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개인작업실로 사무실 하나 내고싶네요

..... 조회수 : 2,775
작성일 : 2020-11-22 23:07:03
지금은 월급받고 회사 다니지만 얼마 후에 퇴직한다면
개인 사무실 하나 차리고 싶어요
사업하는 일반 사업장이 아니라 개인 작업실로
출퇴근하면서 주식 트레이딩하고 개인적으로 책 좋아하고
글쓰는 일 좋아하니까
책도 보고 , 지인들 놀러도 오고, 나만의 공간에서
이것저것 개인적인 일 하고 싶어요
월세나 관리비 식대 등 기본 지출비는
여유있게 잡아서 백만원 가량 들거같아요
주식 트레이딩 자금은 지방 30평대 아파트 부동산 구입할만한
자금 정도되니 월 1프로 수익만 나도 월급이나 운영비는
충분하지 않을까싶어요
현실성있는 생각일까요? 아직 구상 중인데
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IP : 223.39.xxx.113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uliana7
    '20.11.22 11:09 PM (121.165.xxx.46)

    그 지인들이 죄다 와서 술먹어도 되냐고 하고
    그 이상은 상상이상을 보시는데
    흠 또 잘 맞으실수도 있어요.

  • 2. ......
    '20.11.22 11:11 PM (223.39.xxx.113)

    지인들 성향이 저와 비슷해서 그런 분들은 없네요... 다행히

  • 3. ......
    '20.11.22 11:14 PM (223.39.xxx.113)

    남편도 허락을 해준 상태이고 전
    결정만 하면 되는데 사무실을
    개인자금으로 운영하는 일은 처음이라
    이것저것 구상 중이네요

  • 4. ㅇㅇ
    '20.11.22 11:15 PM (14.38.xxx.149) - 삭제된댓글

    꼬마건물 사서 아랫층에 세주고
    이층 개인 사무실로 써요
    세가 나오니 관리비 걱정 없어요

  • 5. 요즘
    '20.11.22 11:18 PM (14.35.xxx.21)

    공유 오피스가 워낙 많은 것 같더라구요. 주요 요지에요. 조건도 매우 다양해서 내 고정석, 내 고정실 둘 수 있고, 공유공간 쉐어할 수 있고, 할인도 있고요. 광고 같은 거 찾아보셔요.

  • 6. ......
    '20.11.22 11:18 PM (223.39.xxx.113)

    윗님....그 생각도 해좠지만
    꼬마건물은 매수매도가 차익이나 수익성 기대가 힘들다고 보여져서요. 저히 지역 특성상

  • 7. ..
    '20.11.22 11:20 PM (218.236.xxx.61)

    윗님, 저두 그러고 싶은데 그런 건물사면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소유하고 있는 아파트가 있으면 세금이 더 과금되거나 그런게 있나요? 1가구2주택은 세금 때문에 살 엄두가 안나는데 그런 건물을 사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네요. 저두 그런 건물 사서 세주고 한층은 제가 쓰고 싶어요.

  • 8. ㅇㅇ
    '20.11.22 11:24 PM (14.38.xxx.149) - 삭제된댓글

    2종 근린건물 사시면 1주택이죠
    집이 아니니까요

  • 9. .,
    '20.11.22 11:28 PM (106.102.xxx.7) - 삭제된댓글

    아니, 님들 생각이 뭐가 중요한가요
    투자받을것도 아닌데
    여건되고 내가 원하면 하는 거지요
    리스크가 생긴대도 얻은 기쁨이 있으니 감수하면 되고
    개인 작업실 보통 많이 꿈꾸죠
    저같은 경우 꺼려지는게 개인작업실이다보니 루즈해질것 같고 그러면 집과 별반 다르지않을것 같아 고민중

  • 10. 지나가다
    '20.11.23 12:01 AM (180.228.xxx.218) - 삭제된댓글

    상가가 2종류입니다.
    상가주택 이라 해서 근린상가는 상가와 주택이 같이 있는겁니다. 이건 주택수에 포함됩니다. 1가구 2주택이 되니까 양도세율이 달라지죠. 지역이 어딘지 모르겠지만 향후 꼬마빌딩의 상승세가 두드러질겁니다. 입지 좋은 단층 건물 알아보세요. 상가는 대출도 많이 나오고 원금상환 같이 하는게 아니라서 이자만 부담하다가 시세차익보고 매도 하면 됩니다.
    맘에 드는 건물 지번 알아내서 은행가서 탁상감정 신청하시고. 대출금액 알아보세요. 꼬마빌딩 대출끼고 사는거 추천드립니다. 현재 수입으로 사는데 지장없다면 월세수입으로 대출이자 갚으면 됩니다. 보통 이런식으로 소득 확실한 분들이 꼬마빌딩 많이 매수합니다. 빌딩 수입이 내손에 안만져져도 시세차익 보는 거죠.
    주택없는 일반 상가건물은 주택수에는 포함안되지만 재산가에는 포함됩니다. 보유세에 영향 미치구요.

