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문재인정부 또하나의 좋은 정책 -잠실여성전용주택

좋은 조회수 : 2,067
작성일 : 2017-10-12 11:15:5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
서울 잠실에 여성안심주택 짓는다
입주대상은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의 70% 이하 여성 1인 가구
여기엔  독신 싱글맘 사회초년생 대학생 여성이 해당
임대료는 시세보다 70% 저렴한 수준에서 공급
 

집값 비싸다는 그 잠실, 모든 사람이 살고 싶어하는 잠실에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일반 시세보다 70% 저렴한 가격에 "여성 전용 임대 주택"을 설립한다네요
여자라서 행복합니다.  이렇게 되면 저소득층 혼자사는 여성도 기를 펼 수 있을 거 같아요.
농담안하고 경제적 사정때문에 결혼 생각하는 여성들도 좀 봤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 없겠네요
혼자사는 당당한 여성을 위한 정책,  그것도 잠실이라니.. 너무나도 좋은 정책입니다 ^^
IP : 101.81.xxx.200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진심?
    '17.10.12 11:27 AM (218.55.xxx.126)

    진심이에요? 아니면 비꼬려고 올린건가요? 여성전용임대주택은 옳은 방향이지만 저 입지와 임대료가 옳다고 생각하세요?

  • 2. ㅇㅇ
    '17.10.12 11:34 AM (58.140.xxx.106)

    여성전용 장애인전용 무슨무슨 전용이 저는 별로라서.
    왜 저 좋은 자리라는곳에 성을 한정에서 제한해야하는건지 모르겠네요.
    혼자 애키우는 싱글대디 남성독신가구도 잠실살고 싶은 가구 의오로 많을텐데.

  • 3. ...
    '17.10.12 11:41 AM (115.140.xxx.195)

    40가구 시범 사업이네요. 여성임대주택(싱글맘 포함) 부터 시작하는건
    우리 사회 가장 취약계층이 저소득 여성이에요. 경제지표, 범죄지표 등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저소득여성(장애인,노인,싱글맘 포함)이 그래서 우선 순위 시범 사업에 들어간거죠.
    확대되면 싱글대디, 남성독신가구도 대상이 될 수 있겠죠.

  • 4. ...
    '17.10.12 11:45 AM (175.113.xxx.105)

    근데 저는 여자 남자 한정 안했으면 좋겠어요... 저런거 남자들 입장에서는 불만 좀 생길수도 있을것 같거든요..

  • 5. 대찬성!
    '17.10.12 11:54 AM (211.243.xxx.4) - 삭제된댓글

    남녀 구별짓자는게 아니라 경제,사회적 약자일 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나는 대통령으로서 이런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선언적,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는 거죠.
    이런 개별적 정책들의 성과들이 모아져 전체 약자층에 대한 국가의 배려와 기여가 확대되는 것이고요, 궁극적으로는 사회복지의 틀을 바꿔나가는 것이죠.^^

  • 6. 머리야..
    '17.10.12 12:03 PM (218.55.xxx.126)

    네, 도시근로자의 평균소득의 70% 이하만 입주 가능한 주택을.... 말씀하시는 것들처럼 경제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대주택을 집값 천정부지인데다 물가도 비싼 동네에 공급한다고요?

    일부 단어, 문장만 보고 환호하고 역시 우리 이니~ 이러지마시고 맥락과 내용을 꼼꼼히 좀 살펴보세요... 이건 약자에게 혜택을 주고자했을떄 가능한 정책이 아니에요, 전형적인 탁상공론에서 나온, 포퓰리즘 성 정책이죠

  • 7. .....
    '17.10.12 12:27 PM (115.140.xxx.195) - 삭제된댓글

    그렇게 따지면 강남,송파 쪽에는 임대주택 자체를 지으면 안되겠네요.
    도대체 저런 오만은 어떻게 나오는 거죠?
    맥락과 내용 꼼꼼히 살피는건 님이 하십시오. 강남처럼 비싼 곳에는 임대주택 발도 못부치게 하시던가요.

  • 8. .....
    '17.10.12 12:28 PM (115.140.xxx.195) - 삭제된댓글

    그렇게 따지면 강남,송파 쪽에는 임대주택 자체를 지으면 안되겠네요.
    도대체 저런 오만은 어떻게 나오는 거죠?
    맥락과 내용 꼼꼼히 살피는건 님이 하십시오. 강남처럼 비싼 곳에는 임대주택 발도 못붙이게 하시던가요.

