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역난방 어렵네요 흑흑 아시는분 답변 부탁해요

... 조회수 : 3,540
작성일 : 2012-11-04 15:18:40
이때껏 가스보일러만 사용해보다
지난달 이사와서 첨으로 지역난방 사용해서 감을 못잡겠어요
이게 온수가 바로 온수관으로 들어와 난방하는 방식이라고 하던데 요금은 가스보다 더 비싼가요?
글구 운전되게 온도 설정해두면 소리가 많이 나던데 원래 이런거게요?
모든방 다 벨브열어두는거랑 안쓰는방 잠그는거랑 큰 차이 없다고 하던데 정말 그런가요?
마지막 진짜 궁금한 질문은요
아침에 정지로 돌려놨는데 아예 껐어요 외출도 아니고
벨브를 열어둔방 그러니까 밤새 난방 했던방이 계속 뜨듯하게 보일러가 들어오는거에요
씽크대밑에 계량기있는데 만져봐도 뜨듯하고 물흘러가는듯한 소리도 나는데 보일러 틀었을때보단 소리가 작긴해요
이건 원래 이런건가요
저희집 계량기가 고장인가요?
요금걱정되서 덜덜 하고있네요
관리실에 불러서 수리해야하나요?
IP : 59.19.xxx.92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11.4 3:30 PM (1.241.xxx.188)

    같은 지역난방이라도 아파트마다 조절밸브가 조금씩 달라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싱크대하부에 조절 밸브를 보면 위 아래 길쭉한 밸브가 두 개 있을거예요-옛날식 가스밸브 같은 것
    그것이 들어오고 나가는 양을 조절하는 메일 밸브인데 그걸 완전히 열어놓으시면(수직관과 나란하게) 안 되구요 적당히...완전히 여는 것을 90도라 할 때 30도 미만으로 열어놓으세요
    두 개 다 열어야 합니다.
    그러면 들어오는 양이 일정하니 그걸 나눠주는 각 방 밸브는 주로 사용하는 공간은 최대한 열고 나머지는 적당히 열면 돼요
    그리고 계량기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계량기를 보면 빨간색 돌아가는 톱니 같은 것이 있어요
    그게 빠르게 돌면 난방이 많이 되는 거고 느리게 돌면 적은 양이 들어오는 거니 참고하시구요

    드물게 지역난방이면서 중앙난방 형식이라 아예 조절 안되는 아파트도 있으니 관리사무소 설비 담당분에게 방문 부탁드려 자세한 설명 들어보시는 게 나을 듯 싶어요

    지역난방 잘만 사용하면 가스보단 훨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마시구요

  • 2. ..
    '12.11.4 3:48 PM (110.14.xxx.164)

    가스보다 싸고요
    혹시 껐는데 뜨거우면 고장난걸수 있어요
    그리고 다른집 안틀때 틀면 물소리가 커요
    제 경운 안쓰는방은 아예 안트는게 훨씬 저렴하더군요
    결국 필요할때만 키시면 되요
    저녁에 틀고 잘때 끄던지 추울땐 아침에 꺼요
    거실은 오후에 틀었다 밤에 끄고요
    거실 방하나 그리하면 10만원 정도 나와요

  • 3. ***
    '12.11.4 4:30 PM (203.152.xxx.59)

    지역난방하는 아파트(각 세대별로 각자 조절하는 방식)에 살다가
    개별 가스보일러 아파트로 이사왔는데
    지역난방이 훨~씬~ 쌉니다.
    이사 온 첫 겨울 가스 요금 보고 뒤로 넘어가는 줄 알았어요.
    더 춥게 살았는데 요금은 두배이상 차이났어요.
    이것도 지역마다 다른지 모르겠지만...

  • 4. ...
    '12.11.5 12:25 AM (121.151.xxx.218)

    원글님 가스보일러에 익숙하시면 가스보일러처럼 조절되는 장치(?)도 있어요 관리실에 물어보시고 점검도 한번 받아보세요

    아는 지인이 가스보일러 쓰다가 지역난방으로 이사와서 적응못하고 있었는데 이거달고 타이머 기능도 있고 가스보일러랑 비슷해서 쓰기 편하다고 그러더라구요(설치비는 아마 5~7만원으로 기억)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8158 단일화해서 9 문재인 떨어.. 2012/11/17 937
178157 아파트 난방 6 **** 2012/11/17 2,014
178156 80년대 미니시리즈들 7 70년생 2012/11/17 1,340
178155 이낙근 찹쌀떡 어떤가요 6 라임 2012/11/17 3,516
178154 아파트 난방비 적게나오는방법 알고싶어요~ 5 난방비 2012/11/17 2,749
178153 남편과 논쟁중 여쭤요~~ 40 시부모님 2012/11/17 5,646
178152 편두통약~~ 4 은새엄마 2012/11/17 2,475
178151 혼인빙자 사기친 여자라네요 음.. 2012/11/17 2,363
178150 자신의 생각을 "너는.."으로 말하는 화법이 .. 5 .. 2012/11/17 1,130
178149 가장 기억에 남은 닉네임은?? 16 .... 2012/11/17 2,546
178148 연락 안하는게 좋을까요 이 경우 2012/11/17 745
178147 (안철수) 민주당 황주홍 "민주, 安의 공동어로구역이 .. 18 탱자 2012/11/17 2,057
178146 덴비그릇 사용하시는분 3 누들 2012/11/17 3,046
178145 단지내 교통사고 6 아이가.. 2012/11/17 1,440
178144 윈도위다시깔았는데 인터넷이 안돼요 2 ㅜㅜ 2012/11/17 574
178143 제 증상이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맞을까요? 6 ... 2012/11/17 2,818
178142 아래 치약얘기 나와서.. 1 .. 2012/11/17 953
178141 아이허브 차(tea) 브랜드 하나 추천합니다. 8 *** 2012/11/17 2,972
178140 바르면 눈이 따가워지는 화장품 적어보아요. 16 아싸 2012/11/17 3,777
178139 태권도복 얼마쯤 하나요? 2 ... 2012/11/17 767
178138 게임사상 최고 명장면 우꼬살자 2012/11/17 603
178137 자게는 이제 대선 끝나고나 와야겠어요. 7 익명의 폐해.. 2012/11/17 1,042
178136 안캠의 실체는 이렇습니다. 3 anycoo.. 2012/11/17 1,079
178135 대학교때부터 사귀다가 결혼하는 사람들 많나요? 7 2012/11/17 4,506
178134 솔직히 문-안 캠프보다.. 게시판에서 양쪽 욕하기 바쁜 사람들이.. 8 ㅇㅇㅇㅇ 2012/11/17 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