  • 11. .....
    '20.11.23 12:03 AM (223.39.xxx.113)

    윗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 12. ..
    '20.11.23 12:21 AM (218.236.xxx.61)

    궁금하던건데 감사해요. 180님^^~

  • 13. 감사하다니
    '20.11.23 12:32 AM (180.228.xxx.218) - 삭제된댓글

    추가로 더 적겠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는 아니지만 아파트 포함 주택은 증여와 상속을 위해 갖고 가는 분위기구요. (다주택자의 양도세 취득세율은 점점 올라가고 있습니다. 물론 1주택자도 양도세율 올라가리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도 보유한 자산에 따라 관심분야가 다릅니다만...
    보유자산이 3억 부터는 상가건물 매수 추세입니다.
    강남권 꼬마상가는 이제 기본 60억입니다. (불과 몇년 사이에 어마어마하게 올랐습니다. 대로변 작은 건물이 아니라 도로 안쪽에 다세대 등이 60억입니다. 새로 짓는 비용 감안하면 조만간 100억 찍을듯 합니다. 현재 지방 건물주들이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격차가 더욱 심해질꺼라 예상해서 꼬마빌딩은 나오자마자 지방쩐주들이 사들이고 있습니다)
    지방은 3억 가지고 계시면 4억 정도 혹은 5억 정도 대출받아서 단독건물 매수 가능합니다. 노후준비 안되셨다면 상가월세가 제일 좋습니다. 주택임대는 이제 더이상 남는장사 아닙니다. 조그만 원룸에도 보일러 개별로 다 들어가고 싱크대에 화장실까지 다 넣어줘야 해서 시공비 및 유지비 만만치 않습니다. 상가는 공구리 마감만하면 되니 건축비 저렴. 유지비 저렴 합니다.
    만약 매수 의향 있다면 대지가 최소 50평 이상은 되야 좋습니다. 바닥평수가 너무 작으면 재건축시 답 없습니다.
    절대 사지 말아야 할 걸 말씀드리자면 큰 빌딩 안에 상가 여러개 지어서 분양하는 구분상가. 이건 나중에 정말 머리 아픕니다. 작아도 단독건물이 최곱니다.

  • 14. 내용이해를 위해
    '20.11.23 12:37 AM (180.228.xxx.218) - 삭제된댓글

    즉 다주택자들은 더이상 주택 매수 안합니다. 갈아타거나 보유주택 증여 상속 등으로 손떼는것만 하려는 분위기입니다.
    다주택자들이 보유 물권 처분해서라도 건물 사려고 합니다. 돈있으면. 그돈을 현금 은행에 가만히 넣어두지 않습니다. 주식도 많이 하지만 보수적인 나이의 현금소유자들은 무조건 부동산입니다. 주택시장이 더이상 큰 메리트가 없기에 (강남 아파트 제외) 상가쪽으로 많이 넘어가고 있습니다. 능력되시면 사세요.

  • 15. ...
    '20.11.23 1:31 AM (119.149.xxx.248) - 삭제된댓글

    180님 앞으로 아파트보다 꼬마빌딩이 많이 오를거라고 보시나요? 지금까지는 아파트가 훨씬 많이 오른거 같아서요.

  • 16. ..
    '20.11.23 2:00 AM (175.123.xxx.105)

