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느고등학생의 공범자들 후기ㅜ

최승호피디페북 조회수 : 3,389
작성일 : 2017-08-29 21:54:18
공범자들 시사회에 학생들이 끼리 끼리 오기도 합니다. 한 학생은 악수를 청하더니 '공부를 할 의미, 인생을 열심히 살아야 할 이유를 가르쳐주셔서 고맙다'고 했습니다. 아이들은 에서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것들을 보는 모양입니다. 영화에 표현된 이용마 기자나 김민식 피디의 삶이 감수성 예민한 친구들에게 의미있게 다가가는 것 같습니다.

한 고등학생의 에 대한 후기를 공유합니다.

2017. 08. 23.
영화 ‘공범자들’ 감상문
< 얼굴을 감싸고 >

1. 눈물
영화는 물론 엔딩 크레딧까지 막을 내렸지만, 나는 아무도 없는 영화관에서 직원 두 명이 들어올 때까지 자리를 떠날 수 없었다. 얼굴을 감싸고 영화관 시트에 등을 기대어 계속 울었다. 지금껏 본 영화 중 가장 많은 눈물을 흘린 영화였다. 콧물이 너무 많이 흘러서 영화가 끝난 후에는 화장실까지 얼굴을 들고 갈 수 없었다. 화장실에서 세수하며 눈물, 콧물을 닦았다. 흘린 양만큼 오래 씻어내야 했다. 감정을 추스르려 했지만 쉽지 않았다. 얼굴을 들어 거울을 봤는데 징그러울 만큼 눈이 붓고 충혈되어 있었다. 내가 영화를 보며 눈과 코를 통해 쏟아낸 것은 어쩌면 ‘피’일지도 몰랐다. 영화 속 언론인들의 역경이 스크린을 뚫고 화살처럼 내게 꽂혔기에 그럴 만도 했다. 그 피 속 성분은 단순한 슬픔 따위가 아니었다. 슬픔, 분노, 절망, 희망, 감동, 동정, 의지 등 수많은 감정이 다닥다닥 엮여 있었다. 그래서 뺨을 타고 흐르는 피가 용암처럼 뜨거웠던 것인지도 몰랐다.

2. 또라이
영화 속 김민식 PD는 “김장겸은 물러나라!”고 외치는 페이스북 라이브 첫 방송을 켰다. 방송이 끝난 후 그의 아내가 그에게 “이걸 당신만 하고 이후에 아무도 안 하면 당신은 그냥 또라이야. 또라이에서 끝나는 거야.”라고 말했다고 한다. 사실이었다. 정확한 표현이었다. 한 대 얻어맞은 것 같았다. ‘또라이’라는 표현을 부정하고 싶었지만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나도 그런 경험이 있었다. 또라이가 된 기분을 잘 알았다. 학생회 활동 경험이 떠올랐다. 그래, 나도 가끔 또라이였다. 어쩌면 꽤 자주.
김민식 PD와의 인터뷰 후 다음 장면은 MBC 로비에서 수많은 노조 조합원들이 각자 자신의 휴대폰을 꺼내 페이스북 라이브를 켜고 “김장겸은 물러나라”를 외치는 장면이다. 106분을 통틀어 가장 감동적인 장면이었다. 결과적으로 김민식 PD는 또라이가 아니었다. 나 또한 가끔은 또라이가 아니었다. 주변에 함께하는 친구들이 있었기에. 어쩌면 꽤 자주.

3. 잊고 있던 것
세월호참사 관련 장면이 나오자 가슴 깊은 곳을 찔리는 듯했다. 감정이 많이 북받쳤다. 수많은 언론의 오보, 그것이 아니었다면 단 한명이라도 더 살아남지 않았을까. 침몰하는 배를 보고만 있어야 하는 부모의 아픔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지 않았을까. 영화에서 한 언론인이 말했던 것처럼, 사람의 생명에는 좌우가 없다. 나도 모르게 잊어가는 세월호의 기억을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었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을 다시금 보여주고 들려주는 것. 이것이 진정한 언론의 역할은 아닐까.

