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녀분 키우신 선배어머님.... 지혜좀 주세요ㅠ

사춘기 조회수 : 1,712
작성일 : 2011-09-28 10:48:24
어려서부터 '존중'하고 때리지않고 기르면 사춘기 없나요? 아이가 잘 자라나요?
IP : 14.47.xxx.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공감
    '11.9.28 11:02 AM (183.102.xxx.63)

    사춘기는 미리 예방주사 맞추고 피해야 할 병이 아니라
    반드시 지나가야할 성장 과정이죠.

    그 과정을 힘들고 거칠게 지나가느냐
    아니면 부드럽게 지나가느냐 그 차이는 있겠지만요.
    겉으로 보기에 사춘기 없이 지나가는 것같은 아이들도
    사실은 내면에서 큰 변화를 느낄 거에요.
    그걸 스스로 얼만큼 조절하느냐에 따라.. 밖으로 드러나는 거에요.

  • 동감
    '11.9.28 11:06 AM (175.118.xxx.2)

    방황하고 비뚤어지기도 하고 반항도 하면서
    사춘기를 겪어도
    중심만 잃지 않도록 잘 잡아주면
    그냥저냥 사춘기를 보낸 아이들보다
    훨씬 좋은 어른으로 성장하는 것 같아요.

  • 1. ..
    '11.9.28 10:49 AM (1.225.xxx.55)

    부모가 해주는 '존중' 을 역이용하는 사악한 ㄴㄴ들도 많죠.

  • 2. ...
    '11.9.28 10:51 AM (110.14.xxx.164)

    사춘기가 없을순 없지요 좀 쉽게 지나가는거죠
    어릴때부터 부모랑 대화 많이 하고 부모가 어렵단거 알면 좀 덜해요

  • 3. .....
    '11.9.28 10:52 AM (72.213.xxx.138)

    사춘기를 나쁘게만 보지 마셨으면 해요.
    자녀가 청소년기를 거치며 어른이 되는 과정중의 하나인 거에요.
    그걸 건너뛰고 마냥 어린아이처럼 행동할 순 없고요.
    사춘기는 말 그대로 질풍노도의 시기이지만,
    아이들의 자아와 자기 목소리를 기르는 시간이에요.
    그리고 부모도 마냥 어린아이로 여기던 자식에 대한 통제, 간섭에서 벗어나 존중하고
    같은 사회인으로 대접해주는 시간을 배우는 시기라서요.
    무조건 적인 올인을 벗어나서 부모도 자녀와 적절한 거리두기를 기르는 시간이에요.
    그래야 아이가 어른이 되어 자립을 할때도 덜 서운해 집니다.
    새는 알을 까고 나오듯이 진통의 시간을 거치는 삶의 한 과정이라 여기시고 담담히 받아들이셨으면 해요.

  • 4. ㅇㅇ
    '11.9.28 11:05 AM (211.237.xxx.51)

    같은 부모밑에서 큰 형제 자매 남매도 다 다르게 크는것 보면 타고난 성향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것 같아요.
    사춘기 열병같이 앓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그냥 있는듯 없는듯 평상시와 비슷하게 지내는
    아이도 있으니까요..
    이왕이면 조용히 잘 지내는게 좋겠지만 어디 부모마음대로 되겠습니까..

  • 5. 어려서부터
    '11.9.28 12:42 PM (121.166.xxx.57)

    아이의견 존중해주고 대화도 많이 나누는 경우엔 아무래도 사춘기가
    수월하게 지나가는 것 같아요. 우리 아이인 경우도 사춘기를 겪었지만
    그다지 힘들지 않았거든요...자기자신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죽음과 삶같은
    철학적인 문제도 고민해 보고 ..자기미래에 대해서도 계획세우고
    이런 것들도 사춘기증세의 한가지입니다.
    사춘기라고 해서 무조건 반항하고 막나가는 것만 의미하진 않거든요.
    부모와 기본적으로 신뢰를 쌓고 마음을 터놓고 지낸 경우라면
    오히려 사춘기가 긍정적인 인생방향에 터닝포인트가 될 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078 이사하면서 옷장 바꿔 보신 분 계신가요? 1 질문 2011/10/21 1,136
26077 더 결정적인 게 있는 거 같은데..... 5 분당 아줌마.. 2011/10/21 1,840
26076 운전자 보험가입과 약물 복용 상담드려요. 3 ... 2011/10/21 862
26075 발레 매니아 이신 분들, 질문있어요.~ 1 발레덕후 2011/10/21 1,409
26074 온니들, 저 장롱 추천해주세요 징한 16개.. 2011/10/21 968
26073 조국 “나경원 전 보좌관 매일 한편씩 올린단다” 6 참맛 2011/10/21 2,626
26072 이제서야 뿌리깊은 나무 보고 있어요 ... 2011/10/21 1,164
26071 파트타임 일이 짱이네요^^ 12 2011/10/21 3,799
26070 헌혈증서 가지고계신분들... 도와줍시다... 2011/10/21 1,003
26069 '선거일 출근시간 늦추기' 트위터 여론 확산 5 참맛 2011/10/21 1,380
26068 유치원 가기 싫다는 아이 어떡하면 좋을까요 ? ㅠㅠ 1 스텔라 2011/10/21 1,187
26067 반영구화장 하고 왔어요. 9 브리즈 2011/10/21 3,357
26066 문화예술인들과 함께 2 나경원도 2011/10/21 1,117
26065 화난사람같아요 5 점순이 2011/10/21 1,510
26064 누구누구는 ..좋아하다가 빨리 죽었잖아 1 ... 2011/10/21 1,384
26063 수학이 넘 어려워요... 1 어제에 이어.. 2011/10/21 1,171
26062 소바쥬? 펌...아시나요? 1 아시나요? 2011/10/21 1,047
26061 킴* 왜 장바구니 할인이 없는거죠? 6 알려주세요 2011/10/21 1,247
26060 뿌리깊은나무를 이번주부터 보기시작했는데.... 14 똘복이 2011/10/21 3,391
26059 고가의 온열 전기 매트 궁금해서요 3 지베르니 2011/10/21 1,688
26058 종일 말 많이 하는 직업, 기관지 보호 어떻게 하시나요? 4 ..... 2011/10/21 2,120
26057 15층 아파트의 제일 꼭대기인 15층의 장단점은? 12 15층 2011/10/21 7,493
26056 3부.5부.캐럿의 차이를 몰라서요 ㅠㅠ 6 다이아 2011/10/21 27,329
26055 아들에게 커서 뭐가 되고싶니 라고 26 물으니 2011/10/21 3,507
26054 집에서 닭꼬치할껀데..맛난 비결좀 알려주세요 6 광파오븐이용.. 2011/10/21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