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마감뉴스 김주하 보셨나요?

기가막힘 조회수 : 18,074
작성일 : 2011-08-24 01:02:59


부동산 전문간지 경제 전문간지랑 인터뷰 내용.
김주하: 전세값 비싸니 조금 더 보태 사는건 어떨까요?
전문가: 좋은생각입니다.
멍미??

IP : 211.246.xxx.88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k
    '11.8.24 1:04 AM (115.138.xxx.67)

    근데 요새 서울의 집값대비 전세금비율이 얼마정도 됨????

    대충 60% 넘음? 아니면 5-60%정도임?

    부산의 경우 7-80%였거든요.....

  • 밀크티
    '11.8.24 3:31 PM (59.10.xxx.180)

    우리 동네는 실거래가 대비 60% 정도네요.
    서초구입니다.

  • 2. 정말...
    '11.8.24 1:06 AM (118.47.xxx.126)

    이런 이야기가 생각나요.

    우리 집은 가난하다.

    집사도 가난하다.
    정원사도 가난하다.
    운전 기사도 가난하다.

  • 3. 그런거까지
    '11.8.24 1:43 AM (119.149.xxx.102)

    김주하 좋아하지는 않는데
    그런식의 멘트는 경제관련 프로에선 허구헌 달하는 말이죠
    집값대비 50프로 전세가 넘어서면 실제로 매매가 득이냐 아니냐는
    다들 궁금하고 고민하는 부분이구요
    이게 그리 까일 일인지는

  • 4. jk
    '11.8.24 2:01 AM (115.138.xxx.67)

    그니깐 그 조금 더 보탠다는게


    2-30%인지 아니면 4-50%인지.... 근데 4-50%는 사실상 조금이 아니잖아요???????
    그게 궁금하다는 말쌈.....

  • '11.8.24 9:38 AM (58.227.xxx.121)

    어젠가.. 그젠가. 뉴스에서 서울시내 아파트 전세가 비율이 매매가 대비 50%를 넘어섰다고 들었어요.
    그리고 제가 시세 아는 아파트 중에는 6-70 정도까지 되는 곳도 몇몇 있고요.

  • jk
    '11.8.24 11:27 AM (115.138.xxx.67)

    50%를 넘어선 정도면 4-50%의 금액을 더 보태야 한다는 말인데

    그건 조금 더 보태서 집을 사는게 아니잖아효????????????????????????

    난 또 한 매매가의 7-80%정도까지 오른줄 알았넹....

  • 경기남부..
    '11.8.24 12:11 PM (14.47.xxx.160)

    제가 사는곳은 전세대란지역이라 집값의 70%를 넘어섰습니다...
    부동산에서도 매매를 권하는편이구요..

  • jk
    '11.8.24 12:16 PM (115.138.xxx.67)

    부동산이야 언제나 항상 틀림없이 꿋꿋하게 매매를 권하는 곳 아닌가효?????????

  • ...
    '11.8.24 12:21 PM (14.47.xxx.160)

    그렇긴 하지요...
    그런데 매매가 많다는건 집값이 떨어지니 그런겁니다..
    매매가는 1억이상 떨어지고 전세가는 6천이상 올랐으니 전세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습니다...
    그러니 정말 필요한 사람들은 매매하는수밖에 없어요.

  • jk
    '11.8.24 1:27 PM (115.138.xxx.67)

    요새 세상은 정보가 너무나 많아서 어떤 정보를 취득하느냐
    쉽게 말해서 주식을 팔아야 하느냐 아니면 지금 더 사야 하느냐
    집을 팔아야 하느냐 아니면 집을 사야 하느냐? 이것에 대한 서로 상반된 정보가 올라옵니다.

    그렇기에 정보를 잘 선택해야 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특정 정보로 인해서 이득을 보는 계층(부동산이 대표적)의 정보는 적당히 걸러 들어야죠.
    그걸 그대로 올리시면 안된다는거죠.
    특히나 부동산은 매수자가 집을 사야지만 이득을 얻는 대표적인곳 아닌가효?

  • jk
    '11.8.24 1:30 PM (115.138.xxx.67)

    제가 댓글에서 집값대비 전세값을 물어본것도

    그거 적당해야 빚을 내서라도 어떻게든 돈을 마련해서라도 집을 살 수 있기에
    과연 현실적으로 전세를 살던 사람이 빚을 내서라도 집을 살 수 있을만큼 전세가와 집값이 차이가 나느냐? 이걸 물어본겁니다.

    그게 1억 내외라면 몰라도 2-3억이면 그 돈도 없어서 전세를 살던 사람들이 그 돈을 마련해서(안그래도 요새 대출을 줄인다고 뉴스에서 난리인데) 집을 산다는건 현실성이 떨어지잖아요.

