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술사학과 전공하신 분 혹은 학예사 선생님

혹시 조회수 : 8,593
작성일 : 2017-08-29 19:21:25
혹시 미술사학과 관련된 과 나오신 분 계신가요
서울대는 고고미술사학과로 알고 있고 서양미술사학 이런 거는 주로 대학원인가요.
학예사가 되기 위해선 홍대 미술사학이나 서울대 미술사학과 대학원 전공이 절대 유리한가요.
학부로는 미술사학은 거의 없나요.
IP : 39.7.xxx.110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학부에
    '17.8.29 7:26 PM (121.130.xxx.60)

    미술사학과가 설치된 과가 거의 없잖아요
    거의 미대고 미술사학을 하려면 서울대 고고미술사학이 유일해요
    여기 전공못하면 주로 대학원에서 하더군요 서울대나 홍대만 인정받죠

  • 2. ㅇㅇ
    '17.8.29 7:29 PM (110.70.xxx.211) - 삭제된댓글

    원글님께 죄송하지만 저도 묻어서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미술 전공 안하면 미술사학 석사 과정 들어가기 많이 어려울까요?
    들어간다 해도 수업 따라가기가 어렵겠죠?

  • 3. 하늘에서내리는
    '17.8.29 7:42 PM (122.34.xxx.207) - 삭제된댓글

    서울대 고미사는 고고학 미술사로 아시면 편합니다.
    전공이 분리되있는건 아니지만 배우는게 많이 달라요. 전공따라갑니다.
    학부 고미사는 고대 세종캠에 있습니다.
    학예사는 어디학예사를 말하는지요. 미술관? 아님 박물관이요?
    미술관 학예사는 홍대나 서울대 미술사나오고
    서양미술사면 서양으로, 동양미술사면 동양(아마도 중국이나 일본) 해당 학위(그리고 언어)가 필수입니다.
    해당 학위없는 사람은 학예사가 되기 어렵습니다. (있는 사람도 학예사 어렵긴 합니다)
    박물관쪽이면 고고학이나 (한국)미술사, 역사, 민속 등으로 전공을 하는데
    사실 정규직 학예사는 시험봐서 합격하는 공무원이고, 일반 연구원(계약직)은 위 전공 중 하나면 됩니다.
    학부에서 해당 전공안해도 석사 수료 정도면 연구원으로 취업가능합니다. (불안정하고 박봉입니다)

    아 그리고 학부에 미사를 찾으시는데 학예사는 기본이 석사, 많은 사람들이 박사수료 이상입니다.

  • 4. 수정했어요
    '17.8.29 7:43 PM (122.34.xxx.207)

    서울대 고미사는 고고학 미술사로 아시면 편합니다.
    전공이 분리되있는건 아니지만 배우는게 많이 달라요. 전공따라갑니다.
    학부 고미사는 고대 세종캠에 있습니다.
    학예사는 어디학예사를 말하는지요. 미술관? 아님 박물관이요?
    미술관 학예사는 홍대나 서울대 미술사나오고
    서양미술사면 서양으로, 동양미술사면 동양(아마도 중국이나 일본) 해당 학위(그리고 언어)가 필수입니다.
    해당 학위없는 사람은 학예사가 되기 어렵습니다. (있는 사람도 학예사 어렵긴 합니다)
    박물관쪽이면 고고학이나 (한국)미술사, 역사, 민속 등으로 전공을 하는데
    사실 정규직 학예사는 시험봐서 합격하는 공무원이고, 일반 연구원(계약직)은 위 전공 중 하나면 됩니다.
    학부에서 해당 전공안해도 석사 수료 정도면 연구원으로 취업가능합니다. (불안정하고 박봉입니다)

    아 그리고 학부에 미사를 찾으시는데 학예사는 기본이 석사, 많은 사람들이 박사수료 이상입니다.
    그리고 ㅇㅇ님, 미술전공 안해도 미술사 석사들어가기 쉬어요. 사실 미술전공은 예체능이고, 미술사는 인문학이라 많이 다릅니다. 미술사학은 그림그리는 학문이 아닙니다.

  • 5. 아.
    '17.8.29 7:54 PM (221.148.xxx.8)

    제가 아는 분은 동양언어 (어딘지는 밝히기가) 전공하시고 홍대 마술사학 대학원 나오셨다는 걸 보니 이게 나름의 코스인가 보군요.
    박물관 학예사라면 역사학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미술사 역사 민속학 이런식으로 가는 코스도 있는 건가요.

  • 6. 전공자
    '17.8.29 7:58 PM (39.7.xxx.116)

    고고미술사학과 학부에서 미술사를 공부하는 거예요.
    원래 다른 과가 되는 게 맞는데 한국에선 한 과에서
    고고학 전공 미술사 전공으로 같이 있습니다.
    실제로 고대로 올라갈수록 밀접한 관계가 있구요.

