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임의가입으로 최소금액(9만원?)이라도 넣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안 내는게 좋을까요?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퇴사했는데요..
1. 근무
'25.9.2 7:56 PM (112.162.xxx.38)얼마하셨어요? 근무 연수에 따라 다를듯해요
2. 꼭 넣으세요
'25.9.2 8:35 PM (180.70.xxx.227)가장 가성비 좋은게 임의 가입 9만원 짜리입니다.
저 88년도 직장때 강제 가입했다가 6-7년후 퇴사
하고 자영 했고 당시는 퇴직후 1년 이상 취업 안
하면 가입금과 이자 포함해서 돌려줬구요...
전 800 정도 돌려 받았네요...이후 자영업시 가입
안했고 다시 취직 몇번 하니 자동 가입...
받은것 이자포함 다 반납하면 연금을 준다,개소리
로 치부하고 무시했는데....금융 이자가 아주 엉망
이더군요...
주변의 말듣고 50 중후반에 임의 가입 9만원
받은것 다 돌려주고 이후 미납 기간을 9만원씩
계산해서 1차 1400 2차는 기억이 없네요...
이후 정상 납입기간 끝나고 2년정도 더 불입...
더 낼까 하다가 계산 해보니 조기 수령이 천배
는 좋아보여 1년 반 조기수령...현재 96 정도
받는데 조기 수령지 차감액 9만원 덜받는것
보다 조기수령해서 더받는게 더 아주 유리함.
돈 버는 업이 있고 하면 나중 수령은 본인 맘이라
맘대로 하고 직장이 없고 돈버는게 없으면 정상
수령보다 1-2년 일찍 수령하는게 장땡입니다.
저 60중반 되가는데 큰병은 없으나 몸도 안좋고
80을 살까도 걱정이네요...연금 정상수령과 지금
조기 수령 금액 크로스가 83세 입니다...
내가 83세 이상 살고 정정하면 좋지요..83세까지
살아도 비실비실이면 의미 없습니다...저 88년도
강제 가입시 공단 전화해서 나 가입 싫다 내팔
내가 흔든다 하니 공단 직원 말이 퇴직시 연봉의
70% 를 보장한다나???나중에는 부의 재분배라고
하네요...있는 자가 돈벌어 없는자에게 나눠준다...
9만원 연금 가능하다면 좋구요.추가납부도 가능하다면
하세요...그리고 본인이 장수 할것 같으면 나이에 맞게
연금 타도 좋으나 정상 수령보다 1-2년 빨리 받는게
유리해 보이네요...저 정상보다 1년반 일직 받았는데
월 95만원...천칠백을 미리 받은겁니다.3. 오
'25.9.2 9:22 PM (58.234.xxx.182)윗님처럼 실제경험과 숫자로 말씀해주시니 정말도움됩니다.유튜브 봐도 사적 개인연금보험 영업맨 영상들 보면 회의적이게 나온던데,
꼭 자기네 연금가입하라 말하네요.
정말 도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