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80년대 의대실력 있었어도 공대 가신 분들

공대생 조회수 : 4,458
작성일 : 2013-02-24 18:01:47
자녀가 의대 갈 실력이 있는데도
본인처럼
공대 가라고 추천하실 분 있으신가요?




IP : 175.120.xxx.35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gs
    '13.2.24 6:11 PM (211.234.xxx.32)

    전 제가 의사임에도 불구하고 자식 의대보내고 싶지않네요.의사전망 그다지 좋지않습니다

  • 2. ...
    '13.2.24 6:13 PM (218.236.xxx.183)

    대학생 둘 있는데 제 아이들 또래에선아직 그런집은 못봤고
    애들이 의대 성적 되는데 절대 안간다 해서
    공대 간 아이들은 여럿 있네요.

    10년전 저희 친척아이 아빠가 모교인서울공대
    보낼라 했다가 친구들 한테 미쳤단 소리듣고
    의대보냈는데 지금은 부모도 아이도
    잘했다합니다.

  • 3. 예쁜공주223
    '13.2.24 6:14 PM (180.64.xxx.211)

    울 남편...그렇죠.
    남편 친구들 다 안갔죠. 지금 다 그럭저럭 사는데
    만약 의대 갔었다면 정말 하이로 잘살았을것 같기도해요.
    또 그 다른 문제들도 있겠지만 인생 뭐 돈이 전부같기도해요.

  • 4. 원글
    '13.2.24 6:19 PM (175.120.xxx.35)

    의대 마다하고, 심지어 붙었는데도 공대 갔는데,
    오너 흔들리면서 회사 망하고. 실력보다 회사내 라인에 좌지우지 당하고.
    IMF에 구조조정 당하고...

    제 주변에 이런 분들도 적지 않더라구요.

  • 5. 원글
    '13.2.24 6:24 PM (175.120.xxx.35)

    아. 제 남편도 붙었는데 공대 갔고,
    저는 문과에서 20점 점수 깍고 의대넣어도 붙을 성적이라 잠깐 고민은 했었다는..

  • 6.
    '13.2.24 6:26 PM (211.219.xxx.152)

    저희 남편이 공대에서 제일 높았던 과에 수석으로 들어갔는데요
    본인은 물리학과를 가고 싶었는데 현실과 절충해서 공대를 갔다네요
    친한 친구들과 창업을 해서 경제적으로도 만족하고 본인이 가장 잘할 수 있고 인정 받는
    일이라 만족도가 높아요
    의사친구들이 오히려 박탈감을 느껴했어요
    의사친구들은 자기 자식은 의사 안시킨다고 한다는데요
    저희 남편은 아들이 자기랑 같은 직업을 가져도 좋을거 같다네요
    그런데 요즘은 공대가 정말 인기는 없나봐요
    남편 친구 아들이 서울대 공대 갔는데 주변에서 다 안타까워했다네요

  • 7. ...
    '13.2.24 6:30 PM (118.38.xxx.124)

    7x 학번이고 제가 공대 (대학원 까지 )케이스 입니다.
    주변 동창들은 거의 의사 들이구요.

    우선 70~80 년대의 사회구조와 현재의 구조가 아주 다르다는점을 명심 하여야 합니다.

    저희 시대는 경제적 으로는 의사 완전 우위 였입니다.(개업해서 월 1~2천 못벌면 병신이던 시절이었죠)

    하지만 지금 졸업하는 의사 지망생들
    의사 친구놈들, 자신들의 말로도 답 없다..입니다.

    그러면 공대는 답 이 있는가 ?
    이것도 답이 없다 입니다...
    대한민국 대기업 , 정치판, 이고 정답 없구요...

    하지만 당연 비교우위였던 의사 직업은 메리트가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지요.
    의사라는 직업이 본인 들에게는 좀 답답하기도 하구요.
    의사라는것도 한정된 파이를 결국 나누어먹기인데
    이것 이미 장난이 아닌 시절이구요.
    당장 30~40대 후배의사 들만 하여도 상당히 힘들어 하고있더군요.

    정답은 없지만 참고로 하시기를 ....