    학부에서부터 서양미술사 공부할 수 있어요.
    미술사에서 하위 전공분야로 서양 르네상스 회화사, 한국회화사, 불교조각사 등등으로 나뉘는 거죠.
    미술사학과 과목도 이런 식으로 나뉩니다.
    학과 홈피에서 커리큘럼 한번 보세요.

    그리고 미술 실기 상관없습니다.
    미술사는 원래 고전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어요.
    미대 출신들이 가끔 들어오긴 하고 그분들은 예술품을 보는 직관이 남다르긴 하더군요.
    하지만 미술사는 인문학이라 어학능력이 훨씬 중요합니다.
    문헌을 다루는 일도 많고 참고자료도 대부분 외국어니까요.

  • 7. ...
    '17.8.29 8:37 PM (121.175.xxx.68)

    미술관 학예사하고 싶으시면...
    서울대 미학과
    한예종 미술이론과
    홍대 예술학과
    보통 이렇게 원서 넣어요.
    다 학부과정이에요.

  • 8. ...
    '17.8.29 8:37 PM (58.228.xxx.149)

    학부에서 배우기로는 어학이 제일 중요하고 고고학, 사학, 미학, 예술, 공학(보존과학) 등 다양하더군요.
    서울대와 이대는 자체 박물관 사업도 있어서 학부생도 경험 쌓기로 참여할 수 있어요.
    미술사학도 동서양과 시대, 다루는 분야에 따라 유학갈 곳이 달라질듯요.(도자기 스페셜리스트와 현대미술 큐레이터 경우 생각해보세요)

  • 9. 질문에 충실
    '17.8.29 8:38 PM (61.72.xxx.67) - 삭제된댓글

    학예사가 되기 위해선 홍대 미술사학이나 서울대 미술사학과 대학원 전공이 절대 유리한가요?
    ----> 전혀~
    학부로는 미술사학은 거의 없나요?
    ----> 네~

    서양미술사학 이런 거는 주로 대학원인가요.?
    ----> 대학원 할애비를 나와도 취직할데가 없답니다..그나마 동양미술사를 해야 한답니다..

    옆에있는 전공자에게 질문해봤습니다..

  • 10.
    '17.8.29 8:43 PM (221.148.xxx.8)

    감사합니다.

    근데 제가 아는 학예사는 이 곳 판이 홍대 아님 서울대 양분인데 홍대가 사람이 더 많다 이런 얘기였는데 그것도 아닌가 보네요.

    일어나 중국어 사학 미학 예술 이쪽으로 몰아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11. ...
    '17.8.29 8:48 PM (121.175.xxx.68)

    예술쪽이나 글쓰는 쪽 모두 자기가 좋아서 하는 것이고
    힘들어도 열심히 해서 자기 자리 찾아가는 사람들도 많이 있어요.
    안정된 직업을 위해 전공할 과는 절대 아닙니다.
    근데... 그렇게 취직에 목숨걸고 대학가는 사람이나 자기 좋아하는 공부 하러 가는 사람이나 취직하기 어려운 세상인데 기왕이면 좋아하는 것 하는게 잘될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 12. 질문에 충실
    '17.8.29 8:51 PM (61.72.xxx.67) - 삭제된댓글

    원글님이 말하는 학예사랑 내가(옆에 전공자도) 일반적으로 학예사라 알고 있는 개념이 다른가보네요..
    사설 미술관 박물관은 모르겠고요..
    위에 댓글에도 있는 그런 학예사는 전혀 그렇지 않다합니다..
    굳이 어디가 많냐 한다면 성균관대 부산대가 많다더라하네요..
    성균관은 전공학과 없는데 왜그러냐니 그것만 시킨 선생님이 한분 계셨다네요..
    그리고 한자가 중요하니 성균관대로선 좀 관련이 있었던듯?
    일단 기본적으로 대학원은 나와야 한답니다..

  • 13.
    '17.8.29 8:54 PM (221.148.xxx.8)

    안정된 직업이라 생각하는 게 아니고
    아이가 이쪽 관련 공부를 하기를 원해요
    이미 책도 많이 읽었고 관련 글도 혼자 비공개된 블로그에지만 쓰고 있구요.
    현재 희망은 서울대 고미사 가는 거지만 혹 안 될 경우 대비해서 다른 과 가서 할 수 있는 방법을 최대한 찾고 있고
    아이가 대학원 박사까지는 넉넉히 밀어줄 준비는 되어 있습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일이라 생각하는 거지
    설마 학예사를 안정적일거다 생각해서 준비 시킬까요
    박근혜 때 국립중앙박물관장 자리도 서양보석전 안 해준다 해서 바로 밀려난 걸 알고 있는데
    얼마나 쉽게 이동되는 지 알고는 있습니다.

