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남편이 중간정산을 받앋구요, 퇴직급여 방식을 회사에서 선택하라는데

어떤게 좋을까요? 조회수 : 1,340
작성일 : 2011-09-08 21:23:12

일전에 글을 올렸던 사람인데요.

 

다시 한번 조언 부탁드립니다.

 

남편이 중간정산을 받아서, 그건 이달 중순에 나온다고 하네요.

 

충고해주신대로, 저도 일정부분은 대출금을 갚고,

 

원금을 묶어 이자를 받아 다시 적금을 드는 방법으로 해야할거 같아요.

 

그리고, 이런쪽은 전혀 모르는 부부다 보니,

 

남편네 회사에서 퇴직연금에 들어갈껀데,

 

확정기여형이나 확정급여형 중에 선택을 하라고 합니다.

 

남편은 중견기업에 다니고 있구요, 입사한지 10여년이 되었습니다.

 

퇴직금 중간정산은 받았구요,

 

남편이 회사를 5~10년정도 더 다닐수 있다고 보았을 때,

 

확정기여형이나 확정급여형 중에 어떤걸 선택하라고 해야 좋을까요?

 

고수님들의 도움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 ^^*

IP : 110.8.xxx.113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9.9 1:14 AM (220.76.xxx.27)

    일단 제 생각엔 퇴직연금제도는
    근로자 입장에선 안하는게 좋은듯 해요.
    회사 부담 덜어주고 보험회사 배불리는 일이랄까..

    몇년전부터 보험사들이 전투적으로 대기업 인사팀 및 임원들을
    초대해서 호텔서 설명회하고 코스요리 먹여가며..
    퇴직연금제도 얼마나 열올리며 밀었는지 모릅니다.

    저도 업무차 몇번 가봤는데.. 아무리 들어봐도 왜 해야하는지 이유를 모르겠고
    물론 일개 근로자가 아닌 회사 입장에서 보자면 손해볼건 없지만
    일단 우리도 월급쟁이니까 ㅜㅜ

    하지만 그래도 추진되는 곳이 있다면 그건 아마 임원진이나 경영진이
    보험사와 어떤 커넥션이 있을거라는 추측도 들었어요.
    듣기로는 어떤 회사도 임원 중 한분이 특정 보험사 임원과 친분이 있어
    퇴직연금제도 추진하려다가
    노조의 반발을 감당할 수 없어 접었다는 말도 들었어요.

  • 2.
    '11.9.9 1:20 AM (220.76.xxx.27)

    아무튼 어차피 추진되었고 퇴직금 중간정산도 했다니 할수없네요.
    개개인이 누구는 하고 누구는 안하고 선택할 수 있는게 아니니..
    이게 가장 큰 불만이었던듯.. ㅡㅡ;
    확정급여형 확정기여형 이건 그냥 형식적인거죠.
    어차피 확정급여형으로 할수밖에 없어요.

  • 3. --'
    '11.9.9 9:29 AM (118.34.xxx.86)

    아마도 노조가 없으신가 봅니다?? 그런건 보통 노조랑 회사랑 협의 하는부분인데요..

    확정기여는 고정급입니다. 즉, 회사에서는 내연봉의 1/12을 적립해줄 의무가 있고, 그 이상은 적립하지 않습니다. -물론 회사 사정이 어려워도 그 금액은 적립해야 합니다.

    확정급여형은 변동형입니다. 회사 사정이 좋아지거나, 사정이 안 좋아지면 그 금액이 변동이 될수 있습니다
    (강한 노조가 있는 회사라면 확정급여형을 선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협의를 통해, 더 많이 적립되니까요)

    회사가 발전하는 회사라면 확정급여형이 더 낫고, 안정세에 들어선 회사라면 확정기여형이 낫습니다.

    아.. 또 사원끼리 모여서(그룹을 만들어서) 자기의 퇴직금을 직접 투자할수 있습니다
    (주식형, 펀드형, 예적금형등, 물론 그 수익,손실은 본인이 집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니, 찬찬히 알아보세요

    저희 회사는 확정기여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37 영어 잘하신분들 정답좀 알려주세요. 11 영어문제 2011/10/05 1,903
16036 오스트리아 빈, 프랑스 파리 잘 아시는 분 3 000 2011/10/05 1,765
16035 남자운전자들 참 못된사람 많아요.. 3 ,,, 2011/10/05 1,972
16034 원글 지울게요 조언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72 아프고슬픈 2011/10/05 12,479
16033 예전에 여기서 추천해주신곳에서 호두과자 2011/10/05 1,268
16032 황당한 추돌사고를 봤어요 5 어제 2011/10/05 2,834
16031 장조림할때 꿀 넣으면 더 맛있나요? 2 방법 2011/10/05 2,037
16030 교통카드 충전은 어디서? 4 교통 2011/10/05 1,581
16029 원글 지울게요.--댓글 감사합니다. 6 이런 질문... 2011/10/05 1,517
16028 튀김가루로 부침을 하니 6 이럴수가 2011/10/05 3,949
16027 인터넷 면세점은 어떻게 이용하나요? 5 왕초보 2011/10/05 1,981
16026 한살림소고기중 반골꼬리 어떤가요? 싱글이 2011/10/05 1,419
16025 호주cpa 12 호주 cpa.. 2011/10/05 3,668
16024 호갱 대한민국 국민.. 1 추억만이 2011/10/05 1,259
16023 도가니.. "그곳의 성추행은 "하나의 문화" 였었다" 6 상식이 통하.. 2011/10/05 3,486
16022 창덕궁 후원 관람하기 힘들군요. 13 와... 2011/10/05 4,757
16021 지드래곤 대마초 흡연.. 세상 많이 변했어요 18 . 2011/10/05 5,237
16020 [펌] 성인물(야동) 보는 중학생 아들때문에 답답 제이엘 2011/10/05 3,951
16019 "저는 도가니 담당 형사였습니다…” - 원문주소有 1 참맛 2011/10/05 2,320
16018 복비는 달라는대로다 주는거예요? 12 복비 2011/10/05 2,849
16017 머리숱이 많아지게 하는 법 있나요? 4 초3 2011/10/05 2,953
16016 (원순아저씨네사진방) 주진우 공지영 찾아보셈... 2 마니또 2011/10/05 2,305
16015 황금용이 승천하는꿈 5 절망인가정말.. 2011/10/05 2,827
16014 혹시나 사용하고 계시는 신용카드 중에... 5 제이엘 2011/10/05 2,020
16013 살아있는 꽃게 죽이는 법 좀 알려주세요.. 26 엄마보고싶어.. 2011/10/05 23,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