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학년 단원평가 점수

점수 조회수 : 1,760
작성일 : 2011-10-26 14:43:27

국어 75점

수학 85점, 75점

 

이거 잘 못한편이죠??

어쩐지.. 받아쓰기 100점 맞았다고 자랑하고 해서

애가 왜 갑자기?? 점수가지고 자랑?

했는데... 이상하다? 했는데 주늑들어서 그런가봐요.

 

이게 더 마음 아프네요.

 

앞으로 잘하겠죠.

오늘은 정말 여러모로 일이 손에 안 잡히네요.

 

 

 

 

IP : 218.152.xxx.206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직
    '11.10.26 2:46 PM (122.34.xxx.24)

    일학년, 어리쟎아요
    신경쓰지마시고 아이를 격려해주세요
    수행도아니고 암것도 아니에요
    일학년점수는 아무의미없어요

  • 2. 점수
    '11.10.26 2:47 PM (218.152.xxx.206)

    예~ 그냥 모른척 하고 저녁에 '열심히 한거니?"만 물어보려고요.

    오늘 그냥 너무 일이 손에 안 잡혀요. 시장이나 우선 잘 뽑혔음 좋겠네요.

  • 3.
    '11.10.26 2:49 PM (175.213.xxx.61)

    이번에 중간고사 안봤나요? 단원평가에 일희일비 하기보다 중간고사 성적을 보고 결정할일 같아요 그래도 아직 일학년이니까 시험보는 요령이 부족한 걸 감안해야할듯해요

  • 4. 점수
    '11.10.26 2:50 PM (218.152.xxx.206)

    저흰 중간고사 자체가 없는것 같아요.
    1힉기때도 없었는데요?

    중간고사 없어지고 단원평가로 바뀐걸로 아는데요?

  • '11.10.26 3:02 PM (175.213.xxx.61)

    1학기땐 원래 안보고요
    2학기땐 중간기말 보던지 기말만 보던지 할거에요
    검색해보세요 이번에 1학년 중간고사 본곳 많습니다
    단원평가로 바뀐게 아니라 단원평가도 보고 중간 기말도 보고 거의다 그래요
    학교마다 차이는 있겠지만요

  • 5. 점수기 낮으면
    '11.10.26 2:51 PM (114.205.xxx.97)

    아이가 좀 위축되기도 하는 것 같아요. 아이를 독려해주시고 선행은 안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학교 공부 만큼은 성실하게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공부 습관을 위해 학교 진도와 맞게 하루 두장씩 문제집 꼼꼼히 풀게 하시구요.

  • 6. 점수
    '11.10.26 2:53 PM (218.152.xxx.206)

    근데 1학년이 이 점수면 낮은건가요? 잘 몰라서요.
    1학년때는 보통 다 맞거나 하나 틀리는건가요?


    제가 봤을때는.. 나쁘지 않은것 같은데...
    어디선가 1학년때는 다 맞거나 하나 틀린다고 들은것 같아서요.

    저희 학교가 문제가 좀 어렵게 나온다고 알고 있어요.

  • 7. ..
    '11.10.26 3:04 PM (14.35.xxx.161)

    점수가 잘나온편은 아닙니다.
    문제가 학교마다 다르다고해도 1학년을 감안하여 대부분은 쉽게 내거든요.
    점수에 큰의미를 둘필요는 없지만..
    아이의 수업태도나 학습 습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는 있어보입니다.

    저정도 점수이면 거의 하위입니다.
    시험보는 요령이 없다는것도 문제를 거의 안풀어봤는것인데.
    1학년이 거의 다 끝나가는 시기이므로 지금쯤은 공부습관을 잡아줘야 할때입니다.

  • 8. 점수
    '11.10.26 3:05 PM (218.152.xxx.206)

    아... 그렇군요.

    윗분 감사해요!!

  • 9. 유명인
    '11.10.26 3:05 PM (219.248.xxx.40)

    초등학교...더군다나 1학년 점수 별로 중요하지 않아요...
    점수에 연연하지 마시고
    그냥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할수 있게 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여긴 경기도 인데 1학년은 보통 단원평가만 보다가 2학기 기말만 보더라구요.
    2학년부터 중간 기말 다 보구요...

    제가 알기로 서울은 초등학교 중간, 기말시험 안보고 단원평가만 보던데요...

  • 10. ...
    '11.10.26 3:09 PM (211.196.xxx.241)

    저희는 1학년 1학기 단원 중간 기말 시험 다봤구요
    몇일뒤면 중간평가 봅니다.
    1학기 단원평가때는 문제를 처음 풀어봐서 시간이 모자라 앞면만 풀고
    뒷면은 아에 백지인 상태도있었어요 그래서 그 뒤 조금씩 문제푸는 방법...시간지켜서
    빨리 글 읽는것..등등 하니 1학년 기말에선 1개 틀려오더라구요.
    집에서 문제지 하나 풀리세요..
    아이들...자신감이 달라지더라구요.

