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제 아파트값 오르기가 쉽지 않을것 같다는 느낌이 강한게 들어요

아파트 조회수 : 5,452
작성일 : 2024-05-20 09:00:00

기사에 나오는 연예인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부동산으로 30억 이상은 벌었어요. 일부 현금화도 했구요.

워킹맘 서민이 이 정도 벌었으면 그래도 감각은 아예 없다는 전제하에 제 생각을 써보자면요.

제가 50평생 살아보니까

요 근래 몇 년은 참 세상이 바뀌는게 두가지가 보여요.

하나는 그동안 대한민국은 소득이 계속 올라갔고 그 소득은 다시 재투자가 되면서 사회를 발전시켰고 사회의 모든 분야가 업그레이드 되면서 그만큼 가격( 물가)도 같이 올랐어요.

물가가 오르니까 물가의 하나인 집값이 오르는 것도 너무 당연한거였죠.

또 하나는 인구가 계속해서 늘어난다는 느낌이 이젠 사라지기 시작해요. 인구가 감소하고 있구나. 더 이상 아이들이 태어나지 않는구나. 길가다 유모차를 보면 사람보다는 개가 타고 있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아요. 초품아 같은 학교주변 빼고는 이젠 노인들이 더 많이 보이는 시대가 되었어요.

즉 더 이상이 비싼 집값을 받아줄 다음 세대가 점점 없어져 간다는 느낌을 받아요.

이게 7년 전에는 이 정도는 아니었거든요.

유모차에 사람보다 걔가 타고 있는 경우가 더 많은 것도 7년 전에는 그닥 못 본 것 같아요.

무엇보다도 소득은 7년 전에 비해서 제자리 근데 집값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올랐어요.

 

그래도 앞으로 집값이 오르는 경우는 두가지일 것 같아요.

하나는 다시 한번 부동산의 강력한 투기 바람이 불어서

너도 나도 달려드는 상황이 온다면 가능하겠죠. 하지만  코로나 때처럼 제로 금리 같은 상황이 한 번 와주지 않는 이상은 불가능하겠죠.

또 하나는 어쨌든 건설사는 먹고 살기 위해서 더 좋은 입지에 더 좋은 아파트를 지으려고는 할 거예요. 하이엔드급.

그러면 이곳을 사는 사람들은 이전보다 더 높은 가격을 주고 사겠죠.

근데 그 수요증이 이제 점점 줄어갈 거예요.

일부 연예인들이나 사업가 또는 그들에게 큰 부를 물려받는  자식들의 경우만 가능.

하지만 대부분의 수요층은 현재 집값과 너무 동떨어진 수입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전처럼 초고가 아파트가 근처에 있다고 근처에 직장인들이 사는 아파트값도 같이 올라주는 시대는 안 올 것 같아요.

지금 나라에서 작년부터 부동산 살리기 정책을 대대적으로 하는데도

또 작년부터 미국에서 금리 내리고 우리나라도 곧 금리 내릴 거라고 미리 집을 매수했던 분위기가 생겼었는데

그래서 강남권은 90 프로 이상 회복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 외에 서울 변두리 인천 경기 세종 대구 부산 같은 지방 대표 도시는 반대로 계속 하락하는 거 보면

저기 첫번째 이유 즉 폭등한 집값과 소득 격차가 너무 큰 타격이 벌써 보이는거지요.

 

 

 

 

IP : 223.38.xxx.178
3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금
    '24.5.20 9:07 AM (58.231.xxx.12)

    서민들이 먹고살기가 너무너무 힘들어서 그래요 새집수요는 여전히 많습니다 앞으론 소형으로 지을듯 합니다 아파트값은 오늘이 제일 쌉니다

  • 2.
    '24.5.20 9:07 AM (219.241.xxx.152) - 삭제된댓글

    결혼 30년
    결혼초 공급이 많아서 안 오른다
    그리고 imf라 나라 망한다 안 삼

    노무현때 집값 배로 올라 움
    그때 선대인이 이제 집값은 절대 안 오른다 함
    수입대비 너무 올랐다
    일본도 안 오르고 떨언자
    그 ㅆㄴ 뭐 하는지

    집값은 정책도 중요해요
    규제만 좋아하는 민주당
    복지하려 올리는지 모르지만

    민주당 정책에 기대해 봄

  • 3. ...
    '24.5.20 9:08 AM (124.5.xxx.0)

    그러니 다들 서울로 서울로
    지방 땅 판돈으로 서울 아파트 사더군요.

