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 되는데 김치가 안되네요

ufg 조회수 : 2,389
작성일 : 2020-05-16 15:03:49
20년차 되니 웬만한 요리는 다 되는데
김치는 맛이 제 멋대로이고
첫날만 맛있어요ㅠ
김치종류 너무 좋아해서 담그고 싶은데 안되네요.
방법 없을까요?
IP : 116.120.xxx.141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ㄴㄴㄴㄴ
    '20.5.16 3:05 PM (161.142.xxx.186)

    김치가 알고나면 어렵지 않거든요.
    레서피 양을 그대로 따라해서 한번 담궈보세요.

  • 2. 저도
    '20.5.16 3:06 PM (59.7.xxx.110)

    그래요~
    양가 부모님이 해주셔서 그런가봐요
    제가 아쉬워야 자주해보고 늘꺼같긴해요

  • 3. 좋은재료
    '20.5.16 3:07 PM (112.154.xxx.39)

    김치는 좋은재료가 우선인것 같고 소금절이는게 관건입니다 소금 새우젓 고추가루 배추 좋으면 맛없을수가 없어요
    기본 양념만 넣고 하는데도 늘 김치는 실패한적이 없거든요
    그리고 열무김치면 붉은고추 꼭 갈아서 넣고
    총각김치면 새우젓 꼭 넣고 그런맛의 포인트가 있어요

  • 4. 유튜버
    '20.5.16 3:07 PM (61.253.xxx.184)

    보세요.
    윤이련,양장금,심방골,,,
    최근에 하나 더 생겼는데...장향진의....

  • 5. 지나가다
    '20.5.16 3:09 PM (39.7.xxx.6)

    김치 담그는 조언 감사합니다.

  • 6.
    '20.5.16 3:10 PM (180.224.xxx.210) - 삭제된댓글

    전 포기요.
    재료가 아까워서 포기했어요.

    외식 거의 안하는 집이라 각종 요리 좀 하는 편이에요.
    김치만 죽어도 안됐어요.

    집에 김치 달인이 있어 떨어지기도 전에 보내주는 탓도 있고요.
    누구든 잘하는 사람이 해야 한다고 봐요. ㅎㅎ;;

    대신 무생채는 또 잘해서 어쩌다 김치 떨어지면 무생채로 버텨요.

  • 7.
    '20.5.16 3:11 PM (180.224.xxx.210)

    전 포기요.
    재료가 아까워서 포기했어요.

    외식 거의 안하는 집이라 각종 요리 좀 하는 편이에요.
    김치만 죽어도 안됐어요.

    집안에 김치 달인이 있어 떨어지기도 전에 보내준 탓도 있고요.
    누구든 잘하는 사람이 해야 한다고 봐요. ㅎㅎ;;

    대신 무생채는 또 잘해서 어쩌다 김치 떨어지면 무생채로 버텨요.

  • 8. ...
    '20.5.16 3:12 PM (116.34.xxx.169)

    자주 담그지 않기 때문이지요..
    자꾸 하다 보면 어쩌다 잘 되기도 하고
    그러다 잘 하게 돼요 .. 화이팅~~

  • 9. ㅎㅎ
    '20.5.16 3:14 PM (121.163.xxx.107)

    첫날이.제일 맛있습니다
    익어갈 때믐 이맛도저맛도 아니다가
    그게.익으면 또 맛있어요
    단 되도록 공기접촉 안하게
    잘 관리하셔야죠
    하다보며 김치도 잘하실 거예요
    다른 음식 잘하신다니~

  • 10. 원글
    '20.5.16 3:15 PM (116.120.xxx.141)

    저도 무생채는 잘해요 ㅎㅎㅎ

    좋은재료님
    뭐가 좋은재료일까요.
    한살림 대형마트 이용해서
    재료는 늘 거기가 공급처네요

  • 11. ....
    '20.5.16 3:32 PM (1.231.xxx.157)

    간 잘 맞추고
    담근다음 만 하루. 24시간 지나 김냉에 넣고 사나흘 숙성시켜 먹어보세요
    왠만하면 다 맛있어요

  • 12. 좋은재료들
    '20.5.16 3:33 PM (112.154.xxx.39)

    고춧가루 국산 꼭 써야 하는데 빚깔이 상품마다 다르죠
    배추도 속이 꽉 차고 싱싱한것들
    한살림 대형마트 가서 봐도 재료들이 제각각일때가 있어요
    그런걸 잘보고 구입해야죠
    새우젓도 작은병에 든것 말고 새우 큼직한걸로 싱싱한 걸로
    특히 소금은 천일염 굵은 소금으로 절여야 맛있어요
    전 매실이나 설탕은 안넣고 사과 갈아넣는데 매실넣으면 매실맛에 따라 다르게 되는것 같구요
    김치해서 베란다에 내놓고 2.3일 숙성후 다시 주방 그늘진곳에 하루이틀 익힌게 전 가장 맛있던데요
    햇살 잘드는 앞베란다에서 하루이틀 지나 부글부글 양념 숙성될때 한번 뒷집에주고 담날 맛보면 진짜 맛있어요
    그때쯤 주방 서늘한곳에 하루이틀 둔후 김치냉장고에 넣어요
    참 마늘도 다진마늘 쓰지말고 쪽마늘 사서 까서 냉동보관후 김치 만들때는 절구에 쪄서 꼭 넣습니다
    시판 간마늘과 맛의 차이가 확 느껴져요
    적당한양 믹서기에 갈아놓고 쓰고 음식만들때 찧거나 져며서 넣어요
    생각도 꼭 숟가락으로 살살 다듬에 절구에 찧어서 써요

  • 13. ..
    '20.5.16 3:33 PM (183.98.xxx.95)

    간을 심심하게 해서 그런가봐요
    제가 담은 김치는 샐러드 같대요
    웃기죠?

