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과 연산 공부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 연산 조회수 : 3,918
작성일 : 2017-09-07 05:30:01

게시판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연산에 대해서 학모님들이 노력하시는 많은 글을 보았습니다.


초등학교 수학과는 구체물-반구체물을 거쳐서 추상적으로 개념이 생기는 것입니다.

어머니들도 이 과정을 거쳐서 현재의 수개념이 생겼습니다.

어머니들은 지금까지 계산했기 때문에 수월합니다만, 학생들은 아주 많이 어려워합니다.

제가 알고 있는 효과적인 연산 방법 지도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수학 연산의 기초는 수개념 형성과 받아올림과 받아내림 규칙을 아는 것입니다.

ㅇ수개념 : 수개념은 일상생활 주변의 물건들을 손으로 만지면서 입으로 헤아리고, 머리 속에 수개념이 정착됩니다. 연필쥐고 계산만 하는 것은 잠시일 뿐입니다.

 1. 구체물을 이용한 수개념 형성 :  학교에서 저학년 준비물에 바둑돌이 있습니다. 바둑돌을 가지고 놀면서 수를 알게 되고, 스티커도 좋은 학습도구입니다. 스티커를 떼서 종이에 붙이면서 수개념이 형성됩니다.

 2. 반구체물을 이용한 수개념 형성 : 백지에 ///을 긋든지, ㅇ를 숫자만큼 그리게 합니다.

 3. 1. 2 학습이 잘되면  머리속으로 구체물과 반구체물을 그려가면서 문제를 해결하게 됩니다.

(학생들이 문제를 풀 때 빈공간에 ㅇ 혹은 / 을 하더라도 잘한다고 칭찬하십시오. 이 과정을 거치면 머리로 암산하게 됩니다. 또한 문제를 잘 풀지 못하고 생각하는 학생이 있으면 빈공간에 ㅇ. / 을 그려가면서 문제를 해결하라고 힌트주십시오. )


ㅇ연산 규칙 알기

 1. 받아올림 : 학교에서 사용하는 수가지로 학습을 하다가 10개가 넘어가면서 수가 커지면 헤아리기가 점점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 때 수가지가 10개가 되면 한묶음을 만들어서 1보다 10이 더 큰수라는 것을 저절로 알게 합니다.

 -공부할 때 꼭 수가지를 가지고 하되, 묶음을 만들 때 느리지만 학생이 묶도록 해야합니다. 묶으면서 '묶음'이라는 개념이 형성되고 , 받아올림을 알게 됩니다.

2. 받아내림 : 받아올림에서 묶음을 알게 되었으니 12-6을 빼려면 2에서 6을 뺄 수 없으니 10묶음을 이용해서 6을 뺀다는 것을 알게 합니다. 10묶음에서 6을 빼려면 10묶음이 2의 자리에 와야한다.(연산 방법에서 받아내림 10을 일의 자리수 위에 쓰는 개념 형성입니다.)

  그러면 1묶음이 낱개 10이 되니까 여기서 6을 빼니까 4가 된다. 4학고 일의 자리수 2를 더하면 차는 6이 된다. 


ㅇ곱셈 기초 개념

 1. 곱셈을 처음 지도할 때는 바둑돌로 하면 좋습니다.

    바둑돌을   ㅇㅇ     ㅇㅇ     ㅇㅇ       ㅇㅇ  이렇게 놓고

   

    더하기를 하라고 하면 2 2 2 2=8이 됩니다.

    이때 2를 4번 더하는 것보다 2*4= 8이 된다는 것을 지도하면 됩니다.

 

현직에서 나온지 몇년이 지나 구태의연한 방법이기도 하지만 진리는 영원합니다.

초등학생 수학은 반드시 구체물 - 반구체물을 거쳐서 지도하시고

저 역시 초등학교 때 수학이 아주 어려웠습니다. 매일 엄마가 가르쳐 주셨지만 늘...어려웠습니다.


자제분들이 답답하겠지만 늘 칭찬으로 격려하면 학생은 시간이 지나면 아~~주 잘 할 것입니다.