  • 4. ..
    '24.5.20 9:08 AM (211.36.xxx.14) - 삭제된댓글

    똘똘한 한채, 양극화로 지방 사람들이 서울에 원정 갭투자 많이 한대요. 인구감소라 지방 소멸, 서울, 특히 강남3구 용산, 성동 이쪽만 살아 남을거라고 판단해서 더더욱 그쪽으로만 몰리니 양극화가 가속화 될듯해요.

  • 5.
    '24.5.20 9:08 AM (219.241.xxx.152) - 삭제된댓글

    결혼 30년
    결혼초 공급이 많아서 안 오른다
    그리고 imf라 나라 망한다 안 삼

    노무현때 집값 배로 올라 움
    그때 선대인이 이제 집값은 절대 안 오른다 함
    수입대비 너무 올랐다
    일본도 안 오르고 떨어졌다
    그 ㅆㄴ 뭐 하는지
    아니면 한채 더 샀는데

    집값은 정책도 중요해요
    규제만 좋아하는 민주당
    복지하려 올리는지 모르지만

    민주당 정책에 기대해 봄

  • 6.
    '24.5.20 9:10 AM (219.241.xxx.152) - 삭제된댓글

    결혼 30년
    결혼초 공급이 많아서 안 오른다
    그리고 imf라 나라 망한다 안 삼

    노무현때 집값 배로 올라 움
    그때 선대인이 이제 집값은 절대 안 오른다 함
    수입대비 너무 올랐다
    일본도 안 오르고 떨어졌다
    그 ㅆㄴ 뭐 하는지
    아니면 한채 더 샀는데

    집값은 정책도 중요해요
    규제만 좋아하는 민주당
    복지하려 올리는지 모르지만

    민주당 정책에 기대해 봄

    맞다 똘똘한 한채로
    민주당 강남 집값 더 올림

  • 7. 글쎄
    '24.5.20 9:10 AM (223.38.xxx.93)

    결혼 30년
    결혼초 공급이 많아서 안 오른다
    그리고 imf라 나라 망한다 안 삼

    노무현때 집값 배로 올라 움
    그때 선대인이 이제 집값은 절대 안 오른다 함
    수입대비 너무 올랐다
    일본도 안 오르고 떨어졌다
    그 ㅆㄴ 뭐 하는지
    아니면 한채 더 샀는데

    집값은 정책도 중요해요
    규제만 좋아하는 민주당
    복지하려 올리는지 모르지만

    민주당 정책에 기대해 봄

    맞다 똘똘한 한채로
    민주당 강남 집값 더 올림

  • 8. 지금
    '24.5.20 9:13 AM (223.38.xxx.110)

    서울이라도 외곽 노동강 같은곳은 계속 빠지고 있어요. 그게 무슨 말이냐면 이제까지는 특히 인구가 계속 늘어나거나 투기 바람이 있었을 때는 서울의 강남권이 오르기 시작하면 그 주변으로 온기가 쫙 퍼져나갔는데
    이젠 아니라는 거예요.
    즉 지금 집값을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의 숫자가 서울에도 많다는 걸 의미합니다.
    만약 서울 외곽까지도 오를려면
    1.수입이 늘거나
    2.집값이 더 빠지거나
    3.제로금리 같은 투기부양책이 나오거나
    이 3 가지 중에 하나가 와야 되는데
    소득은 안 오르고 있고
    제로금리 같은 상황은 오지 않고 있고
    그나마 금리 동결 혹은 금리 인하 신호 보내주는 게 호재 전부인데
    서울 강남권 정도는 반응을 보이지만 외곽 지역은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는 게 핵심 같아요.