  • 14. ..
    '20.5.16 3:48 PM (175.196.xxx.50)

    저도 처음엔 김치 어려웠는데
    사먹는 김치 싫어 해서 항상 직접 해먹어요
    생협에서 급식 배추라고 나온거 한통 담갔는데 넘 맛있어서 금방 먹고
    또 사러 가니 없어서
    롯데마트에서 한통 사서 담갔는데도 맛있더군요
    조금씩 담그다 보면 금방 늘거예요
    저도 절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잘 절여지면 소금과 고춧가루 파 마늘 찹쌀풀 약간만 넣어도 맛있어요

  • 15. ㅡㅡ
    '20.5.16 4:18 PM (1.237.xxx.57)

    김치가 젤 쉽던데^^;
    딴건 잘 못 해요
    김치는 대충대충 해도 맛 나던데.,

  • 16. 나무
    '20.5.16 4:28 PM (114.200.xxx.137)

    저는 히트레시피 김장 양념에 속 적게 들어가는 클라라 슈만님 양념장으로 김장하는데 그때 그 양념장을 넉넉히 만들어두고 다른 김치들도 그걸 베이스로 해요. 예를들어 파김치면 김장김치보다 액젓맛이 강하니까 쪽파를 액젓에 절이고 고춧가루로 조금 넣고 살짝버무린 후 기본 양념장으로 간 맞추고 깍두기는 소금에 절인 후 새우젓 조금과 고춧가루로 일차 버무리고 양념장으로 간 맞추고 이런 식으로요. 이렇게 부추김치도 담고 오이소박이도 담고 하는데김치 다 맛있어요.

  • 17. 뭐여
    '20.5.16 5:36 PM (203.100.xxx.248)

    그러게요 저도 요리 잘 하는 편인데 배추 김치는 아직 자신이 없어요 깍두기 열무김치 등 만들어서 먹고는 있는데.... 여러 번 해보는 수 밖에 없겠네요 기본 양념 만들어두고 배추 두세포기 씩 사다가 그때 그때 담가먹어야겠어요

  • 18. 그게
    '20.5.16 5:39 PM (210.95.xxx.56)

    진짜 자주 담궈봐야하는거 맞아요.
    저도 요리잘하는데 오직 김치만 도전못한채 미국갔다가 거기서 용기내 담궈먹었거든요. 첨엔 맛김치 하다가 포기김치로 하다보니 배추 절이는게 잼있어서 계속 하고 잘하게 되었어요. 근데 한국돌아와 꾀가 나서 사먹다보니 다 까먹음요...

  • 19. ,,,
    '20.5.17 3:47 PM (121.167.xxx.120)

    자꾸 하면 늘어요.
    간만 밪으면 맛 있는데 간 맞추기가 힘들어요.
    어떤때는 맛 있다가 어떤때는 맛 없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00908 토스행운상자에요 1 토스 14:09:19 44
1600907 카메라 DSLR 단종되고있는거 아셨어요? ... 14:08:42 92
1600906 급질 일요일에 남대문시장 반찬가게들 문 여나요? ㅇㅇ 14:02:16 84
1600905 급합니다ㅠㅠ 국제선 탑승수속 관련 질문드려요 8 말낭리 14:01:22 391
1600904 술 끊었더니 근육이 1킬로 늘었네요 1 ... 14:01:15 151
1600903 남편이 아이(43개월) 데리고 시댁 놀러 갔는데 상황 봐주세요 14 속상 14:00:16 510
1600902 언니의 시어머니가 84살인데 난리가 났어요 15 ㅠㅠ 13:58:33 1,310
1600901 셀프 페디큐어 해보려는데요. 셀프 13:55:31 72
1600900 사람죽인 중대장 아직 '휴가중' 4 ..... 13:55:16 167
1600899 썬글끼고나면 코에 자국 4 ㅇㅇ 13:46:06 385
1600898 원더랜드보고 왔어요. 원더우먼이 13:45:29 351
1600897 임플란트 탑플란트랑 텐티움중에 하신분 아하 13:44:12 80
1600896 다음 끼니... 저녁은 집밥 못 하겠어요. 5 부분파업 13:43:11 809
1600895 장마철 중고딩 뭐 신나요? 5 고민 13:40:47 308
1600894 샛강을 매일 걷는데요 1 ㅎㅎ 13:40:31 362
1600893 대통령실, 오늘 중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10 ,,,,, 13:32:27 446
1600892 쑥갓전 왜이리 맛있나요? 7 ^^ 13:30:48 667
1600891 전세 세입자가 시골주택 마당에 심은 나무 36 13:24:51 1,614
1600890 제네시스 G70은 별루인가요? 21 루비 13:21:44 1,265
1600889 캠핑족은 정말 민폐네요. 5 13:20:02 1,870
1600888 혹시 ..... 13:14:58 144
1600887 항암중인데 실비보험 어떻게 계산될까요? 4 6월 13:12:09 681
1600886 이화영 1심 판결이 태풍의 눈이라 오히려 조용하네요 13 13:09:48 723
1600885 10살정도 나이차이 .. 13:08:31 641
1600884 모자 많이 쓰시네요. 21 .. 13:08:21 2,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