    복잡하게 하지마시고 오피스텔이나 공유오피스 알아보세요

  • 17. ...
    '20.11.23 2:09 AM (180.228.xxx.218) - 삭제된댓글

    강남권 아파트라면 보유하시구요.
    다주택 규제가 심해서 (양도세 취득세율 계속 상승)
    다주택자들은 추가 주택매수 안하는 분위기입니다.
    갈아타기 증여 는 하고 있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 역시 아파트가 주임사 물권에서 제외되고 있어서 더이상 주택임대는 남는게 없습니다.
    (원룸 다세대 빌라 등 주택임대는 건축비 및 유지비 많이듭니다. 10평 원룸 각각 당 보일러 넣고 싱크대에 화장실까지)
    반면 상가는 공구리 마감만 하면 내장인테리어는 임차인이 하며 보일러 설치 할 필요도 없고. 즉 건축 평당가 및 유지비 작습니다. (물론 단독건물주 라면 옥상 방수 외벽 방수 등 건물 전체 유지비가 들지만 주택임대에 비해 신경 덜 쓰입니다)
    현재 강남권 단독건물(대로변 말고 골목안 다세대 등 ) 60억 선입니다. 물권 나오는 순간 지방건물주 들이 바로 사들입니다. 지방 서울간 부동산 격차가 더 벌어질꺼라 예상되서요.
    돈 있으면 강남에 아파트든 건물이든 사놓으시구요. (이제 강남은 더욱더 넘사벽 될겁니다.)
    지방 사신다면 본인 동네에 단독건물 사세요. 부수고 새로 짓고 내땅 내건물은 내맘대로 할수 있어 속편합니다. 반대로 큰 건물 분양하는 상가. 일명 구분상가는 절대 하지마세요. 자식한테 물려줄때 쯤 되면 머리아파집니다. 한건물에 대가리 수 많으면 리모델링이든 재건축이든 아주아주 복잡합니다. 작아도 내땅에 내건물이 최고입니다.
    바닥평수(대지) 최소 50평은 넘어야 좋습니다. 물론 더 크면 더 좋죠. 요새는 네비가 일반화되서 이면도로 안쪽도 주차시설만 잘 되어 있으면 임차인 구하기 쉽습니다. 대단지 아파트 인근도 임차인들이 아파트 보고 쉽게 덤빕니다. 실제 장사가 잘되고 안되고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임차인이 쉽게 들어올지를 고민하시는게 좋습니다.

  • 18. ...
    '20.11.23 2:25 AM (119.149.xxx.248) - 삭제된댓글

    180님 답글 감사합니다. 부동산에 내공이 느껴지세요. 앞으로도 부동산이 엄청 오를거 같은게 제 생각인데 한편 세금부담때문에 남는게 별로 없을거 같기도 하구요. 복잡하네요.

  • 19. ...
    '20.11.23 2:28 AM (119.149.xxx.248) - 삭제된댓글

    강남건물 평당 현재 1억 넘지요??

  • 20.
    '20.11.23 9:41 AM (110.14.xxx.221)

    공유오피스 추천합니다

  • 21. ...
    '20.11.23 10:25 AM (119.149.xxx.248) - 삭제된댓글

    180님 자세한 답변글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152376 고작 정직 2개월 보려고 이 난리를..ㅜㅜ 45 ㅇㅇ 2020/12/16 5,591
1152375 입주청소 업체에 맡겨야 할까요? 11 ... 2020/12/16 1,939
1152374 만약 학폭가해자인 자식을 폭행한 피해자 부모 4 ... 2020/12/16 1,758
1152373 일반 공립초와 혁신초 차이가 뭔가요? 3 .. 2020/12/16 1,956
1152372 그래미 어워드(bts) 54 워터멜론 2020/12/16 5,510
1152371 종교시설 감염 다시 증가.."성탄절 비대면으로&qu.. 7 뉴스 2020/12/16 1,210
1152370 3년동안 잠도 못자고 일한결과 120 .. 2020/12/16 27,384
1152369 자고 나면 발목이 아픈데 왜 그럴까요? 7 oo 2020/12/16 4,859
1152368 기다리다 잠자려고 합니다. 6 기다리다 2020/12/16 2,129
1152367 징계위 결정이 늦는 이유 - 열린당 최고위원 황희석 8 아마 2020/12/16 3,417
1152366 시골 친정집에 요즘 길냥님이 주무시고 가십니다. 22 냥님납시오 2020/12/16 3,702
1152365 그냥 솔직히 말해야겠죠? 14 흠냐 2020/12/16 4,270
1152364 고혈압 140~95 8 오므론 혈압.. 2020/12/16 4,602
1152363 양양 도루묵조림 2 2020/12/16 1,273
1152362 화이자 백신 접종 시작하는 싱가폴 정부 대국민 담화문 49 백신 2020/12/16 4,187
1152361 로코코소파 내구성 좋은가요? 4 .. 2020/12/16 991
1152360 나이들면 먹는거 우왁스러워지나요. 10 ㅇㅇ 2020/12/16 4,153
1152359 법무부 청사 조명 밝혔대요 22 해임 2020/12/16 4,876
1152358 저도 남자 병인일주 궁금해요. 2 .. 2020/12/16 1,447
1152357 성인이 트램플린 탈 수 있는곳 있나요? 5 .. 2020/12/16 1,147
1152356 황신혜는 의외로 사생활을 모르죠? 30 .. 2020/12/16 23,426
1152355 영어 발음할 때 학교에서 배운 거랑 다르다고 느끼는 10 가맞동 2020/12/16 1,621
1152354 [외신번역] LA타임즈 . 코로나 거리두기, 6m 떨어져도 감염.. 3 ... 2020/12/16 1,769
1152353 오늘 짜장면 먹을 거거든요 37 윤춘장 2020/12/16 3,563
1152352 사주 좀 보신 분들 병진일주 특징이 어땟나요 5 2020/12/16 2,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