  • 9.
    '24.5.20 9:13 AM (106.101.xxx.136) - 삭제된댓글

    그랬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세금도 줄고 세금때문에 내가 사는 곳에서 쫓기듯이 팔지 않아도 되고요.
    그러나
    그런 일은 희망사항일뿐
    길 막고 물어보세요.
    다들 돈만 있으면 강남요지에 살고 싶어하지

  • 10. 아참
    '24.5.20 9:13 AM (223.38.xxx.110)

    집값이 영원히 안 오른다는 뜻은 아닙니다.
    지금 소득과 집값의 갭이 어느 정도 줄어들 때까지는 안 오른단 뜻이에요.

  • 11. 그쵸
    '24.5.20 9:16 AM (223.38.xxx.110)

    마지막까지 강남 집값은 기회만 되면 들어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 때문에 오르던지 유지는 할 거예요.
    문제는 그 외 지역입니다.
    지난 7년간 강남이 오르면 그 외 지역도 시간차를 두고 올랐는데
    이제는 그러기가 쉽지 않을 것 같고
    강남 내에서도 모르는 곳은 오르고 정체되는 곳은 정체되고 그럴 것 같아요.
    그런데 우리나라가 미국처럼 넓은 지역에서 밀도가 낮게 살고 있는 것도 아니고
    좁은 땅덩이에서 따닥따닥 붙어 사는데
    한쪽은 초고가가 유지가 되고 바로 옆은 가격이 저렴하게 유지가 되고
    이게 얼마나 지속이 될까요.
    나는 조심스레 강남권도 일부 초고가 몇 군데 빼고는
    이전처럼 상승은 어려울 것 같아요.
    이러는 저도 강남 고가 아파트 거주하는중인데
    여기도 한 10년만 지나도 낡았다는 생각을 갖더라고요.

  • 12.
    '24.5.20 9:20 AM (219.241.xxx.152) - 삭제된댓글

    그러니 종부세 재산세 총액으로 해야 해요
    똘똘한 한채 혜택 그만
    그런데 지들이 강남집 있으니 안 하지

  • 13.
    '24.5.20 9:20 AM (219.241.xxx.152)

    그러니 종부세 재산세 양도세 총액으로 해야 해요
    똘똘한 한채 혜택 그만
    그런데 지들이 강남집 있으니 안 하지

  • 14. 왜또
    '24.5.20 9:23 AM (151.177.xxx.53) - 삭제된댓글

    원글님 누구세요?진정으로 아는 사람이 남들 다 보는곳에 글 쓰지도 않겠거니와,이런 쓸데없는글로 뭐를 노리는지도 궁금하네요.
    땅으로 30억씩이나 불려놓은 사람같지도 않네요.

  • 15. 양극화
    '24.5.20 9:24 AM (211.36.xxx.14) - 삭제된댓글

    강남3구, 용산,성동 쪽은 지방사람들 포함 대기수요가 많이 있어서 조금만 떨어지면 바로 매도되더라구요. 대기수요땜에 일정가격이하로는 안 떨어지고 가격방어가 되니 경제위기 아닌이상 폭락은 없어요. 반면 지방 부동산은 답 없을 듯해요. 부산,대구도 가격 하락은 피할 수 없을듯해요.

  • 16.
    '24.5.20 9:25 AM (221.145.xxx.192)

    원글님 의견에 동의 합니다.
    저도 그렇게 봅니다.

  • 17. 저도
    '24.5.20 9:30 AM (223.62.xxx.254)

    원글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강남만 건재할 것 같고 나머지 지역은 꽤 힘들어질 것 같아요

  • 18. ...
    '24.5.20 9:33 AM (124.5.xxx.0)

    서울도 강 아랫쪽(관악구 제외)이나 완전 강가는 나아요.
    친구가 대전 친구인데 충청도 땅 팔아서 돈 생기니 바로 서울 요지에 꼬마빌딩 사면서 하는 말이 저 땅이 원래 압구정 현대 아파트 몇 채 갑이었는데 놔두다가 한채도 못 살것 같아서 팔았대요.