IP : 118.45.xxx.4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7.9.7 6:10 AM (1.243.xxx.193)

    초3도 구체물로 하면 좀 나아질까요?
    놀기 좋아하는 녀석이라 그냥 뒀더니....ㅠㅠ
    곱셈은 줄줄 외우긴 하는데 한씩 물어보면 몇개가 버벅대는 수준입니다.
    2자리 2자리 곱셈을 계속 틀리네요... 이건 한자리수 올림있는 곱셈을 좀 하면 좋아질까요?
    좀 알려주세요 ~ 감사합니다.

  • 2. aaa
    '17.9.7 7:29 AM (121.165.xxx.133)

    아이들이 2학년이라 말씀 해주신 것들 100%적용 가능해요^^
    쌍둥이인데 한녀석이 아직도 덧셈을 암산못하고 책에 적어가며 해서 걱정했는데 놔둬도 되는군요...
    고맙습니다

  • 3. ..
    '17.9.7 7:52 AM (221.160.xxx.244)

    아이 등교시키고 자세히 읽을께요

  • 4. ㅡㅡ
    '17.9.7 7:59 AM (114.200.xxx.80)

    Oldies, but goodies 네요
    고맙습니다~

  • 5. ...
    '17.9.7 9:25 AM (211.204.xxx.114)

    초등저학년 수학공부 방법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바둑알을 구입해서 놀이식으로 해야겠네요.~

  • 6. 그럼에도
    '17.9.7 10:08 AM (211.36.xxx.26)

    늘 12-6을 손가락 꼽아가며 11.10.9.8..이렇게 해요
    바둑알이나 블럭을 가지고서도
    12에서 거꾸로 하나씩 빼는 방법을 하는 아이에게는
    어떤 연습을 시키는게 좋을까요??

  • 7. Aries
    '17.9.7 10:12 AM (210.218.xxx.15)

    3학년 아이 구구단에서 막히니 곱셈을 힘들어 하네요..(당연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작년에는 곧잘 하는것 같더니 3학년 2학기 들어서 본격적인 곱셈 연산이 나오니 힘들어하네요.
    곱셈 끝나면 나눗셈이 나오던데 구구단을 모르면 계속 힘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네요.
    어제는 구구단의 원리에 대해서 그림을 그려가면서 설명해주었는데요..어떻게 지도를 해야 힘들어하지 않고 구구단과 곱셈을 잘 할까요?

  • 8. ....
    '17.9.7 11:21 AM (121.124.xxx.53)

    윗님.. 저 둘째 2학년인데 네이버쥬니버에 구구단송 좀 재밌게 나온거 있어요,
    제아이도 너무 하기 싫어해서 일반적인 노래로 하다가 그걸로 다시 도전중인데 한번 디밀어보세요.
    관심갖고 지가 먼저 좋아서 보네요.

    진짜 구구단에서 막히면 곱셈 나눗셈 다 힘들어요.
    이것저것 좀 다르게 해보세요.

  • 9. 저장
    '17.9.7 12:20 PM (115.139.xxx.184)

    감사합니다

  • 10. Aries
    '17.9.7 1:46 PM (210.218.xxx.15)

    네이버 쥬니버요..당장 들어가봐야겠네요..감사합니다.^^

  • 11. Aries
    '17.9.7 1:47 PM (210.218.xxx.15)

    오타네요...쥬니어..수정이 안되네요..암튼 감사하니다.^^

  • 12. 원글
    '17.9.9 11:11 AM (118.45.xxx.12)

    집안 일로 오늘에서야 82에 올 수 있었습니다.
    수학을 집에서 지도하실 때 가장 좋은 방법은 교과서에 있는 설명과 그림을 보면 어떻게 가르치면 되는지 답이 나옵니다. 또 어떤 식으로 많이 틀리는지도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제가 아는대로 답변드려보겠습니다.

    ㅇ1.243님 : 초3은 999까지 나오므로 덧,뺄셈은 수타일(10*10=100)을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두자리수*두자리수 어떤 오류인지 궁금합니다. 시간이 갈수록 머리 속의 것들은 사라져가네요. 30분간 옛날 기억을 더듬어 오류 경향을 찾았는데 찾지 못했습니다. 여유 시간이 될 때 찾아서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과 어쩌구--하는 제목으로 다시 한번 글을 올리겠습니다.

