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택에서는 쓰레기 배출 어떻게 하나요?

탈아파트 조회수 : 1,232
작성일 : 2017-10-20 18:24:24

크고 나서 아파트 생활만 했는데 아파트가 편하긴 하지만 마당 있는 단독주택이나 코딱지만하더라도 테라스라가 있는 상가주택 꼭대기에서 살아보고 싶은 생각이 드네요.

단독주택보다는 아무래도 상가주택이 관리가 덜 힘들 것 같은데 이런 데서는 음식물이나 생활쓰레기 배출을 어떻게 하나요? 지정장소가 있는지 건물 앞에 일정 시간에 내다 놓는지..음식물 쓰레기는 냄새나 오물 등이 많이 흐를텐데 이건 어떻게 배출하나요?

관리비 등은 아파트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요? 지금 사는 곳은 서울 1000가구 정도 30평대 평균 17만원 정도, 가스비는 한 겨울에도 난방을 잘 안해서 많이 나올 때 5-6만원 정도이고 여름에는 몇천원 정도에요.

그 외 상가주택 살면서 느낀 점 아무거나 말씀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IP : 211.46.xxx.42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10.20 6:27 PM (125.186.xxx.152)

    밤에 건물 앞에 쓰레기봉투 내다두면 새벽에 수거해요.

  • 2. ...
    '17.10.20 6:35 PM (223.62.xxx.7)

    음식물쓰레기통은 건물 3000평방 미터 이상인가는 자체로 가지고 있구요..보통은 50미터마다 하나정도 있어서 낮이든밤이든 버리는거 상관없구요.
    재활용 일반쓰레는 밤 8시 이후에(그 전엔 벌금 부과 맞아본적은 없지만) 건물 앞에 내놓아요. 일요일만 안치워가요.
    관리비는 쓰기 나름이라서요...집 관리비 외에 건물 전체 물세 계단 전기세 그리고 청소기 기타등등 나가니 아파트 관리비보단 전체적으로 많이 나가게되죠.

  • 3.
    '17.10.20 7:00 PM (110.12.xxx.137)

    관리비는없구요
    전기세 가스비 수도요금(2달에한번)
    살기좋아요
    마당에 차 두대세우고
    10년살다보니 층간소음없고 도둑없고 좋아요

  • 4.
    '17.10.20 7:01 PM (110.12.xxx.137)

    쓰레기는 월 수 금 내놓으면
    밤늦게 가져갑니다

  • 5. ㄱㅅㅈ
    '17.10.20 7:37 PM (122.46.xxx.225) - 삭제된댓글

    동마다 수거 요일이 달라요.
    제가 사는 동도 월수금 7시 이후에 각자 집 앞에 배출합니다.
    일반종량제, 음식물, 재활용, 비닐 쓰레기 분리하고요.
    옆집 가까이, 남의 담벼락, 전봇대 이런거 안됩니다.
    무조건 자기 집 대문 앞에 놓아야 합니다.
    간혹 남의 집 앞에 놓는 비매너 때문에 주민끼리 싸움나요.
    자기 쓰레기는 꼭 자기 집 앞에 놓습니다.
    배출 시간 못맞춰서 환경미화원 다녀 간 후 골목 전봇대에 버리면 누가 신고하고 단속원이 와서 쓰레기 뒤지고 개인 신상 정보 추론해서 과태료 10만원 물립니다. 그렇게 개념없이 버리는 사람들 꼭 자기 정보도 질질 흘리고 일반종량제에 바나나 껍질 같은 음식물도 섞어 버리거든요.
    분리수거는 속이 비치는 비닐에 담고
    음식물은 슈퍼에서 파는 음식물 전용 봉투에 담고 각 주택마다 가지고 있는 뚜껑 달린 플라스틱 통이 있어요. 봉지에 국물 질질 흐르게 담으면 안돼요. 왜냐 그 플라스틱 동도 7시 이후에 내놨다가 수거해 가면 다시 대문 안쪽 놔두고 자기가 보관하거든요. 그 통 어차피 내 꺼라서요. 혹은 여러세대 쓴다면 더 골치, 누가 그 냄새나는 통을 닦느냐가 문제겠죠.
    경비 관리인 있을만한 사이즈 아니면 공동으로 계단 청소하는 아주머니 부르거나 그게 아니면 그 건물에 집주인이 살면 집주인이 닦게 돼요.
    가스점검도 분기마다 한번씩 옵니다. 부엌 가스쪽 검사하고 보일러실 안전 점검해요. 아파트는 이걸 안하는 모양..
    전기 가스비는 비슷해요. 수도는 두달에 한번 내는데 세대마다 다르고 한 세대가 만원정도

  • 6. ㄱㅅㅈ
    '17.10.20 7:46 PM (122.46.xxx.225) - 삭제된댓글

    동마다 수거 요일이 달라요.
    제가 사는 동도 월수금 7시 이후에 각자 집 앞에 배출합니다. 다른 동은 화목도 7시 이럴거에요.
    일반종량제, 음식물용 전용봉투, 비닐 재활용 전용봉투 따로 있고요. 재활용은 속이 비치는 아무 비닐에 담아 버리면 돼요.