  • 19. ㅇㅇ
    '24.5.20 9:40 AM (118.221.xxx.195) - 삭제된댓글

    그러니 종부세 재산세 양도세 총액으로 해야 해요
    똘똘한 한채 혜택 그만
    그런데 지들이 강남집 있으니 안 하지 22222

  • 20. ..
    '24.5.20 9:41 AM (125.186.xxx.181)

    부동산은 그렇다 치고 소득이 오를 필요가 있는데 참 더디네요. 인재를 들여오기도 쉽지 않고 정책도 세금도 있는 인재도 내보낼 판으로 짜여 있으니.....

  • 21. ...
    '24.5.20 9:55 AM (211.176.xxx.135)

    똘똘이 한채만 올라가는 정책만 펼치니 강남만 오르죠.

    종부세 총액제로 하고 취득세 중과 풀어주면 수도권 지방

    다 올라가요.

    왜냐하면 화페가치는 시간이 지날 수록 가치가 떨어져

    물가는 올라가게 되어있거든요.

  • 22. 건설사들과가레기
    '24.5.20 9:59 AM (115.164.xxx.36)

    협잡질에 국민이 놀아난거죠.
    철근도 빼먹고 짓는 아파트가 10억이라는게
    저만 이해가 안가는건 아니죠?

  • 23. --
    '24.5.20 10:04 AM (175.197.xxx.16)

    실물경제가 어려운데 규제 풀어서
    수도권 지방 다 같이 오르면 좋은가요?
    소득 대비 적정 수준이 되어야 생활이 안정되고
    내수가 살아나죠

  • 24. ...
    '24.5.20 10:23 AM (124.57.xxx.151)

    빠지면 강남도 다 빠져요
    무슨 강남이 통뼈인가요
    지금 60대이후 자산처분하려고 집매물 쌓인게 어마어마한거 안보이나요
    젊은세대들이 살고있는집 처분할까요
    여기저기 집 매물이 넘치네요
    지방 돈있는사람들이 사들이는것도 한계가 있겠죠

  • 25. ...
    '24.5.20 10:27 AM (124.50.xxx.169)

    서울 강남 마용성 24평 최신축 정도야 괜찮겠지요
    원글님 글 맞아요. 더 이상 여기 저기 오르던 시대는 지났어요. 실제로 서울 최신축 24평들은 나오는대로 거래가 되고 있어요

  • 26. 수도권
    '24.5.20 11:47 AM (61.84.xxx.145)

    신축 위주로 오르겠죠.
    직주근접으로 좋은 회사가 포진한 동네나 교통이 잘 갖춰진 곳은 오를겁니다.
    내가 보기에 살기 좋아보이는 곳은 남들 눈에도 그리 보이구요. 집값을 받혀주겠죠.

  • 27. ㅇㅇ
    '24.5.20 12:04 PM (222.99.xxx.201)

    집값이 계속 오를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지방 안가보셨죠?
    아파트가 닭장처럼 지어졌는데
    들어갈 사람은 없고
    왜냐 나이드신분들 고층 싫어해요
    임대아파트처럼 5천만 내면 죽을 때까지
    살 수 있다고 해서 겨우 채우고 있어요

  • 28. ...
    '24.5.20 12:22 PM (220.71.xxx.148)

    소득 대비 집값 비쌌던건 코로나 폭등 이전도 그랬고 저는 두 가지가 변곡점이라 봅니다
    1. 재건축 사이클 붕괴
    2. 은퇴세대가 쏟아낼 매물
    베이비부머 은퇴는 이미 몇년 전 시작됐기 때문에 다운사이징하는 매물들이 집값 끌어내릴 예정이었는데 여태는 집값이 계속 올라주니 존버한 거지요 실질 은퇴연령 72세까지 일 하면서요 하지만 이 또한 시간문제라서요

  • 29. .....
    '24.5.20 12:26 PM (110.13.xxx.200)

    이전처럼 폭등하긴 어려워보여요.
    야금야금 물가대비는 당연히 오르겠지만

  • 30. 강남이나
    '24.5.20 12:28 PM (211.108.xxx.204)

    일부 지역만 유지될 거 같아요. 인구가 준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부유층은 고가의 아파트를 사들이죠. 심지어 압구정 한남동은 90년대생이 몇십억씩 현찰로 사들이잖아요. 독신임에도 좋은 아파트에 잘 꾸며놓고 사는 1인세대도 점점 늘거고요

  • 31. ....
    '24.5.20 1:32 PM (116.89.xxx.136)

    강남도 장담할 수 없을것 같습니다.
    강남에의 수요가 끊임 없는 이유는 생활환경이 좋아서 이기도 하지만 학군이 큰 비중인데
    이제 아이들 수가 현저히 줄고 있기 때문에 학군때문에 발생하던 수요가 감소할거예요.