    ㅇ121.165님 : 책에 적어가면서 하는 것은 암산의 전단계이니...아주 잘 하고 있습니다. 크게 칭찬해주셔요.^^

    ㅇ211.204님 : 1학년 1학기는 바둑돌, 1학년 2학기부터 2학년 1학기까지는 수가지가 교육과정에 맞습니다. 간단한 덧셈이나 뺄셈은 바둑돌도 좋습니다. 바둑돌이 익숙해지면 수가지로 교체하시면 받아올림, 내림을 쉽게 지도하실 수 있습니다.

    ㅇ211.36 님
    -수학과 연산 해결 방법 중에서 손가락을 이용하는 것은 별로...라고 배웠습니다. 더 큰 수가 나오면 손가락을 사용하지 못하니 20가까운 수를 제시해서 바둑돌이나 수가지로(즉 구체물) 옮기심이 더 좋을 듯 합니다.
    -받아내림에 대한 개념을 보충하면 좋을 듯 합니다.(받아내림은 받아올림이 이해되어야 합니다.)

    ㅇ210.218 님 : 곱셈과 나눗셈의 가장 기본이 구구단입니다. 구구단은 2단부터 9단까지 순차적으로 외운 후 5*7, 6*3 등 곱셈구구를 질문하면 바로 답할 수 있어야 곱셈을 해결할 수 있으며, 곱셈이 정착되어야 나눗셈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나눗셈은 많은 학생들이 언제나 많이 어려워했던 기억이 납니다.
    나눗셈은 덜어내기 식으로 지도하면서 몇 개를 몇 번 덜어냈으니 얼마*얼마= 얼마...이런 식으로 지도하면 어떨까요?

    이렇게 오셔서 고민하시는 학부모님~~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 13. 둥둥
    '17.11.5 11:03 PM (112.161.xxx.186)

    수학 연산..감사합니다
    저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3541 헤어진 여친 골프채로 폭행한 60대, 시민들이 제압 8 ... 2017/09/25 3,781
733540 직원 추석 선물 : 머루 포도 한상자씩 15 .... 2017/09/25 2,991
733539 등산화 구매시 사이즈요! 10 등산화 2017/09/25 1,830
733538 친언니가 갑자기 쓰러졌어요. 뇌출혈이 무서운 병인가요? 83 ..... 2017/09/25 27,635
733537 아랫배가 뻐근하고 아파요.. 이런 증상 어디로??? 6 아랫배 2017/09/25 3,354
733536 엘지 티비 65인치 22 아싸라비아 2017/09/25 5,153
733535 변비땜에 조퇴해요 10 ... 2017/09/25 1,960
733534 노무현 대통령 홈피에 글올리면 국정원이 '비방 대응작전 6 이게 예우냐.. 2017/09/25 642
733533 목동 창영떡집 없어졌나봐요 1 헛걸음 2017/09/25 1,277
733532 꽤나 유명하다던 점집..나에겐 하나도 못 맞췄던 점집.. 13 점쟁이 관련.. 2017/09/25 6,242
733531 세상에 멋진 남자는 많네요 6 ... 2017/09/25 4,177
733530 연차 2 가랑잎 2017/09/25 549
733529 (컴앞 대기) 토요일 종각 부근에 계셨던 분들 봐주세요 3 종각 앞 사.. 2017/09/25 834
733528 모니터가 넙덕해졌어요 1 ah 2017/09/25 429
733527 자기 치부를 너무 세세히 털어놓는 지인은 왜그럴까요? 66 ... 2017/09/25 18,415
733526 (그알) 박그네의 대선 토론 홈런 5 richwo.. 2017/09/25 1,368
733525 "자주국방 위해 국방·과학기술 R&D 연계해야&.. 샬랄라 2017/09/25 237
733524 미주권대학내 학교 수업에세이 첨삭 선배가 봐주는 3 대학교 2017/09/25 570
733523 수학과외 8 .. 2017/09/25 1,569
733522 매번 맘에 안드는 선물 주는 시누이 16 선물 2017/09/25 4,920
733521 폴로옷매장에 가면 항상 향기가 나는데요 2 향기 2017/09/25 2,291
733520 시장에서 생선사세요?? 6 2017/09/25 1,525
733519 몸이 찬데 칡즙 먹으면 큰일날까요 1 ㄷㄷ 2017/09/25 937
733518 퀸즈헤나와 마마님헤나중 어떤걸사야할까요 6 2k 2017/09/25 2,090
733517 다섯살된 아들이 인사를 안해요 27 참 안좋아요.. 2017/09/25 3,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