  • 9. ....
    '17.10.12 12:40 PM (115.140.xxx.195)

    그렇게 따지면 강남,송파 쪽에는 임대주택 자체를 지으면 안되겠네요.
    도대체 저런 오만은 어떻게 나오는 거죠?
    맥락과 내용 꼼꼼히 살피는건 님이 하십시오. 강남처럼 비싼 곳에는 임대주택 발도 못붙이게 하시던가요.
    물가 운운하는 것도 웃긴거죠. 물가가 비싼건 집값 때문이고
    집 문제만 해결되면 저소득층도 직장 가깝다면 잠실에 못살 이유가 없죠. 온라인으로 생필품까지 저렴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인데 말이죠.

  • 10. 115.140.xxx.195
    '17.10.12 12:45 PM (101.81.xxx.200)

    님.. 저는 잠실에 저런 여성 전용 임대 주택을 시중가보다 70%나 저렴하게 공급한거 찬성합니다
    여성은 약자니까 저런 거라도 배려해줘야죠
    남자는 능력도 좋고 범죄에 대응할 힘이 있잖아요


    요새 문재인 님 대통령 뽑은 맛에 신바람 난답니다

  • 11. 하...
    '17.10.12 1:19 PM (218.55.xxx.126)

    서울 강남3구 집값이, 땅값이 왜 오르는건데요? 그만한 수요가 있기에 오르는거죠, 왜 그런 지역에 임대주택을 공급해야하는건가요? 온라인으로 생필품을 저렴하게 살수 있는 세상?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생필품의 종류가 얼마나 된다나요?

    물가가 비싼건 집값때문이 아니에요, 집값이 비싸다고 임대료를 높게 받던가요? 유동인구, 임대료, 지역 내 인구 구성 ... 반영되어요, 같은 서울시내라고 계란 한판이 4천원 하는지 아세요? 어떤 지역은 3.7천원 하고 어떤지역은 5천원이 제일 저렴한 계란한판이에요, 한달 임금 150만원 이하인 직장인 여성이 물가 비싼 동네 살면 뼈빠져요...

    그리고, 그런 지역에 임대주택 들어오는거... 자본주의 원칙에 옳지 않다 보고요

  • 12. 대체
    '17.10.12 1:22 PM (218.55.xxx.126)

    대체 왜 서울 내 봉천동, 신림동 이런 지역들에 원룸 건물들이 들어서고 1인가구들이 산다 생각하시는지 모르겠네요... 그만한 인프라가 조성되어있어서 물가가 저렴해서 주요 직장지역인 강남등의 접근성이 좋아서에요.. 잠실 엘스 하나에 10억이 넘어가는데 임대주택 짓는다? 웃기는소리..

  • 13. 그런데
    '17.10.12 1:43 PM (218.234.xxx.114)

    여자를 남자가 보호해야 하는 열등한 존재로 보는 가부장적 시각의 정책이네요.
    이런 정책들이 버젓이 시행되니 성평등지수가 아랍권이죠.

  • 14. ....
    '17.10.12 2:03 PM (115.140.xxx.195)

    지난 대선 기간 중 범여성계 연대기구에서 모든 후보에게 요구한
    성평등정책 중 하나인 걸로 압니다.
    호주제 폐지 등에 앞장섰던 범여성계 연대기구가 가부장적 시각을 가졌다고 하진 않으실테고요..

  • 15. 그리고
    '17.10.12 2:15 PM (115.140.xxx.195)

    잠실 인근으로 직장 다니면서 봉천동,신림동에 사는 1인 가구 찾아다니면서 한번 물어보십시오.
    집값만 해결되면 직장 근처 잠실,강남 인근에 살지
    전철 내려서 마을 버스 타고 들어가는 타 지역에 살지요.
    겨우 40가구 임대주택 시범 운영도 못마땅하셔서 10억 집값 언급이신데, 자본주의는 탐욕이 아닙니다.
    보다 저렴한 집값, 땅값 지역으로 임대주택 다 몰아내거나 거부하면서 같이 살 수 없어요.
    잠실이 10억이라 안되면 또 다른 지역은 여긴 5억이라 안되니 2억 집값 형성된 곳으로 가라 하겠죠.
    이윤의 논리로만 생각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 16. 그런데
    '17.10.12 2:34 PM (218.234.xxx.114)

    ..../
    이 정책은 여성에게 혜택을 주는 정책이지, 성평등정책은 아니죠.
    그리고 여성에게 특별한 혜택을 주는 이유는 여성을 보호해야 하는 존재라고 전제하기 때문이죠.
    그러한 전제는 가부장적 시각에서나 나올 수 있는 것이고요.
    따라서 저런 정책을 주장했다면 당연히 성평등단체는 아닌 거죠.

