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말고 주택 사시는 분들 전기요금 얼마 나오세요?

/..... 조회수 : 2,016
작성일 : 2017-08-18 11:02:48

저희집은 작년기준으로 누진세때문인건지ㅠㅠ

거의 15-20만원이였고

여름이면은 30만원도 넘게 나온 적이 있어요.

한 40나와서 검침원이 오셨던 적도 있던.............



25년된 오래된 주택에 30평 조금 넘고요..

김치냉장고 2대 냉장고 1대

티비 1개 세탁기 그리고 컴퓨터 2대랑 프린트가 항상 켜있어요.(일때문에요)


보통 얼마나 나오나요?

우리집이 좀 많이 나오는 것 같긴해요..

엄마말이 4식구에 기계들이 많아서 어쩔 수 없다고는 하는데


가스요금도 겨울이면 0만원은 당연히 훌쩍 넘기고......... 아낀다고 저녁에만 틀어놨는데도 그래요..ㅠㅠ

.원해 이런가요?


IP : 218.37.xxx.58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흰
    '17.8.18 11:08 AM (59.17.xxx.48)

    새주택이고 전기요금은 헌주택, 새주택하곤 상관없잖아요, 여튼 김냉2, 냉장고1, 식기세척기, 에어컨2대, 선풍기2대, 티비3대, 로봇청소기, 오디오, 세탁기 대충 요렇게 있는데 6만~8만원 정도 나와요.

    원글님넨 너무 많이 나와요.

  • 2. 전기나
    '17.8.18 11:09 AM (203.128.xxx.25) - 삭제된댓글

    가스등은 비교가 불가해요
    쓰는대로 나오는거라서요

    옛날 가전이 전기를 많이 잡아먹긴 해요

  • 3. ........
    '17.8.18 11:11 AM (114.202.xxx.242)

    저희집도 일때문에 컴퓨터 하루 10시간씩 켜져있고, 냉장고 2대에 전기밥솥 많이 사용하고,
    티비도 거의 늘 켜져 있는데,
    5,6만원정도 나오는데요.
    올 여름에는 에어컨을 거의 하루 종일 틀어 놓은 날도 거의 20일 가까이 되었는데 15만원 안넘어요.

  • 4.
    '17.8.18 11:12 AM (211.36.xxx.56) - 삭제된댓글

    옛날 가전이라한다쳐도 너무 많이 나오네요
    점검이 필요해보여요

    주택 등 가전은 주위에서 전기 연결해서 전기 도둑질도 한다고 들었네요, 전기기술자는 가능하다고

  • 5. 뫼오로시
    '17.8.18 11:17 AM (112.219.xxx.68)

    프린터는 절전 모드로 놓으시고요.
    그렇지만 프린터는 전기 얼마 안먹어요.
    대기전력 확인하시고요.

    김치냉장고와 일반 냉장고가 구형이라면
    당장 바꾸세요. 전기 효율 따져보시고요.
    새거 효율 좋은 것으로 바꾸고 아낀 1년치 전기요금으로
    새제품 살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누전 확인해보세요.
    집안의 모든 전기 코드를 다 빼고도 계량기 돌아가면
    누전 있는 겁니다. 한전에 문의해서 확인하세요.

  • 6. 확인
    '17.8.18 11:24 AM (220.123.xxx.166) - 삭제된댓글

    20년된 주택 25평이고 가전은 김냉, 일반 냉장고, tv 큰거, 전자렌지,전기포트 자주 쓰는 집이에요.
    제가 좀 아껴쓰는 편이긴 한데 평소 15000원 벽걸이 에어컨 밤마다 틀고 잤더니 이번달 38000원 나왔어요

  • 7. 확인
    '17.8.18 11:26 AM (220.123.xxx.166)

    20년된 주택 25평이고 가전은 김냉, 일반 냉장고, tv 큰거, 전자렌지,전기포트 자주 쓰는 집이에요.
    제가 좀 아껴쓰는 편이긴 한데 평소 15000원 벽걸이 에어컨 밤마다 틀고 잤더니 이번달 38000원 나왔어요.
    평소 부부만 살고 주말만 아이들이 오는 집이에요.
    가전이 오래되면 전기가 많이 나오기는 하는데 그 수준을 넘어서는거 같은데요?
    어디 전기 누전되는지 점검한번 해보세요.
    가전 중에 냉장고가 오래되면 전기 요금 많이 나온다고 듣긴 했어요.