  • 11.
    '11.10.26 3:10 PM (175.213.xxx.61)

    점수를 놓고 잘했냐 못했냐로 나누기보다는 아이가 어떤걸 틀렸고 왜틀렸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울아들도 1학년이지만 이번 1학년 문제 유형이 거의다 거기서 거기에요
    문제집 서너권만 풀어보면 다 비슷한 문제죠 아이가 몰라서틀렸거나 개념을 잘몰라서 틀린거면 보충을 해주면되고 실수한것이면 아직 요령이 없어서 그런거니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거에요
    우리애는 한개 두개 틀려도 문제가 정답의 기호를 쓰는것인데 기호에 적인 내용을 썼다거나 답이 두개인데 실수로 한개만 썼거나 그런경우라 점수에 크게 의미두지않아요
    아직 애들이고 일학년은 무엇이 부족한지 보충해주는데 의의가 있는거같아요

  • 12. ...
    '11.10.26 3:13 PM (219.253.xxx.4)

    경기도구요...저희 아들래미 중간평가 봣는데...국어 28점, 수학 83점 받았습니다....수학은 그렇다쳐도 국어는 뭥미.ㅎㅎㅎ 아들 완전 자신있게 국어 28점 이러는데 남편이랑 한참을 웃었습니다.ㅎㅎ 시험이라고해서 수학만 좀 봐줬구요. 국어는 전혀 안봐줬거든요-.- 국어는 문제 자체를 이해 못하는 것 같아요. 근데 1학년 시험 생각보다 어렵고,,,교과서도 그렇고,,,우리 어릴 때랑은 정말 틀리더군요-.- 걱정되긴되요..ㅠ.ㅠ

  • 13. 점수
    '11.10.26 3:14 PM (218.152.xxx.206)

    예!! 1학년때라 아예 손을 놓고 있어요.

    아이 성향이나 학습력이 어느정도 인지 보려고.....
    아예 문제집 한권 안 시키고 학교 보내고 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정도면 다행이다.. 생각하고 있어요.

  • 14. 우리조카
    '11.10.26 3:33 PM (112.168.xxx.161)

    6학년인데 중간 기말 5과목 셤보면 올백 맞거나 어쩌다 5과목에서 한개 틀려요. 4학년쯤인가부터 계속 그랬어요.
    근데 갸도 1학년때는 막 60점도 많이 받고 그랬거든요. 시험 볼줄을 모르는거죠.
    어떤때는 뒷장은 백지로 내고 그랬었어요.
    1학년이니까 점수가 중요한건 아닌데요.근데 아예 손을 놓는건 좀.. 그러다 갑자기 잡히지 않을텐데요.
    저학년때는 시험점수보다 공부습관 기르는 시기라고 입을 모아 말씀들 하시잖아요
    우리조카는 1학년때부터 하루도 거르지않고 매일 학습지 두세장씩은 항상 했었어요.

  • 15. !!!
    '11.10.26 3:34 PM (112.151.xxx.79)

    교육과정 바뀌고 나서부터 엄청 내용이 어려워졌습니다.
    그 점수면 그리 못한건 아닙니다. 예전에는 한반에 90점 100점인 아이들이 대부분일 정도로 쉬웠는데 요즘은 정말 그 내용을 상위 학년 아이에게 주어도 좋은 점수가 안 나옵니다.
    원글님, 1학년은 아직 문제를 이해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하니까 조금씩 나아집니다. 너무 걱정 마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467 에어캡 2 뽁뽁이 2011/11/04 788
32466 밀본하고 집현전하고 무슨 관계가 있나요 5 루리 2011/11/04 1,613
32465 실비보험 다들 드시고 사세요? 8 ... 2011/11/04 1,679
32464 남편이 귀가 후 제 옆에 안와요 32 ... 2011/11/04 12,053
32463 최재천 '한미 FTA 청문회' 책이 PDF 파일로 공개돼있네요... 3 fta반대 2011/11/04 1,165
32462 나꼼수 후드티 왔어요. 8 gr8sun.. 2011/11/04 1,890
32461 방금 꼬꼬면을 먹었는데요... 38 꼬꼬면 2011/11/04 6,957
32460 한미FTA 요약 동영상 1 rainbo.. 2011/11/04 672
32459 'Again 2008', 한미FTA저지 촛불 여의도에서 점화됐다.. 1 베리떼 2011/11/04 967
32458 어제 백토보고 급우울무드중...ㅠㅠㅠㅠ 9 ,. 2011/11/04 1,928
32457 뚜껑식딤채김치냉장고 8 .... 2011/11/04 1,931
32456 드디어 그네공주님이 FTA에 대한 견해를 밝히셨네요-_- 6 그나물에 그.. 2011/11/04 1,565
32455 시국이 뒤숭숭하지만.. 저희 아이가 돌이 되었어요. 축하해주세요.. 13 뽕이엄마 2011/11/04 902
32454 댓글달면 아이피주소가 다 나오나요? 6 왜 저만 2011/11/04 1,125
32453 MB 입 찢어지다 ㅠㅠㅠ 7 돌아오지마 2011/11/04 2,667
32452 수험생 조카에게 엿이나 떡 보내고 싶은데... 7 외숙모 2011/11/04 1,200
32451 카드론이냐 신용대출이냐 3 알려주심 감.. 2011/11/04 2,005
32450 푸켓으로 갑자기 여행결정 6 여행 2011/11/04 1,560
32449 9월부터 경조사 투어네요. 너무 많아요. 4 어휴 2011/11/04 922
32448 백화점 카드 쓰시는분 한도가 어떻게 되세요? 4 질문 2011/11/04 2,856
32447 김어준 한미FTA 찬성의원 풍자 예정 “명단을 가사로 한 노래 .. 9 세우실 2011/11/04 1,468
32446 현대미포조선 근무환경 아시는 분 계신가요? 현대 2011/11/04 790
32445 절임배추로 김장해보신분 3 김장 2011/11/04 1,389
32444 신용카드한도가 2억이면 한도가 많은건가요 ??? 5 천만 2011/11/04 4,898
32443 (한미fta결사반대)저희들이 힘을 모아 반대하면 가능한건가요.. 17 사남매엄마 2011/11/04 1,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