    저나 제 아이 마음 모르면서 이렇게 단정 짓고 댓글달지 마세요.

  • 14. 옆에서 본 사람
    '17.8.29 9:15 PM (110.11.xxx.137) - 삭제된댓글

    하지만 미술사는 인문학이라 어학능력이 훨씬 중요합니다.
    문헌을 다루는 일도 많고 참고자료도 대부분 외국어니까요.2222
    전공따라 중국어, 일어, 영어, 기타 서양어, 서양 고어....직.접. 읽어내야할 때도 있어요.
    특히 박사까지 계속할거라면.

  • 15.
    '17.8.29 9:19 PM (221.148.xxx.8)

    그래서 지금 일본어는 혼자 공부 중이고 중국어 쪽 전공으로 갈까도 고민 중이에요.
    일본어는 얼마전 남편 (애 아빠) 와 jlpt n1 시험 봐서 둘다 간신히 커트라인 넘겨 합격해 왔더라구요.
    외고 보낼 걸..

  • 16. 미술쪽은 모르겠고
    '17.8.29 9:21 PM (223.62.xxx.235)

    문화인류학쪽으로 공부하고 발굴하는 문화재단쪽으로 들어가서 일하는 연구원들도 학예사죠. 시험도 있고요. 근데 이쪽은 음 교수님 잘만나야되요. 세력이 있는 선생님 제자가 되어야 어디라도 갑니다.

  • 17. 수정했어요
    '17.8.29 9:34 PM (122.34.xxx.207)

    아, 고등학생 진로인가요... 그러면 좀 얘기가 다른게 일단은 국내 좋은 학교를 가세요.(진담입니다)
    뭐 스카이죠. 서울대..연대나 고대도 좋아요. 이대도 특화되어있고
    홍대는 대학원이 좋아서 그런거지 학부는 그냥저냥입니다.
    (아마조언을 해준 아시는 학예사는 한국미술사쪽일겁니다. 회화나 불교미술)
    진중권씨가 서울대 미학과 나왔죠.

    박물관이나 미술관 학예사가 목표라면 좋은 학교가서 많이 보고 듣고 읽으면 됩니다.
    사실 외국어 능력은 그걸 위한 기초고, 그 걸 바탕으로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하는거죠.
    한가지 명심할 것은 그 과에 들어가서 공부했을때
    자기가 원하는 방향이 아닐 수도있다는건 명심해두시구요.

    아직 고등학생이니 어학 뿐만 아니라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고 많이 쓰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사실 어학은 지금부터 하면 좋지만 대학가서 해도됩니다. (한국대학 진학할 생각이라면)
    그리고 일본어 중국어 하시는데
    동양이나 한국쪽 생각하시는거면 쭉 하되, 둘 중 하나는 읽기쓰기 말하기정도 통달하고,
    다른 하나는 어느정도한 가능한 정도면됩니다. 그대신 영어를 더하라고 하세요.

  • 18. 아..
    '17.8.29 9:34 PM (221.148.xxx.8)

    인류학이요..
    그쪽도 있긴 하군요.
    감사합니다
    생각보다 여러 분야에서 모인다는 건 알겠어요
    (그러니 박물관학 이겠지요.)

    문과 인문학은 참 범위도 넓고 재미있는 분야네요.
    저나 남편이나 굉장히 좁은 분야의 전공이라.
    이쪽을 관심있어 하는 아이 존경합니다

  • 19. ㅇㅇ
    '17.8.29 9:49 PM (211.208.xxx.55)

    다른분들이 말씀잘해주셨는데 현직학예사입니다. 전공은 박물관쪽은 고고학 역사학 미술관 쪽은 미학이나 미술사 혹은 미술실기쪽도 괜찮습니다. 이후 석사로 심화하시면되고(학예사는 학부출신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박사도 많습니다) 학예사는 국가자격증제도가 있습니다. 자격증시험을 보시거나 석사이상으로 현장경력으로 취득할수있습니다. 취업은 국공립은 각 박물관미술관 공고를 통해 공무원시험을 보시면 되고 사립은 자격증 취득후 입사지원 방식으로 취업합니다.