  • 17. 정책 에러라고 봅니다
    '17.10.12 3:45 PM (119.149.xxx.117)

    여자지만, 저건 역차별이죠.
    더군다나 잠실에 40.가구 지을 돈이면 좀더 저렴한 동네에 200가구 짓는게 복지이지, 저건 40가구 로또 잖아요.
    보여주기식 정책의 전형이죠.

  • 18. 보통
    '17.10.12 3:53 PM (219.240.xxx.218)

    여성평균임금이 남성평균임금보다 많이 낮아요. 주택지원도 그래서 여성 취약계층에 주는 비율이 높은거구요.

  • 19. ??
    '17.10.12 4:04 PM (218.55.xxx.126)

    그러니까, 왜 대체 수요가 넘치고 넘쳐서 과포화는 물론 집값이 천정부지로 상승하는 지역에 임대주택을 공급하냐는 말입니다. 그것도 저소득, 취약 계층 대상 주택을 말이죠,

    현재 해당 지역에 거주 연고 등이 있는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과는 달라요, 전형적인 포퓰리즘이죠, 탐욕이라? 형평과 원칙에 맞지 않아요!

    소득이 많지 않다는 이유로, 여성이란 이유로, 싱글 맘이라는 이유로 ... 기타 등등 취약계층이라는 이름으로 뭉뚱그려서 지칭하는 그룹을 대상으로 나랏돈으로 저런 파격적인 대우를 해주는 이유가 뭐냐는 말입니다. 누가 이 정책에 공감하는데요? 그 합리성과 당위성이 대체 뭐냐고요? 소득 턱걸이 기준에 1,2만원 초과되면 컷오프일텐데, 이런 이들은 어찌 지원 해 줄건가요?

  • 20. ??
    '17.10.12 4:05 PM (218.55.xxx.126) - 삭제된댓글

    이런 인기 영합 정책이 복지의 탈을 쓰고 횡행하니 임대 거주민들에 대한 차별이 생기죠...

  • 21. ??
    '17.10.12 4:07 PM (218.55.xxx.126) - 삭제된댓글

    대체 이런 정책이 우리나라.. 그것도 서울 내 강남 3구에 적용함이 옳은가요? , MB시절에 강남에 보금자리 주택을 왜 지어주는데요? 그게 대체 서민을 위한 정책이기는 했나요? 과포화지역은 시장논리에 맡겨야죠,

  • 22. ??
    '17.10.12 4:07 PM (218.55.xxx.126)

    이런 인기 영합 정책이 복지의 탈을 쓰고 횡행하니 임대 거주민들에 대한 차별이 생기죠...

    대체 이런 정책이 우리나라.. 그것도 서울 내 강남 3구에 적용함이 옳은가요? , MB시절에 강남에 보금자리 주택
    을 왜 지어주는데요? 그게 대체 서민을 위한 정책이기는 했나요? 과포화지역은 시장논리에 맡겨야죠,

  • 23. ..
    '17.10.12 4:30 PM (1.240.xxx.89)

    이거 비꼬는거죠?

    제발 남여 성차별 좀 만들지 마세요

  • 24. .....
    '17.10.12 5:57 PM (115.140.xxx.195)

    과포화지역 시장논리에만 맡기면 서울에선 임대주택 못짓습니다.
    모든 서울지역 임대주택은 경기도 외곽으로 나가라고 하시던가요.
    아울러 시장이 만능이 아닙니다.
    그리고 보금자리와 임대주택은 엄연히 다르죠.

    강남과 잠실에도 임대주택 거주가 필요한 사람들이 있죠. 인근에 직장이 있을 수도 있고요.
    강남에 땅값이 비싸니 그들은 모두 외곽 임대주택에서 거주해야 합니까? 설마 저소득층 주제에 강남 인근 직장에 다닐 리가 없다고 생각하시는건 아니겠죠.