  • 8. 저희남편도
    '13.2.24 6:36 PM (218.236.xxx.102)

    저희 남편도 서울대 의대 성적되는데 서울대 공대 나왔어요. 정말 피가 무서웠대요.-.-;;;
    공대에서 박사하고 논문 주제로 벤처 차렸습니다.
    근데 비슷한 성적이던 친정 동생은 의대를 나와서 의사 합니다.
    동생도 공대를 가고 싶어했는데 성적이 아깝다고 학교를 조금 낮춰서 의대 간 케이스지요.
    둘 다 40대 중반입니다.
    동생이나 남편이나 돈은 비슷하게 잘 버는데,
    만족도 자체는 굉장히 다른 듯 합니다.
    동생은 돈에 대한 만족도가 더 큰 것 같고,
    남편은 일 자체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 보람이 아주 커요.
    아주아주 자발적인 워크홀릭...-.-;;; (마눌 입장에서는...음.)
    동생은 아들 의사 안시킨다 하고,
    남편은 아들 공대 보내서 사업 시킨다고 합니다.
    동생 아내와 저는 아들들 그렇게 공부시키기가 쉬운줄 아냐고,
    옛날 같지 않다고 인서울 대학이나 가면 좋겠다고 펄펄 뛰지요. ㅠ.ㅜ

    하여간.
    40대 넘어가니
    남편과 동생 말이 동창들 중에서 공대 나와서 자기 기술로 자기 사업하는 친구들이 제일 잘산다고 하네요.
    돈이나, 만족도나.

  • 9. 원글
    '13.2.24 6:43 PM (175.120.xxx.35)

    요즘은 본인이 좋아하는걸 해야하는 시대 같은데,
    아이가 자신의 길을 찾기가 쉽지 않고,
    찾는걸 옆에서 도와주기가 쉽지 않네요.

  • 10. 반대케이스
    '13.2.24 6:55 PM (218.55.xxx.157)

    70년대 중후반 학번인데 첫해에 서울대 전자공학과 떨어지고, 재수해서 다음해에 연대 의대 갔는데 아들들 모두 의대 보내던데요. 만족도가 높은가봐요. 적성에 딱인지.

  • 11. 80초반 학번
    '13.2.24 6:55 PM (112.153.xxx.137)

    한 학교만 선택해야했어요

    의대 붙었는데 공대 아닙니다

    당시에 의대가 점수가 그렇게 높지 않은 대학들이 많았지요

  • 12. 90년대 학번
    '13.2.24 6:58 PM (183.100.xxx.159)

    90년대 후반 학번이고 성적 되는데 공대갔어요. 제 남편도 마찬가지.
    둘 다 후회하지 않고있고, 제 아이도 이공계 성향이 뚜렷한데 본인만 원한다면 의사보다는 공대 보내고 싶어요.
    경제적으로 엄청 넉넉하거나 의대간 친구들처럼 돈 버는 거 아니지만, 일하는 거 재미있어요. 의대쪽 제 적성 아닌 것 뚜렷하고, 분위기에 떠밀려 그냥 의대 갔다고 하더라도 그리 행복하지 않았을거라 생각해요.

    제 부모님도 제가 끝까지 의치대 안가고 공대 간 거 그 당시엔 속상해 하셨지만 지금은 제가 만족하고 사는 것보며 행복해 하세요.

  • 13. ㅇㅇ
    '13.2.24 7:39 PM (203.226.xxx.175)

    뭐 의사들 페이 떨어진게 언젠데 다들 이러는지?

  • 14. ..
    '13.2.24 8:51 PM (37.24.xxx.31)

    학력고사 시절에 전국 탑은 서울대 물리학과 건축학과 뭐 그랬던것 같은데요..의사 수입 부러워하곤 하지만 종일 진료실에 틀어박혀있는 직업보다 수입은 적지만 자유로운 직업에 만족하지요..지금 현실은 의대 나와서도 수입 확실하지 않고 다른 과 나와도 불안하니 진퇴양난인 시대입니다 ㅠ

  • 15. ..
    '13.2.24 9:20 PM (98.169.xxx.144)

    요즘도 의대 성적되는데 공대가는 애들 있어요.

  • 16. ...
    '13.2.24 9:23 PM (1.235.xxx.201)

    80년대 sky의대 나왔고 남편도 의사예요.

    친구들 모두 결국 가서는 자식들 의대보내고 싶어하고 의대보낸 친구들이 제일 부러움의 대상이예요.

    미국 아이비리그 가도 암말 안하다가 국내 의전원으로 들어오면 잔치하는 분위기죠.

    저역시 제 일에 만족하고 우리 아이가 성적만 된다면 의대 보내고 싶어요. 아이가 원한다면 공대를 보낼수도 있지만 막막할거 같아요.

    문제는 의사는 아직까지는 기본은 되기 때문에 대박은 안되도 욕심안부리면 면피는 하고 살 수 있지만 공대는 벤쳐차려 사업해서 성공하거나 대학교수로 임용되는 희박한 확률 말고는 앞날이 걱정되는 현실 아닌가요?

  • 17.
    '13.2.24 10:03 PM (39.112.xxx.204)

    남편이 의사이고요.아들 의대 보내고 싶습니다.단..피보는거 적성맞아하면요.

    누가 의사 연봉이 낮아졌댔나?
    그냥 괜찮은데요..개업해선 좀 망할수도 있으나..정년없어 만족합니다.남편이 의대 반대라지만..전 전문직아니고 교사이고요.제가 보기엔 정말 틀립니다.


