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술에 재능있는 아이는 주로

ㅇㅇ 조회수 : 3,302
작성일 : 2017-08-21 20:21:21
물어보니 사물을 똑같이 그리는건
실제 높이 쳐주는 능력이 아니래요 그런건 훈련으로도
얻을수있다고...

실제 미술전공자들 가운데 저학생 참 재능있다 싶은 사람은
그럼 색감이나 아님 발상이 특이하거나
그런건가요..

IP : 117.111.xxx.9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ㅁㅁ
    '17.8.21 8:22 PM (116.117.xxx.73)

    배워보니 미술도 기술이더라고요, 그런데 그건 옛날에 잘한다고 하는거고
    요즘은 크리에이티브~~~ 가 중요하대요

  • 2. 똑같이 그려내는게 기본이 되야지
    '17.8.21 8:24 PM (112.152.xxx.220) - 삭제된댓글

    스스로 표현해내는데 익숙합니다

    기본실력이 갖춰줘야 된다는 말입니다

  • 3. ,...
    '17.8.21 8:25 PM (218.38.xxx.111)

    네 몇백년전에야 똑같이 그리는걸 쳐줬지
    지금은 달라졌죠
    그래서 현대 미술이 일반인들한테 외면받고 비난받기도 하죠

  • 4. ㅇㅇ
    '17.8.21 8:35 PM (112.169.xxx.30)

    추상미술 한다는 사람들중에
    알고보면 아그리파 뎃생도 못하는 인간들 수두룩 빽빽하죠
    기본스킬을 베이스로 깔고 색감 발상이 있으면 날개다는거고요

    갑자기 아주 예전 신성우가 생각 나네요
    해외에서 체험하는 프로그램인데
    그 비싼 이태리 대리석으로 일주일 내내 조각 한다더니 결과물이 ㅎㅎ

    주변에서 기대하며 지켜보던 이태리 사람들도 씁쓸
    신성우도 민망한 웃음만..

    변기를 작품이랍시고 사기치는 뒤썅의 LHOOQ라던가
    침팬치한테 그림 그리게 해놓고 사람들에게 작품 비평을 하라니 찬사찬사 대찬사..그러다 작자가 침편치라니 경악속 침묵하는 갤러리들..

    사물을 그대로 옮길줄 아는능력이 그리 쉽게 볼만한 재능은 절대 아니지요

    조용남씨는 요새 뭐하시나.,

  • 5. ..
    '17.8.21 8:36 PM (49.170.xxx.24)

    아이는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중요하죠. 기술적인 것은 고딩부터 습득하면 될 것 같습니다.

  • 6. ...
    '17.8.21 8:42 PM (119.64.xxx.92)

    당연하죠. 저 뎃생 기가 막히게 함. 하지만 창의력이 빵점.
    전형적인 이공계 적성이에요.

  • 7. 119님 정말요?
    '17.8.21 8:47 PM (112.169.xxx.30)

    그정도 잘 옮겨 그리면 창의력과 관계없는 경우를 본적이 없는데요? 잘 그리는 사람들이 대부분 창의력도 대단하던대요.서번트 증후군이 아니고서야 어떴게..그 부분은 동떨어질수가 없던데 정말 신기하네요

  • 8. 119님 정말요?
    '17.8.21 8:47 PM (112.169.xxx.30)

    어떴거 ㅡ어떻게

  • 9.
    '17.8.21 8:52 PM (116.127.xxx.191)

    유명한 단편있잖아요ㅡ빵집 노처녀사장이 매일 딱딱 굳은 빵만 사가는 남루한 화가를 좋아해서
    버터를 듬뿍 넣어서 줬다가 설계도면 밑그림 지우려고 빵사간 건데
    버터때문에 설계도면 내다버린 그 건축가가 찾아와 불같이 화내며 와장창 하고 끝나요
    똑같이 그리는 건 기술, 손재주 쪽에 가깝다고 생각해요
    세상없는 무언가를 그려야 재능있는거 아닐까요

  • 10. 119님
    '17.8.21 8:53 PM (112.169.xxx.30)