  • 32. 원래
    '24.5.20 2:46 PM (211.36.xxx.129) - 삭제된댓글

    부동산 침체 시기엔 온갖 이유로 다 끝난 것 같고
    상승기엔 또 온갖 이유로 끝없이 오를 것 같고 그래요.

    저도 2003년부터 근검 절약하며 온갖 재테크 해봤지만, 결국 가장 큰 부는 부동산으로 이룬 사람으로서 느끼는 바입니다.

    운이 좋은 사람은 단번에 돈을 벌기도 하지만 저는 그렇지 못해 무주택자로서 벼락거지의 심정, 꼭지에 집 산 후회, 침체기에 다주택자 되어 어디 가서 조롱 당할까 봐 집 여러 채이다 말 못한 심정, 생각지도 못한 금리 상승의 고통 등 굵직한 부동산 이슈를 정통으로 때려 맞으며 파고를 넘은 사람입니다. 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98871 환자 마취 성폭행한 의사 보고가세요 12 .. 2024/06/02 5,418
1598870 밑에 고1글 나와서.. 150이상 학원비 안넘겨요? 17 ㄷㄷ 2024/06/02 2,617
1598869 집밥 거의 안해먹고 사는 분 계신가요~? 26 저탄수화물 2024/06/02 5,336
1598868 자식이 뭔지 3 돈벌어서 2024/06/02 2,238
1598867 보이스피싱 ... 2024/06/02 451
1598866 美 타임지 "'선업튀', 올해 최고의 K-드라마&quo.. 14 화이팅 2024/06/02 2,622
1598865 아이의 이중적인 모습..적응 안되네요 8 아이 2024/06/02 3,444
1598864 맞벌이 이 정도면 가사분담 잘되는걸까요? 근데 왜 저 힘든지 18 ㅇㅇ 2024/06/02 1,600
1598863 피자헛 포장 17000원 할인 2 ㅡㅡ 2024/06/02 2,087
1598862 남동생에게 재산 더주겠다고 14 초롱 2024/06/02 5,124
1598861 댓글 13 ㅎㅎㅎ 2024/06/02 2,116
1598860 종로 귀금속 상가 일요일에 하나요 2 돌반지 2024/06/02 799
1598859 전씨 노씨 우리나라 그리 잘살지도 않았는데 11 ... 2024/06/02 1,928
1598858 편한 속옷(팬티) 없을까요 ㅠ 14 속옷 2024/06/02 2,827
1598857 치아미백이 너무 하고싶어요ㅜ 13 ㅇㅇ 2024/06/02 2,868
1598856 아파트증여, 딸이라 억울하고 속상하네요 94 차별 2024/06/02 16,300
1598855 뺏은돈 훔친돈의 말로는 그리 아름답지 않네요. 1 착하게살자 .. 2024/06/02 1,117
1598854 바베큐용 고기는 뭐가 맛있을까요 4 캠핑초짜 2024/06/02 380
1598853 밀양 집단 강간이 얼마나 흉악했냐면... 41 밀양 2024/06/02 18,324
1598852 역시 남편은 남의편 3 에휴 2024/06/02 2,015
1598851 옛날 어머님들이 귀한 손님오시면 김치를 새로 담그셨잖아요 11 김치 2024/06/02 3,415
1598850 죽은 형제가 꿈에 나오네요 5 ㅇㅇㅇ 2024/06/02 2,014
1598849 코스트코 바이타믹스 작동이 안 돼요 1 작동방법 2024/06/02 707
1598848 변호사사무실 취업 어때요? 10 대졸 2024/06/02 2,061
1598847 커넥션,, 저는 보기 좀 불편했어요.. 19 2024/06/02 4,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