    평등은요 한편으로는
    1미터 50센티 벽 앞에 서 있는 두 사람(한 사람은 키가 2미터, 한 사람은 키가 1미터)이 벽 너머를 보도록 하기 위해서는 키가 1미터인 사람에게 벽 너머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발판을 놓아주는게 일이 필요합니다.
    파격적인 대우가 아니라 발판 같은 겁니다.
    선택적 복지인 이유로 소득 1,2만원에 자격 여부가 달라지긴 하겠죠.
    그래서 가능하다면 대상을 점점 확대해나갔으면 하고요,

    그리고 성차별 말씀하시는 분이 계셔서, 우리 사회의 노동,경제적 측면에서 가장 취약 계층이
    현재 저소득 여성인 걸로 압니다. 남녀의 문제로 바라보지 않으셨음 해요. 자료를 올릴 수 있으면 좋은데
    제가 갖고 있는 자료도 있거든요. 어쨌든 댓글 감사했습니다.

  • 25. 평등은요..
    '17.10.12 7:21 PM (39.7.xxx.111)

    문정부 들어서며 줄곧 외쳐온 공평과 평등이란 한정된 재화를 구성원들 모두에게 동일하게 분배하자는 것이 아니라 공평한 자격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정된 재화를 특정한 누군가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는거에요.. 고작 40가구 지원이라고는 하지만 엠비시절의 보굼자리 정책과 마찬가지로 핵심 지역에 공굽한다는 것으로 누군가에게는 정부재원으로 혜택을 주고 경제적인 이득을 제공하며 선전의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전 재차 왜 그런 과열 투기 지역에 제공해야하는지?? 재차 재차 반문하고 싶네요..

  • 26. 앞서도
    '17.10.12 7:24 PM (39.7.xxx.111)

    앞서도 이야기 했지만 입주하고 싶은 사람은 저 정책의 대상 말고도 많습니다... 모두를 만족할 수 없다면 최대의 대상에게 만족을 제공해주는게 선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44604 초등아이교육 언제까지 잡고 시키셨어요? 13 학군이문제인.. 2017/10/31 2,254
744603 예전에 만난 서울대 나온 상사는 4 ㅇㅇ 2017/10/31 2,721
744602 예비대학생 패딩 7 아들거~ 2017/10/31 1,259
744601 모피코트 입은 사람보면 어떤생각드세요? 81 질문 2017/10/31 7,100
744600 포도즙 다이어트 하시는분들! 3 포도즙 2017/10/31 2,509
744599 유치원보내는아이 내복입히나요? 2 모모 2017/10/31 757
744598 사제 씽크대 vs브랜드씽크대 8 고민녀 2017/10/31 4,158
744597 김주혁씨 운전하는데 계속 생각나더라구요 4 ㅠㅠ 2017/10/31 1,376
744596 어선 납북 몰랐다던 청와대, 결국 거짓말 26 뭐죠 2017/10/31 3,145
744595 유리없이 테이블보 사용할수 있을까요? 7 빨래? 2017/10/31 903
744594 그래도 홍초가 시중 주스보다 훨씬 낫겠죠? 몸에요... 7 자기위안 2017/10/31 1,412
744593 홍종학씨 관련 문재인 대통령님이 국민에게 던진 세가지 화두 1 핵심정리 2017/10/31 486
744592 국정원 특수활동비가 문제네요 ㅇㅇ 2017/10/31 256
744591 김안과 추천 선생님 계신가요? 3 안과 2017/10/31 2,109
744590 파마머리 망했어요 6 파마 2017/10/31 2,102
744589 청첩장에요. 돌아가신 아버지 이름은 적는게 맞는건가요? 18 ... 2017/10/31 13,313
744588 34평형 아파트는 아이가 둘일때 가구배치를 어떻게 하나요? 2 2017/10/31 1,287
744587 송중기 멋있는거 모르겠는데..인기가 상당하군요. 8 .. 2017/10/31 2,937
744586 김주혁 죽음 너무 허망해요 4 허망하네 2017/10/31 2,437
744585 40대 실직 가장 방법 없을까요 ㅜㅜ 14 하하호호 2017/10/31 11,528
744584 의식이 없어도 가속패달을 누를 수 있나요? 12 걱정 2017/10/31 4,443
744583 삼각김밥..속 재료,집에 있는건 단무지,샌드위치 햄,계란,냉동식.. 1 2017/10/31 1,155
744582 전세금 올리고 연장하는데요. 집주인 대출금상환시요. 1 부탁드려요... 2017/10/31 724
744581 11월 중순에 크로아티아행. 의복은? 5 ... 2017/10/31 774
744580 가산디지털 아울렛몰들 근처 수건전문점도 있나요 1 가산디지털 2017/10/31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