    말씀은 대부분 미술 전공자라면 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겠습니다만..
    암튼 사진기술의 발전이후 미술계는 많은 변화가 있었죠
    창의 창의 하는데 그 창의성이란 허울좋은 껍데기 뒤에 숨어서 입으로만 예술하는 사기꾼 같은 인간..기본조차 안된 사람들이 너무 많은게 작금의 실정이죠

  • 11. 116님
    '17.8.21 8:57 PM (112.169.xxx.30)

    그 건축가가 재능이 없다른거 님이 어떻게 아시죠?님 댓글이 원글과 무슨 상관인지요

  • 12. 네ᆢ
    '17.8.21 8:58 PM (112.152.xxx.220) - 삭제된댓글

    기본이 중요하다는것보단 기본없이 표현된
    장난같은 그림들은 어떻게 평가받을까요?
    기발한 아이디어도 기본구성이 탄탄할때 완벽하게
    작품이 되는거예요 ᆢ
    기본과 창의력 두개가 조화가 되어야죠

  • 13. 고흐도 평생 남루하게
    '17.8.21 9:02 PM (112.169.xxx.30) - 삭제된댓글

    살아생전엔 인정도 못받고 살았는데 그게 재능이 없어서인가요?
    가우디도 마지막엔 시체수습도 못하고 행려병자처럼 죽었는데요
    가난하고 남루하면 재능이 없는게 되는건가요?

    그 소설속 화가가 화낼만한데요?

  • 14. 고흐도 평생 남루하게
    '17.8.21 9:04 PM (112.169.xxx.30)

    살아생전엔 인정도 못받고 살았는데 그게 재능이 없어서인가요?
    가우디도 마지막엔 시체수습도 못하고 행려병자처럼 죽었는데요
    가난하고 남루하면 재능이 없는게 되는건가요?

    그 소설속 화가가 화낼만한데요?116님

  • 15. 116님
    '17.8.21 9:06 PM (112.169.xxx.30)

    수정 : 화가가 아니라 건축가요

  • 16.
    '17.8.21 9:07 PM (116.127.xxx.191)

    화가가 아니고 건축가였습니다
    빵집사장이 건축가가 빵집에 걸린 그림을 보고 원근법이 잘못됐다고 말한 걸 화가라고 오해한 거에요
    공모전 기일에 맞추느라 바빠 행색이 초라했던거고요

    저 단편이 기술적 도면과 예술의 차이를 나타내 준다고 생각되어 예로 든거에요
    아예 분야가 다르다고요

  • 17. 116왜분야가 다른가요
    '17.8.21 9:12 PM (112.169.xxx.30)

    위에도 제가 썼죠? 고흐 가우디
    어떻게 다르죠? 그렇게 굳이 나눌필요 있나요?
    좌뇌 우뇌 다 사용하고 사는사람은 없다는 말씀이잖아요 우리뇌는 그렇게 간편하지 않아요

  • 18. ...
    '17.8.21 9:15 PM (119.64.xxx.92)

    저같은 경우는 새로운걸 창조하는 능력은 전혀없고 베끼는 능력은 아주 탁월한것 같아요.
    어떤 분야가 되었든. 좀 특이한 케이스일수도 있는데요.
    제가 했던 소프트웨어 개발분야도 창의력이 많이 필요한데,
    전 새로운건 전혀 못만들어요. 하지만 벤치마킹은 끝내주게 잘함 ㅎ

  • 19.
    '17.8.21 9:17 PM (116.127.xxx.191)

    건축물은 예술이 될 수 있지만 설계도면보고 예술이라고 할 수 있나요?
    입시미술 석고데생을 예술이라고 할 수 있냐고요?
    그게 차이라는 말입니다

  • 20. 원근법
    '17.8.21 9:18 PM (112.169.xxx.30)

    따로 학습시켜야 아는 이가 있는가 하면
    세잔처럼 원근법을 파괴하는 사람도 나오는거예요
    116님 소설에서 원근법 지적 했다는데 그 건축가 입장에선 또다른 입체적 시뮬레이션이 돌아가고 있었는지도 몰라요

  • 21. 건축과 도면을 따로
    '17.8.21 9:24 PM (112.169.xxx.30)

    어떤건 예술 어떤건 아니다?
    그 건축물 볼때 누가그리 따로 분리해서 보는지도 궁금하고
    건축 설계할때 예술 따로 설계 따로 분리 시켜 하는지도 궁금하네요
    결국 한사람의 큰 그림에 의해 완성되는거고요

    116님 말씀은 머리와 몸퉁아리는 전혀 별개이니 따로 떨어트려 놓겠단 말과 마찬가지죠

  • 22. 똑같이 그리는건
    '17.8.21 9:31 PM (118.219.xxx.31)

    그냥 손기술일 뿐입니다.