    종이류는 낮에 밖에 놔두면 폐지 주우시는 분들이 정말 금방 집어갑니다. 간혹 나머지 페트 플라스틱 유리 재활용 낮에 내놨다가 그분들이 봉투 뜯어 자기 필요한거만 골라 빼가고 비닐까지 빼가고 나머지를 바닥에 흩뜨러트리는 경우도 있어요. 저도 그래서 종이 말고는 수거시간에 맞춰 밤에만 내놓습니다.

    옆집 가까이, 남의 담벼락, 전봇대 이런거 안됩니다.
    무조건 자기 집 대문 앞에 놓아야 합니다.
    간혹 남의 집 앞에 놓는 비매너 때문에 주민끼리 싸움나요.
    자기 쓰레기는 꼭 자기 집 앞에 놓습니다.
    배출 시간 못맞춰서 환경미화원 다녀 간 후 골목 전봇대에 버리면 누가 신고하고 단속원이 와서 쓰레기 뒤지고 개인 신상 정보 추론해서 과태료 10만원 물립니다. 그렇게 개념없이 버리는 사람들 꼭 자기 정보도 질질 흘리고 일반종량제에 바나나 껍질 같은 음식물도 섞어 버리거든요.

    음식물은 슈퍼에서 파는 음식물 전용 봉투(최소2리터부터)에 담고 각 주택마다 가지고 있는 뚜껑 달린 플라스틱 통이 있어요. 그 통에 넣어서 마찬가지로 지정 시간에 내놓습니다. 봉지에 국물 질질 흐르게 담으면 안돼요. 왜냐 그 플라스틱 동도 7시 이후에 내놨다가 수거해 가면 다시 대문 안쪽 놔두고 자기가 보관하거든요. 그 통 어차피 내 꺼라서요. 혹은 여러세대 쓴다면 더 골치, 누가 그 냄새나는 통을 닦느냐가 문제겠죠. 애초에 국물 안흐르게 서로 조심하면 좋아요.
    경비 관리인 있을만한 사이즈 아니면 공동으로 계단 청소하는 아주머니 부르거나 그게 아니면 그 건물에 집주인이 살면 집주인이 닦게 돼요.

    가스점검도 분기마다 한번씩 옵니다. 부엌 가스쪽 검사하고 보일러실 안전 점검해요. 아파트는 이 걸 안하는 모양.. 아파트 살다가 신축 빌라 살게 된 친구가 건물 만들 때 점검 다 한걸 왜 오느냐 어리둥절해 하더라고요.
    전기 가스비는 비슷해요. 수도는 한 건물이 두달에 한번 내는데 세대마다 다르고 한 세대가 만원정도

  • 7. ㄱㅅㅈ
    '17.10.20 7:47 PM (122.46.xxx.225)

    동마다 수거 요일이 달라요.
    제가 사는 동도 월수금 7시 이후에 각자 집 앞에 배출합니다. 다른 동은 화목토 7시 이럴거에요.
    일반종량제, 음식물용 전용봉투, 비닐 재활용 전용봉투 따로 있고요. 재활용은 속이 비치는 아무 비닐에 담아 버리면 돼요.

    종이류는 낮에 밖에 놔두면 폐지 주우시는 분들이 정말 금방 집어갑니다. 간혹 나머지 페트 플라스틱 유리 재활용 낮에 내놨다가 그분들이 봉투 뜯어 자기 필요한거만 골라 빼가고 비닐까지 빼가고 나머지를 바닥에 흩뜨러트리는 경우도 있어요. 저도 그래서 종이 말고는 수거시간에 맞춰 밤에만 내놓습니다.

    옆집 가까이, 남의 담벼락, 전봇대 이런거 안됩니다.
    무조건 자기 집 대문 앞에 놓아야 합니다.
    간혹 남의 집 앞에 놓는 비매너 때문에 주민끼리 싸움나요.
    자기 쓰레기는 꼭 자기 집 앞에 놓습니다.
    배출 시간 못맞춰서 환경미화원 다녀 간 후 골목 전봇대에 버리면 누가 신고하고 단속원이 와서 쓰레기 뒤지고 개인 신상 정보 추론해서 과태료 10만원 물립니다. 그렇게 개념없이 버리는 사람들 꼭 자기 정보도 질질 흘리고 일반종량제에 바나나 껍질 같은 음식물도 섞어 버리거든요.