  • 20. ㅇㅇ
    '17.8.29 9:56 PM (211.208.xxx.55)

    앞으로 어찌될지모르나 현행은 국공립은 취업후 취득하는 경우가 많고 사립은 취업시 자격증을 요구하는경우가 많습니다. 사립미술관 쪽은 조금 사정이 달라서 미술실기전공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학예사는 큐레이터의 우리말 표현으로 전시기획 연구 소장품관리 교육프로그램운영등 다방면의 지식과 재능이 필요한 매력적인 직업입니다

  • 21. 민들레꽃
    '17.8.29 10:37 PM (223.38.xxx.47)

    미술전공했고 미술사 공부 오래했습니다.
    아직 고등학생이라면
    미술관 학예사하고 싶으시면...
    서울대 미학과 인류학과
    한예종 미술이론과
    홍대 예술학과 진학이 제일 좋습니다. 22222
    그리고 반드시 대학원가야죠.
    무엇보다 언어가 중요한 학문입니다. 영어는 기본중 기본.
    추가로 일어나 프랑스어 어느정도 해야합니다. 중국어도 좋습니다.
    그리고 글쓰기 좋아해야하구요. 잘써야하구요.
    서점이나 도서관 가서 현직 학예사들이 현장경험적은 책들 많습니다. 읽어보시길 바라구요.

    공부 정말 오래해야합니다.
    그림도 많이 봐야하고 공부길죠.
    정말 전문적인 분야지만 돈은......헉!!!!!소리나게 적습니다.
    그리고 오래하기도 어렵습니다.
    대학교수되기 어려운거 아시죠?

    그래선지 부자집딸들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집가서 그만두는 경우 많구요.

    여튼 너무 재밌지만 오래오래 많이 많이 공부해야하고
    돈은 무지 죽게 법니다.
    다만 그일이 참 매력적이고 재미납니다. ^^

  • 22. 경험자
    '17.8.29 10:54 PM (183.100.xxx.85)

    미술사학은 큰 돈은 벌지 못하지만 소소하게 할 일은 많은 분야입니다. 본인이 그림보기를 좋아한다면, 아주 매력적인 분야고요. 학부는 어느 과를 나와도 되지만, 가능하면 그림을 많이 접하는 것이 좋읍니다. 많이 보고 또 그려보면 더 좋구요. 인문학이지만 그림을 보는 능력이 무엇보다도 필수적이니까요. 한번 본 그림은 통째로 외울수있어야 하고(시각적으로), 그림들을 볼 때 자신이 이미 본 어떤 그림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 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동양쪽 전공을 할 것인지 서양쪽을 전공할 것인지에 따라 필요한 지식이 다릅니다. 동양쪽은 한문(고전)을 해야 하구요 서양쪽은 서양신화와 성경을 잘 알아야 합니다. 라틴어도 해야 하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31483 너무 안맞는 엄마 3 아니지 2017/09/19 2,035
731482 치밀유방 초음파해야할까요? 6 검사? 2017/09/19 2,487
731481 노원구 도봉구 피부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40대 후반.. 2017/09/19 942
731480 유산균) 냉장해야 되는 거 여행 다닐 때 상온에 둔 거 먹으면 .. 2 여행 2017/09/19 855
731479 세상에 이런 대학도 있네요 5 ㅇㅇ 2017/09/19 2,357
731478 요가 가야하는데 제끼고 앉아있어요 2 .. 2017/09/19 1,154
731477 요새 메탈아닌냉장고가없네요.2도어 4도어써보시니어때요 4 ........ 2017/09/19 1,688
731476 요가하고 온몸이 쑤시는데 6 .. 2017/09/19 1,926
731475 사는 재미 7 지니 2017/09/19 2,050
731474 며느리 사전에서 미안하다를 지우세요 22 파망 2017/09/19 3,950
731473 (영상)박주민과 송채경화의 법 발의바리 oo 2017/09/19 449
731472 택배 보이스피싱 조심하세요 1 2017/09/19 1,700
731471 이제 스키니청바지 유행이 지난 건가요? 8 ??? 2017/09/19 3,630
731470 어린이집..청정가가 있긴한데ㅜ ㅅㅈ 2017/09/19 346
731469 저도 팝송제목 하나 찾아주세요. 5 옛생각.. 2017/09/19 586
731468 박수홍 육개장 맛있나요? 5 홈쇼핑 박수.. 2017/09/19 2,283
731467 5살딸아이 머리감길때 어떻게해야하나요 22 에구 2017/09/19 3,508
731466 이제 30-40대 스키니진은 안입으실꺼죠? 18 롱부츠 2017/09/19 5,751
731465 에멘탈 치즈 드셔보신분 어떻게먹을까요 3 2017/09/19 891
731464 제주 렌트카 4 제주 2017/09/19 1,234
731463 이것도 갱년기 증상인걸까요 5 좋은 아침 2017/09/19 2,418
731462 나경원은 왜.. 1 ㄴㄷ 2017/09/19 908
731461 중딩ᆢ국어ᆢ자습서나 문제집중어떤거가 더효율적인가요 1 까막눈 2017/09/19 430
731460 제가 죽을뻔 했던 경험이 있어요 16 tree1 2017/09/19 6,803
731459 미세먼지가 안개 수준이네요 6 2017/09/19 1,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