    근데 뉴스 아나운서와 전문가라는 사람이 저렇게 현실성이 없는 소리를 씨부리면 안되죠.

  • 5. 허참...
    '11.8.24 2:17 AM (119.149.xxx.102)

    제가 왜 뜬금없이 야밤에
    별 좋아하지도 않는 김주하 팬질을 하게 된건 어이가 없지만,
    그 진행자는 그 시간대, 위 호호님 얘기처럼 서민이 몇억씩 빚내서 집사라고 얘기하지 않았는대요.
    전세비율이 높아지면 차라리 매매가 나은지..
    이걸 진행자 입장에서 물었을 뿐인데

    그걸 갖고.. 님들이 원하시는 방향은
    김주하 평소에 좀 미웠는데,
    부동산 관련 꼭지 진행하면서도
    서민들이 빚내서 집사라 부추긴단 투군요.
    이건 아니지 않나요? 호불호를 떠나서 까도 좀 말이 되게 타당하게 지적하면 좋겠어요.
    이 주장은 그리고 댓글들 이어지는 방식도...
    제 생각엔 좀 억지같아서 야밤에 댓글답니다.

  • 6. 리기
    '11.8.24 9:41 AM (118.40.xxx.134)

    블루베리 참 탐스러워보여요.
    부관훼리님 요리는 다 새롭고 신기해보여요.
    특히 오징어 삶은 물로 지은 밥! 무슨 맛이 날려나..^^

  • 7. 틀린말은..
    '11.8.24 12:14 PM (14.47.xxx.160)

    아닙니다..
    다른 지역은 어떨지 모르지만 전세대란인 지역에 사는 저로서는 이해가 갑니다.
    전세가가 이미 70% 넘은지 오랩니다..
    그래서 전세 구하다 못구하는 분들이 매매쪽으로 많이 하셨어요.

  • 8. 얘는
    '11.8.24 12:49 PM (59.6.xxx.65)

    아나운서 자질 없더라구요


    그냥 목소리 낮게 중후하게 깔면서 표정잡고 뉴스만 하면 단줄 아나,,

    정작 머릿속엔 수준낮음이..트위터나 기타 여러 발언들로 증명되죠 ㅋㅋ

  • 9. aloha
    '11.8.24 1:10 PM (175.210.xxx.212)

    생긴거 답잖게 많이 가난하게 살았던데~~~ -- !

  • jk
    '11.8.24 1:32 PM (115.138.xxx.67)

    생긴거랑 가난이랑 뭔 상관임?????

  • jk
    '11.8.24 6:51 PM (115.138.xxx.67)

    본인은 아나운서처럼 골 텅텅 빈채로 앵무새처럼 씨부리는 애들이 제일 짜증남...

    연기자는 연기로라도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나 있지
    도대체 아나운서가 할 수 있는게 뭥미????? 아무것도 없잖슴? 읽으라는 대로 읽는것 밖에...

    오히려 아나운서들이 왜 고평가받는지 요새 세태가 이해불가...
    근데 골빈 아나운서들을 미쳤다고 옹호함??? 본인 티비 안본지가 어언 7년이상 된듯.

    글고 문재인은 대통령 될 가능성 없다고 봄.. 그 산이 아니니까 쓸데없는 시간낭비 하지 말고
    새로 김두관에 붙으심이 현명한 판단임.

  • 10. ..
    '11.8.24 1:32 PM (125.152.xxx.215)

    반지하에서 살았다고 하더군요......아버지 사업이 망해서....


    그건 그렇고......


    김주하....둘째....갖지 않았나요? 걍~ 쉬지........

  • 11. 정말..필요한사람..
    '11.8.24 4:15 PM (218.38.xxx.20)

    애들있고..집한채도없는사람은..어딘가..하나는사야할거같아요..

    집값폭락이야기하는데..집값폭락이..얼마까지될진모르겠지만...

    또..일본이야기자꾸하는데...일본에..집값1/10로떨어졌다면서요?그래도..월세사는사람이..태반이던데요...

    더떨어질까하는것때문인지...문화가..월세문화때문인지는모르겠지만...암튼...집값폭락해도..

    살사람은없고..월세만올라가지싶네요...

  • ㅠㅠ
    '11.8.25 9:03 AM (119.70.xxx.186)

    일본은 벌써 수십년전부터 집값이 박스권을 유지하고 있다네요...그러니 집을 사도 돈이 안되는거죠
    즉 집값폭락으로 소유의 개념에서 월세의 개념으로 돌아선 케이스입니다.
    즉, 우리나라가 대출만땅 받아 집을 샀다 전세값폭등과 집을 꼭 가져야되나? 하는 세대의 흐름을 만나서...전세에서 월세로 돌아서고 있는 그 전처를 고스란히 밟았기에 전문가들이 일본과 비교하는 거랍니다.