    색감
    창의력이 당연히 미술적 재능이죠.

    전 사진 찍어서 고대로 그리는 극 사실주의 그림은
    그림으로 생각 안합니다.

    그냥 손기술이죠.

    게다가 스케치도 빔프로젝트 쏴서 선따고 있다더군요......

    참나....

  • 23. 대체
    '17.8.21 10:36 PM (218.38.xxx.111)

    대체 여기서 단편소설얘기가 왜나오는건지
    전혀 상관없는 얘기인데

  • 24. 4차산업
    '17.8.22 1:21 AM (1.232.xxx.68)

    시대에 미술만 그럴까요. 기술이 대체할 수 없는 쪽으로 찾아 가야죠. 그렇다고 개념미술만 미술이다 그럴수는 없어요. 사람은 본능적으로 아름다운 걸 좋아하거든요. 뛰어난 화가는 똑같이 그리기는 넘어서는 사람이에요. 똑같이 못그리는 사람이 아니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6054 혼자 시간 보낼 나들이 장소나 즐길거리 추천좀 5 __ 2017/09/03 1,295
726053 보험 회사에선 2 82cook.. 2017/09/03 664
726052 머리 꽁지요 1 고지비 2017/09/03 457
726051 복숭아 사과 얼린 거 뭐랑 같이 갈면 될까요..? 10 초보 2017/09/03 1,605
726050 매직기 몇도로 사용하면되나요? 8 매직 2017/09/03 1,184
726049 운좋은 딸내미 대학진학기 취업기 28 대정댁 2017/09/03 8,627
726048 지끈지끈 1 아고머리야 2017/09/03 393
726047 영화 공범자들 20만 돌파! 9 고딩맘 2017/09/03 932
726046 미국도 마흔넘은 미혼남녀 많은가요 7 ㅇㅇ 2017/09/03 3,379
726045 들깨로 끓인 국 이름이 뭔가요? 3 2017/09/03 1,334
726044 아까 북경짜장 후기.. 1 입맛개취 2017/09/03 1,241
726043 집안에 전문직 한명도 없는 집 많은가요? 35 ... 2017/09/03 10,048
726042 갑자기 오른쪽 날갯죽지부분 통증이 심해요. 4 어깨통증 2017/09/03 1,453
726041 14개월 아기 데리고 다낭 간다고 하니 부모님이 결사반대 하시네.. 36 ... 2017/09/03 5,765
726040 만약 남자가 개인사업하는데 4 ㄷㄱㅇ 2017/09/03 1,214
726039 내가 새벽 5시 반을 사랑하는 이유 20 당신은? 2017/09/03 8,533
726038 비행기 발권시 다른사람이 대신 해도 되나요? 13 132 2017/09/03 3,309
726037 82님들덕에 파김치 살려냈어요 7 2017/09/03 2,455
726036 시판김치 첨 사봤는데 밖에서 며칠 익힐까요? 3 자취생 2017/09/03 813
726035 쿠션안마기 2~3만원대 쓸만한가요? 6 dd 2017/09/03 988
726034 왜 남북 직접 대화는 안하나요? 41 ㅡㅡ 2017/09/03 2,603
726033 오랫만에 이*아 다녀 왔네요 13 수다 2017/09/03 5,104
726032 살붙어서 너무 예뻐졌다는데도 오직 살쪘다 신경질인 여자 7 숨막혀 2017/09/03 2,579
726031 MBC김장겸은 잠적, KBS고대영은 해외로 튈 준비 7 richwo.. 2017/09/03 2,328
726030 청약저축은 어떤식으로 이자계산이 되는거예요..?? ... 2017/09/03 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