4. 지켜야 할 것과 바꿔야 할 것
뉴스타파를 후원해야 한다. 어떤 방식으로든 그들을 도와야 한다. 영화를 본 후 내게 생긴 의무이다. 우선 관심을 가지는 것부터 시작하자. 반면 고대영(KBS사장)과 김장겸(MBC사장)을 보라. 정권에 빌붙어 방송을 망쳐온 사람들이 아직도 공영방송을 장악하고 있다. 개혁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제대로 된 과거청산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를 나는 현대 정치판에서 지켜봐 왔다.
영화 나레이션 중 “‘언론이 질문을 못 하면 나라가 망해요’. 결국, 나라는 망했다.”라는 부분이 있다. 나는 떠올렸다. 학교도 마찬가지라고. 뿐만 아니라 어디서든 마찬가지이다. 학생과 학교, 노동자와 고용주, 자식과 부모 간의 관계 등에서 약자가 강자에게 말 못 하는 세상, 즉 소통 단절의 강자 독식 구조 체계에서는 어떤 것이든 정상을 지속할 수 없다.

5. 다짐
그래. 이게 세상이고 현실이다. 정확히 인식하고 직시해야 한다. 암울한 현실 속, 나는 더더욱 가만히 있을 수 없다. 내가 생각하는 사회 정의를 위해 끊임없이 행동해야 한다. 암에 걸려 시골에서 투병 중인 MBC 해직 언론인 이용마 기자는 말했다. “그동안의 투쟁으로 인해 10년의 청춘과 인생은 다 날아갔지만, 적어도 그 기간에 우린 침묵하지 않았다”고. 나 또한 절대 침묵할 수 없다.
마지막 엔딩 크레딧에서는 각종 징계를 받은 수많은 언론인의 이름이 연도별로 나뉘어 나열된다. 그들은 언론인이기 전에 누군가의 가족일 것이다. 또한, 그전에 사람이다.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의 이름인데도 하나하나 보고 있자니 또 울음이 터졌다. 그들이 겪었을 고통은 감히 상상할 수조차 없다. 영화가 나왔다는 것. 어쨌거나 그들은 포기하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6. 배움
영화를 통해 참 많이 배웠다. 일을 추진할 때마다 고민이었던 홍보 전략이나 상황에 대처하는 지혜, 절대 포기하지 않는 끈기가 내게는 에어컨 바람처럼 날카롭게, 또는 시원하게 다가왔다. 학교에서는 절대 가르쳐 주지 않는 ‘제대로 저항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좀 더 조직적, 체계적, 구체적으로. 앞으로 써먹을 일이 많을 것 같다. 그들이 했던 것처럼. 아니, 그들을 넘을 수 있도록.

7. 영화 ‘공범자들’
얼마 전에 본 영화 ‘택시운전사’가 떠올랐다. 내게 ‘택시운전사’는 의미 있는 영화, 봐야 할 영화였지만 기대가 컸던 탓인지 예상했던 무언가를 뛰어넘지는 못했다. 예상했던 ‘딱 거기까지’였다. 반면 이번 ‘공범자들’은 내게 아주 큰 영향을 끼쳤다. 줄곧 영화에 몰입하여 함께 울고 웃고 분노했으며 때론 좌절했다. 내가 갈망하던 ‘딱 그런 영화’였다. 영화는 재미와 스릴도 담고 있었다. 집요한 취재 본능으로 그야말로 ‘공범자들’과 스릴 넘치는 추격전을 벌이는 장면이나, 그들의 추악한 실체를 마주할 때면 어이없는 웃음이 나왔다. 영화 중후반쯤이었나. ‘이 영화는 다시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럴 만한 가치가 있었다. 영화의 내용을 잊어서는 안 되었다. 두 번이고 세 번이고 수십 번이고 간에 반드시 다시 보리라 다짐했다. 나의 작은 관심이 그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되기를 바라며.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724270671097953&id=100005450804371

영화만큼 감동적인 후기네요.
그것도 고등학생이..
IP : 1.237.xxx.101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7.8.29 9:56 PM (1.237.xxx.101)

    이번주말 다시한번 더 보러가렵니다.

  • 2. 하..
    '17.8.29 10:05 PM (116.39.xxx.29)

    "내가 영화를 보며 눈과 코를 통해 쏟아낸 것은 어쩌면 ‘피’일지도 몰랐다"
    내일 보려고 예매했는데 이 글이 벌써 심장을 두드리네요ㅜㅜ.

  • 3. ㅠㅠ
    '17.8.29 10:08 PM (39.7.xxx.116)

    눈물 나요. 2012년 mbc 파업만 생각하면 피꺼솟인데
    저 학생이 그걸 아네요. 눈물이 곧 피라는 걸

  • 4. T
    '17.8.29 10:18 PM (220.72.xxx.85) - 삭제된댓글

    택시운전사는 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해서인지 담담하게 잘봤어요.
    이 어려운 소재로 천만이 넘는 관객을 모은 장훈감독이 고맙지만 영화로서는 잘만들어진 영화는 아닌것 같다는 생각을 했구요.
    공범자들은 아무 기대없이 봤다가 너무 울었어요.
    김민식pd의 또라이 발언과 이용마기자의 침묵하지 않았다라는 발언에 고개를 못들고 울기만했어요.
    현실이여서 더 영화같은 진짜 영화같은 영화였네요.