    ...

  • 12. 지방
    '11.8.24 7:18 PM (125.185.xxx.183)

    제가 사는 동네도 현재 70%이상 전세가입니다

    저희 경우는 6년전 전세가 80%까지 오른상태에 집을 못구하다~~ 결국 대출받아 장만했어요

    김주하 말,,,,,별,,,문제되는 말로 안들립니다

  • jk
    '11.8.24 8:14 PM (115.138.xxx.67)

    지방은 이전부터 그랬어요...
    부산은 80% 그 상태가 약 10년간 유지됨...

  • 13. 부동산
    '11.8.25 9:00 AM (119.70.xxx.186)

    대본 연출 연기 뭐 하나 빠지는 게 없는 드라마예요.
    진짜진짜 좋아요~~

  • 14. 보태서..
    '11.8.25 10:38 AM (124.50.xxx.191)

    온 국민이 보는 메이저 방송 간판 아나운서의 멘트를 그냥 남들도 다~하는 말로 듣고 넘어가는 것이 작금의문제 입니다. 세상 꼬투리 잘잡는 사람 있고 무던한 사람있고 하지만 이 썩은 정권이 언론 장악하고 아나운서 정치색 여기저기 드러나는 마당에...저 뉴스에서 던지는 멘트가 그냥 나온다고 생각 하다니...집 문제,전세 문제 정말 요즘 정부로썬 민감한 문제 아니던가요? 강북 금천 구로등 비강남권에서 투표한 분들 아마 뉴스나 매체에서 많은 도움과 학습 받았을 겁니다.
    외람되지만 ,가끔 국가 정상들 멘트 한마디,8.15 경축사 한마디 기사화 된것 꼼꼼히 읽는 연습 하는 것도 다른 세상을 보는 기회가 될것같습니다.

  • 15. 매매
    '11.8.25 12:35 PM (112.160.xxx.37)

    보태? 가 아니고
    대출받아서? 라고 했야 맞겠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003 어린이용 배게 괜찮을까요? 알레르기 방.. 2011/09/13 908
12002 파리바게트 쿠폰이여..... yellow.. 2011/09/13 988
12001 시청률은 낮지만 웰메이드 드라마?? 21 웰메이드 2011/09/13 5,480
12000 명절에 답안나오는 남편과의 대화 끝에 해결점은 찾다보니. 1 마눌 2011/09/13 1,423
11999 급)내일 수술인데 돌아가신분들이 자꾸 꿈에 나와요 7 꿈풀이 2011/09/13 4,614
11998 면세점 물건 교환 가능할까요? 2 면세점 2011/09/13 2,344
11997 이사하면서 붙박이장 철거하려면 어디에 문의를??? 1 이사할때요~.. 2011/09/13 2,646
11996 출산 후에 발사이즈가 커지나요? 7 베지밀 2011/09/13 4,408
11995 프랑스 여행에서 사올만 한 것 뭐가있을까요? 6 봉달엄마 2011/09/13 2,425
11994 낼 돌잡이 용품 살만한 곳 있을까요?ㅠㅠ 2 돌잡이 2011/09/13 1,136
11993 압력밥솥 식기세척기에 넣어도 될까요? 6 봄날의 곰 2011/09/13 13,588
11992 왜 나만 손윗사람 손아랫사람 노릇따져가며 해야하는지. 2 소금광산 2011/09/13 1,350
11991 대출하면 은행에서 설정해놓는거요 2 알려주세요 2011/09/13 1,260
11990 또 가야 하나요? 7 시댁.. 2011/09/13 1,824
11989 보기 좋게 숙성되가던 엑기스에 거품이 2 매실엑기스 2011/09/13 1,260
11988 아직도 과 결정을 못한 고3 5 고민맘 2011/09/13 1,621
11987 180cm에 63kg 정도면 많이 말랐나요? 15 ... 2011/09/13 5,583
11986 에어로치노 vs 스팀노즐. 어느 게 더 청소, 관리 편한가요? 3 고민녀 2011/09/13 2,148
11985 영어 문장 좀 해석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열공모드 2011/09/13 1,011
11984 사돈 칠순 참석은 당연한건가요?? 20 같은 지방입.. 2011/09/13 9,864
11983 스킨이랑 로션이요.. .. 2011/09/13 817
11982 추석 끝났어요~~ 그런데 2 해방이다! 2011/09/12 1,306
11981 강아지 목디스크 치료해보신분 문의좀 드려요.. 5 치료 2011/09/12 4,012
11980 미국인데 욕조 하수구가막혔어요 TT 10 비상사태 2011/09/12 6,894
11979 나쁜거 알면서도 휩쓸려가는 사회 6 티아라 2011/09/12 1,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