    음식물은 슈퍼에서 파는 음식물 전용 봉투(최소2리터부터)에 담고 각 주택마다 가지고 있는 뚜껑 달린 플라스틱 통이 있어요. 그 통에 넣어서 마찬가지로 지정 시간에 내놓습니다. 봉지에 국물 질질 흐르게 담으면 안돼요. 왜냐 그 플라스틱 동도 7시 이후에 내놨다가 수거해 가면 다시 대문 안쪽 놔두고 자기가 보관하거든요. 그 통 어차피 내 꺼라서요. 혹은 여러세대 쓴다면 더 골치, 누가 그 냄새나는 통을 닦느냐가 문제겠죠. 애초에 국물 안흐르게 서로 조심하면 좋아요.
    경비 관리인 있을만한 사이즈 아니면 공동으로 계단 청소하는 아주머니 부르거나 그게 아니면 그 건물에 집주인이 살면 집주인이 닦게 돼요.

    가스점검도 분기마다 한번씩 옵니다. 부엌 가스쪽 검사하고 보일러실 안전 점검해요. 아파트는 이 걸 안하는 모양.. 아파트 살다가 신축 빌라 살게 된 친구가 건물 만들 때 점검 다 한걸 왜 오느냐 어리둥절해 하더라고요.
    전기 가스비는 비슷해요. 수도는 한 건물이 두달에 한번 내는데 세대마다 다르고 한 세대가 만원정도

  • 8. 후아
    '17.10.20 9:55 PM (221.138.xxx.15)

    윗분땜에 로그인 했는데 바나나껍질은 음식물쓰레기 아니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8039 서민이고 1억좀 넘게 여윳돈 있다면 아파트 구매하는거 이상한가요.. 9 ... 2017/11/10 3,510
748038 '주취감형(술을 먹으면 형벌 감형)' 폐지를 건의(청원)합니다.. 13 청원 2017/11/10 947
748037 이번에 자살한 국정원 관련 검사들.. 철저히 조사해서 잘잘못을 .. 5 ... 2017/11/10 796
748036 셀프 흰머리 염색 집에서할때 상하지않게 염색약에 넣는 엣센스는 3 555 2017/11/10 3,091
748035 신화 김동완ㅜㅜ 69 개념 2017/11/10 27,042
748034 목디스크 침 꾸준히 맞으면 좋아지기도하나요? 5 커피나무 2017/11/10 1,466
748033 이런동서 어떤가요 8 어째요 2017/11/10 2,505
748032 2010년 82쿡에 올라왔던 웃긴 이야기 42 ..... 2017/11/10 14,972
748031 속옷 한두개 삶는거 어디에 삶을까요? 6 살림 줄이기.. 2017/11/10 1,170
748030 靑소속사]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고마운 시간들 10 좋아요 2017/11/10 1,146
748029 30중반 경량패딩 사려는데 어디꺼가 4 겨울 시러 2017/11/10 1,630
748028 인간관계도 운동도 재미가 없어요 9 .. 2017/11/10 3,748
748027 며칠전 좋은버릇 글 좀 찾아주세요 1 좋은습관 2017/11/10 405
748026 이런 남자가 유부남이니 조심하세요. 23 ㅇㅇ 2017/11/10 19,653
748025 합당시 벌어질 예상 시나리오 4 ........ 2017/11/10 650
748024 '똘똘하다' 와 똑똑하다 7 gfsrt 2017/11/10 2,554
748023 김포공항에서 일본갈때 1 .... 2017/11/10 579
748022 부부상담을 하는데요.. 남편이랑 알콩달콩 하게 지내고 싶지 않고.. 16 부부 2017/11/10 4,644
748021 고액 알바 ㅠㅠ 타이밍 2017/11/10 859
748020 강아지, 살 안 찌는 간식 뭐가 좋을까요. 7 . 2017/11/10 1,385
748019 펌)멍뭉이와 아기고양이..feat.힐링타임~ 6 .. 2017/11/10 1,010
748018 패딩에서 나는 오리냄새 어떻게 없애세요?ㅠㅠ 6 곤혹ㅠ 2017/11/10 1,572
748017 30대 文대통령 지지율 90% 31 샬랄라 2017/11/10 3,393
748016 자녀들 어릴 때 운동 한가지씩 기본적으로 가르치셨나요? 7 운동 2017/11/10 1,196
748015 1박2일에때 김주혁씨 나오던 시절 재미있었었네요..?? 19 ... 2017/11/10 2,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