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부분의 조언은 차선을 제시

ㅇㅇ 조회수 : 499
작성일 : 2017-10-28 15:31:01
하더군요
왜냐면 책임질수없기에...

인생은 모험이고 도전이고 결국 불확실성 실패에 대한 책임을
누구도 져줄수없고 원망할수없기에...

여기서 더 나은 인생을 위해 ~~거 하고 싶다거 히면
그거 나이 실력 등등 운운해서 부정적 답변이 대다수 달리고
결국 실용적 현실적으로 이런이런 걸 해라 하지만
제생각엔 결국 후회하지 않을 자신 원망하지 않을자신이 생길때까지 고민하고 더 문제를 끌어안고 생각해보는 수밖에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원망과 후회하지 않을자신이 생기면
나이와 상관없이 그걸 할때가 된거구요...
IP : 211.36.xxx.12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건 아니죠.
    '17.10.28 4:26 PM (110.47.xxx.25)

    무엇이 최선일지는 당사자조차도 모르는 겁니다.
    자신이 믿고 있는 최선이라는 것이 자신의 욕심이나 착각일수도 있는 겁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이 믿고 있는 최선에 대해 확신이 있는 사람은 그대로 샐행하지 조언을 구하지는 않는다는 겁니다.

  • 2. 그저 제3자의 위로일뿐
    '17.10.28 5:02 PM (39.118.xxx.211)

    결국은 그수많은 조언중에서도
    내가 듣고싶은 조언들만 듣고보고 유의미하게 되죠
    애초에 결정은 본인의 마음에 숨어있던것.

  • 3. ..
    '17.10.28 5:12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없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 4. ..
    '17.10.28 5:19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 5. ..
    '17.10.28 5:21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원하는 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나가요. 물론 막힐 때도 많지만요. 그리고, 점점 더 쉬워져요. 요령이 붙어서도 그렇지만, 중간에 다 나가떨어져서 경쟁자가 없어지는 것도 하나의 이유죠.

  • 6. ..
    '17.10.28 5:21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원하는 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나가요. 물론 막힐 때도 많지만요. 그리고, 점점 더 쉬워져요. 단련되고 요령이 붙어서도 그렇지만, 중간에 다 나가떨어져서 경쟁자가 없어지는 것도 하나의 이유죠

  • 7. ..
    '17.10.28 5:31 PM (116.124.xxx.128) - 삭제된댓글

    사람들은 얻고 잃는 것 생각할 때, 당장에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놓는 손해보는 결정을 못 해요.
    그런데, 그것을 놓지 않으면 자기가 원하는 것도 집을 수 없어요.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용기가 필요하죠.
    그런데, 보통은 그 고통이라는 것도, 언젠가 또 놓아야 할 무언가를 위해 감수하는 경향이 있어요.
    즉, 궁극의 선택이 아니어서 후회하는 것이지, 옳은 결정은 후회하지 않죠.
    고민할 때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의 문제가 되는데요.
    가장 쉬운 방법은 1년 후 죽는다면, 5년, 10년 후에 죽는다면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가 고민할 때 옳은 결정의 잣대가 될 수 있죠. 보통은 50 넘어가면 살아있음만을 만끽하는 상태 이기 때문에, 도전할 수 있는 기간이 얼마 안 되죠.
    요즘은 삶의 질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서, 어지간하면 불행하다 느끼기 때문에 불행하지 않으려 발버둥을 치죠. 그러다보니 행복하기 위한 결정을 하기가 힘들어요. 높아진 삶의 질, 풍요가 행복에 기여하기는 커녕 방해꾼이 된 셈이죠.
    그리고, 실패에 대한 관점도 중요하죠. 보통은 실패를 피해가려고 해요. 그러나 성공은 실패라는 징검다리를 통해 건너가는 거죠. 실패를 피해가려기 보다는 실패를 통해 하나씩 성장한다는 마인드의 장착이 꼭 필요하죠.
    자기는 도전적으로 살았으면서도, 자식에게는 안정적인 길을 안내하는 부모가 있는데요. 도전을 고통으로 여기 거죠. 그런데, 사람은 고통을 통해 배우죠. 고통은 실패와 같은 얘기고요. 그런데, 고통스러운 가운데서 살아잇음을 느끼고, 행복감을 느끼죠. 이게 묘미죠.
    원하는 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면, 생각보다 쉽게 풀려나가요. 물론 막힐 때도 많지만요. 그리고, 점점 더 쉬워져요. 단련되고 요령이 붙어서도 그렇지만, 중간에 다 나가떨어져서 경쟁자가 없어지는 것도 하나의 이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50479 유자차 색이 약간거무스런데 먹어도 되나요? 1 몇년된 2017/11/17 675
750478 부와 청결도가 비례한다고 보면 14 ㅇㅇ 2017/11/17 4,986
750477 회전초밥 레일 위 초밥 젓가락으로 찌르는 행위요 3 진상 2017/11/17 1,660
750476 전 직장이 광진구 남편은 신림동인데, 어디로 이사가야할까요 8 이사고민 2017/11/17 1,372
750475 왜 한국 돈이 비싸지고 있는 걸까? 샬랄라 2017/11/17 1,209
750474 조금만 움직여도 더워요. 4 긴가민가 2017/11/17 1,374
750473 다이어트 넋두리 4 ttm 2017/11/17 2,009
750472 전남친 미친 ㄴ 같아요 11 ... 2017/11/17 8,087
750471 유자 정녕 청만들기밖에 만들게 없는건가요 2 고슴도치 2017/11/17 670
750470 어릴때 흰색체육복은 왜 존재했을까요? 14 .... 2017/11/17 3,147
750469 세상에 나온 승환과 진우 7 인어황후 2017/11/17 1,387
750468 중1 딸래미 9 어휴 2017/11/17 1,206
750467 초등입학 남아 책가방 앞 고정 버클 있는? 2 릴리 2017/11/17 571
750466 손석희 JTBC사장, MBC사장 나설 생각 없다 11 알고 있읍시.. 2017/11/17 3,080
750465 청국장 처음 끓였는데 넘 맛이가 없어요ㅠ 17 .. 2017/11/17 2,663
750464 막말하는 악덕 댓글러들 다 벌받기를 3 .... 2017/11/17 597
750463 돈을 얼마나 벌기에 60억 탈세를 할까요? 8 라라라 2017/11/17 5,605
750462 장염(구토설사)기가 있는데 종아리가 아플수도 있나요? 5 걱정 2017/11/17 1,009
750461 원전사고 때 바로 산 소금이 많은데요 8 봄소풍 2017/11/17 1,387
750460 어제 에르메스 가든파티 사고 싶어하던 사람인데요..색상 좀 봐주.. 21 우와.. 2017/11/17 9,367
750459 멜론땜에 왕짜증 나네요. 13 .. 2017/11/17 2,620
750458 석류청은 어떻게 만드나요? 2 ~~~ 2017/11/17 749
750457 아침 9시에 청소한다고 항의받았어요. 18 청소 2017/11/17 5,010
750456 아이돌 노래들 많이 아세요? 2 ㅎㅎ 2017/11/17 458
750455 인터넷쇼핑에서 보내주는 회색 택배봉투를 영어로 뭐라하죠? ... 2017/11/17 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