  • 5. 40대
    '17.8.29 10:31 PM (124.50.xxx.91)

    참고 참다가 울음이 폭발했던 건 이용마기자였습니다.

    MBC뉴스 이용마입니다..

    아나운서도 아니고
    사람이름 정말 기억 못하는 내가

    이분은 이름이 특이해서인지
    아니면 이분이 mbc가 마봉춘일때 내가 봤던 프로에서 자주 나와서인지
    잊혀지지않고 기억이나네요.

    울음이 설마 나려나 하고 핸드폰과 카드만 들고 갔다가
    손으로 계속 눈물 닦았어요.

    이용마 기자님 오래오래 함께해요

  • 6. 저도
    '17.8.30 12:21 AM (223.62.xxx.181) - 삭제된댓글

    보는 내내 눈물이 멈추지 않았어요
    그들이 먼저 십년전에 촛불을 들었던건데
    왜 나는 그걸 이제 알았을까... 나의 무지에 무관심에 미안하고 창피했습니다
    미약하나마 후원금을 커피값많큼 더 보태려구요

  • 7. 후기
    '17.8.30 7:20 AM (211.49.xxx.219)

    생각이 깊은 학생이네요
    저도 영화 봤지만 이렇게 일목요연하게
    그리고 감동적으로 감상평을 쓰다니 평소에 생각을 많이 하는 학생인가 보네요 영화감상평 저체가 감동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9272 수시 면접일이 중복되면 한 곳 포기가 맞나요? 7 불어라 남풍.. 2017/09/12 1,574
729271 문재인 우표 관련 문자 왔어요 ㅎㅎㅎ 16 ㅎㅎㅎ 2017/09/12 1,485
729270 240번 버스사건? 7 어용 2017/09/12 2,282
729269 40후반 이젠 쇼핑몰가는거 별로죠 4 999 2017/09/12 2,788
729268 강아지한테 눈약 넣기 넘 힘드네요~~ 11 애휴 2017/09/12 1,404
729267 고향떠나기 1 고향버리기 2017/09/12 454
729266 양정아 정말 이쁘고 부럽네요 12 언니가 살아.. 2017/09/12 5,606
729265 아르곤 너무 재밌어요! 13 드라마 2017/09/12 2,341
729264 노안 안경 문제. 저 같은 분들 계세요~ 8 . 2017/09/12 1,775
729263 섬유유연제 냄새 진동하는거 4 ... 2017/09/12 2,093
729262 시숙모께 시어머니 뒷담화해버렸어요. 11 맹추같이 2017/09/12 4,061
729261 생딸기 백화점 가면 있을까요? 9 2017/09/12 1,031
729260 김애란 작가 문장이 넘 좋아요. 15 .. 2017/09/12 2,665
729259 환상의짝궁이 왜없어졌나 했더니 국정원짓 ㅇㅇ 2017/09/12 1,105
729258 광운대 공대는 전망이 어떤가요 16 ㅇㅇ 2017/09/12 5,551
729257 저층 아파트 답답해요. 20 .. 2017/09/12 5,317
729256 이낙연총리님 왤케멋진가요?? 16 낙연짱 2017/09/12 3,104
729255 눈빛이나 행동으로만이라도 상대가 나를 좋아하는지 알수있을까요? 10 .. 2017/09/12 4,673
729254 집값오르면 돈 버는게 아니고 집없는 사람이 손해보는 거예요 6 나99 2017/09/12 2,830
729253 정의당 “김이수 부결, 민주당 가장 큰 책임” 72 무능한 민주.. 2017/09/12 2,572
729252 MB때 박미선도 블랙리스트였네요..이유가 뭔지.. 6 블랙리스트 2017/09/12 3,245
729251 직업속인 남자 다들 헤어지시겠지요? 37 ㅇㅇ 2017/09/12 9,632
729250 시어머니가 싫어요.. 7 .... 2017/09/12 3,667
729249 여자가 성폭행 당하는데 한시간을 경찰들이 방관하고 체포했데요 ㅋ.. 15 ㅋㅋㅋ 2017/09/12 6,644
729248 냉동 닭가슴살로 닭볶음탕 하려면? 2 날아라 병아.. 2017/09/12 1,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