 2011/11/11 2,233
35399 내년부터 인천 6세도 보육료 지원되네요 ^^ 5 ㅎㅎㅎ 2011/11/11 1,477
35398 남편이 회사 일에 대해서 집에서 얘기하시나요? 아니면 여러분은요.. 6 .. 2011/11/11 2,088
35397 냉장고 ? 4 ,,, 2011/11/11 770
35396 수능 가채점 등급컷 바뀌나요? 6 정말 2011/11/11 2,141
35395 사람 오래 못사귀는 것도 병인가요 4 흠흠 2011/11/11 2,874
35394 에 칭찬받는 민주당 의원들…기쁠까? 아마미마인 2011/11/11 866
35393 녹용들어간 아이한약을 지었는데, 찌꺼기가 너무 많아요..괜찮나요.. 1 일반 한의원.. 2011/11/11 1,118
35392 딴지일보 - 한미 FTA 조건부 찬성의원 16명의 진실 9 참맛 2011/11/11 2,073
35391 재쌍거풀수술vs 아이라인문신으로 얼굴 좀 달라질까요? 1 성형수술 2011/11/11 1,299
35390 인천공항 민영화 다시 추진한답니다-.- 15 그럼그렇지 2011/11/11 2,255
35389 이게 섭섭할 일인가요? 10 답례 2011/11/11 1,814
35388 학교엄마중에....늘 1등인 아이엄마랑 친하다고 자랑하는 엄마가.. 13 이런 심리는.. 2011/11/11 3,669
35387 군무원이라는 직업 어떤가요? 2 미래가궁금해.. 2011/11/11 2,935
35386 어플 많이 쓰시나요? .. 2011/11/11 666
35385 수영하면 생리가 늦어지나요? 4 ... 2011/11/11 1,632
35384 이게 본격적 노화의 시작인가요? 24 evilka.. 2011/11/11 11,334
35383 6학년 방정식 풀어주세요. 1 수학 2011/11/11 898
35382 중앙대 내일이라는데 4 수시일정 2011/11/11 1,339
35381 모르는 사람에게 전번 함부로 주면 안되겠어요.. 1 커피. 2011/11/11 1,619
35380 아이가 이러네요.. 1 남아 2011/11/11 932
35379 르쿠르제 처음에 길들이기 하나요? 2 르 초보 2011/11/11 1,995
35378 시동생결혼식때 6년전 한복 입어도 될까요? 11 부산맘 2011/11/11 2,864
35377 압구정 아트헤어 디자이너 추천해 주세요. 4 머리 2011/11/11 10,819
35376 여러번 FTA에관해서 제가 안 새로운 내용입니다 꼭읽어주세요 16 듣보잡 2011/11/11 1,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