    나이들면 보건소로 가면 되고..암튼...앞날이 취직해서도 되고 이직 진짜 자유롭고..부러울 정도입니다.
    칼잡는 과인데요.저ㅡ흰 사실...그닥 페이가 높진 않구요.아들이..적성에만 맞으면 경제적 걱정없이 그냥 칼잡이 시키고 싶다네요.

    단 딸들은 약대가 갑이란 생각합니다.남편도..의사는 힘들고 전 교사는 반대고..

    공대나와 아주 잘될순 있지만..거의 S전자 연구원 ..포닥..
    전 그냥 지방의대라도 의대 보낼랍니다

    네트로 천은 첨부터 넘던데..

  • 18. ㅇㅇ
    '13.2.24 10:29 PM (119.71.xxx.35)

    다들 속물들 뿐이네요. 아님 그냥 현실인식이 안되시는분들이던지.

  • 19. ㅇㅇㅇ
    '13.2.25 11:23 AM (70.96.xxx.20)

    각자 자기가 좋아하고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게 정답입니다. 아무것도 적성이 아닌데 성적이 잘 나왔다, 그럼 일반적으로 돈을 더 많이 버는 직종인 의대를 택해야 겠지요. 그러나 정말 적성 있는 애들은 공대 나와서 세계적인 기업에 들어가서 임원 하거나 실리본벨리 벤처 가거나 주식 보상 받아서 부자되는 애들도 있고, 사람 인생 천차만별이에요. 돈 가지고만 따질 것도 아니고 일의 성격, 본인의 가치관, 적성 모든 걸 따져야지요. 일반적으로는 의대 가는 게 더 나아보이겠지만요. 적성이 특출난게 아니라면 그냥 성적 맞춰 보내세요. 근데 정말로 특출난 적성을 보이는 애들이 있어요. 그런 애들은 의사보다 수십배 더 잘 벌며 살게 될 수도 있거든요. 대부분의 사라이 특출난 적성을 안 보인다는 게 문제지만 ㅎㅎㅎ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28291 2온스 얇은 패딩 지금사면 얼마 못입을까요? 2 2013/03/13 886
228290 아까 답글다신82쿡님~ 4 ..고민녀 2013/03/13 590
228289 한끼에 식빵 한조각으로 버텨지네요 신기하네요. 2 ... 2013/03/13 2,466
228288 미국, 캐나다 영어도 서로 인토네이션, 액센트가 살짝씩 다른가요.. 6 ㄷㄷ 2013/03/13 1,522
228287 초등 고학년 아들이 너무너무 소심해요 4 ㅇㅇ 2013/03/13 1,156
228286 남자가 가진 여성의 환상및 착각 ~~ 1 리나인버스 2013/03/13 1,592
228285 아들이 문자로 어마마마 하면,,닭살스럽지 않나요?? 3 /// 2013/03/13 639
228284 25개월 아이가 손가락을 빨아요 3 손가락 2013/03/13 772
228283 50대여자 4분이 처음 제주도 여행 가십니다. 제주도 숙소, 좋.. 9 제주도 숙소.. 2013/03/13 2,045
228282 서울 시내에 아직도 공중전화 있나요? 6 공중전화 2013/03/13 606
228281 부산태종대 유람선 타 보신분 있나요?? 7 바다 2013/03/13 4,235
228280 만화영화 제목좀 알려주세요~~ 5 하늘정원 2013/03/13 523
228279 초등생 아들,'엄마,인생은 어떻게 살아야지 행복해?' 1 .. 2013/03/13 787
228278 립라커가 립글로스보다 더 좋을까요? 2 고민또고민 2013/03/13 1,815
228277 호텔방 어떻게 나눠서 잘까요? 8 .... 2013/03/13 1,838
228276 이영자먹방최고 5 ........ 2013/03/13 2,424
228275 최근에 이런 사탕 보신적 있나요? 9 사탕 2013/03/13 2,784
228274 이제 천주교도 탄압받는 시대가 왔군요 6 하다하다 2013/03/13 1,821
228273 실비보험 80세만기 질문드릴게요 17 보험 2013/03/13 2,581
228272 다섯살 넘어가는 애완동물 키우시는 분들~ 8 .. 2013/03/13 973
228271 쫄면 면이 있는데요.. 8 2분 2013/03/13 1,253
228270 공영방송의 청와대 눈치보기, 김병관도 감쌀 기세 1 yjsdm 2013/03/13 351
228269 12월에 출산을 하면.. 출생신고는... 12 연말출산 2013/03/13 2,905
228268 민주당은 인물이 되기전에 인간이 먼저되라(펌) 18 ... 2013/03/13 808
228267 재무설계 받아보고 싶은데..추천 부탁드려요 5 맞벌이 2013/03/13 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