  • 8.
    '17.8.18 11:39 AM (223.62.xxx.82)

    많이 나오는거맞았군요ㅠㅠ누전인지 확인해봐야겠어요.
    에어컨은 15년되었고 냉장고는 10년된 것 같아요.
    이것도 바꿔봐야겠어요..ㅠ

  • 9. ㅇㅇ
    '17.8.18 11:45 AM (61.75.xxx.217) - 삭제된댓글

    오래된 가전제품이 문제일수도 있어요.
    60평대 아파트에 부모님 두분이 사시는데
    티비 2대, 양문냉장고 1, 소형 일반냉장고 1, 김치냉장고 1, 에어컨 2대, 드럼세탁기, 식기세척기 등등....
    여기서 드럼세탁기와 티비만 10년 된거고 냉장고, 에어컨은 15~20년 된거였는데
    평소 전기요금이 늘 15만 이상, 여름에는 기본 50만원이 나왔는데
    누전검사해도 별탈 없었어요.
    전기요금이 진짜 이해불가였는데, 작년에 집전체를 리모델링하면서
    가전제품 전체를 다 새로 구입하셨는데
    (전기요금 적게 나올거라고 아무리 설득을 해도 전기요금이 아무리 적게 나와봤자 새물건 사는게 더 비싸고
    성능 멀쩡하다고 안 바꾸신다는 것을 오래된 에어컨은 호흡기에 안 좋다. 노안에는 새티비가 좋다 새김치냉장고가 더 맛있다 등등으로 설득해서 겨우 다 바꾸었어요)

    그게 작년 6월이었는데 평소에는 전기요금이 4~5만원 나오고 이번 여름에는 전기요금 12만원(거실과 주방이 넓으니 이 정도면 선방) 나왔다고
    놀라워하셨어요. 오래된 에어컨과 김치냉장고가 생각하는 것보다 전기요금이 많이 나왔던 거였어요

  • 10. 에어컨
    '17.8.18 11:54 AM (118.40.xxx.79)

    에어컨2대 빵빵 틀고
    청구서 127,000원 나왔네요.

  • 11. 원글님, 하나 말씀드려요.
    '17.8.18 12:29 PM (165.225.xxx.69)

    우리집 전기세든 남의 집 전기세든, 전기세가 나오시다가 아니구요, 전기세가 나와요입니다.

  • 12. 그게요
    '17.8.18 1:43 PM (221.165.xxx.119)

    아파트는 단독주택보다 기본적으로 요금이 쌀거에요.
    저도 요금이 많이 나와서 전화해보니 고압, 저압전기 해서
    더 싼요금이 있는데 단독주택은 해당이 안된대요.

  • 13. 살림사랑
    '17.8.18 1:55 PM (222.237.xxx.110)

    저희는 아파트긴 하지만 원글님댁보다 더 많은 제품을 쓰거든요
    그래도 매월6~7만원 정도 나와요

  • 14.
    '17.8.18 2:45 PM (121.159.xxx.91)

    저희집도 그정도 나와요
    근데 웃긴건 이사오기전 2배 나와요
    다 똑같고 집만 바궜는데요
    이사 오기전은 10년된 주택이였고 지금 집은 70년에 지은 집이네요 50년이 다 되어가네요
    전기업자 불러 고차려고 알아보니까 집이 낡아 전기공사 위험하다네요

  • 15. 우리는
    '17.8.18 5:51 PM (59.8.xxx.237) - 삭제된댓글

    이사오기전에는 보통 전기세를 5만원선 냈어요
    제일 적은게 4만5천원선이고요
    단독으로 이사가고는 1만8천원도 내봤어요
    보통 2만원대
    더 웃긴건 이사가서 단독에 살면서는 인버터를 쓴다는거지요
    먼저집에서는 가스렌지를 썼구요
    단독가서 2만원이상 줄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726585 좋은 가사도우미를 14 ㅇㅇ 2017/09/04 3,216
726584 (이혼)예물 다이야반지 팔았네요 14 이혼 2017/09/04 11,893
726583 전 30대 후반 여성인데요 일반인 식사량에 대해서 궁금해요 24 어쩌면돼지 2017/09/04 6,003
726582 살빼는건 참 힘드네요 7 ... 2017/09/04 2,375
726581 막되먹은 시집식구글보니 괴롭네요 8 F 2017/09/04 2,269
726580 스팀되면서 회전도 되는 청소기 쓰시는 분 계세요? 청소달인 2017/09/04 368
726579 조말ㄹ 향수 샀어요 4 ㅇㅇ 2017/09/04 3,177
726578 이번 여중생 사건을 보고 지렁이라는 영화가 오버랩 7 arhe 2017/09/04 1,343
726577 돌전 아기 키우는데 힘드네요 8 아기 2017/09/04 1,473
726576 사귀려고하는 단계에 전화 매일하는게 맞나요 3 가을 2017/09/04 1,224
726575 위안부랑 동두천 매춘부랑 같다고 우기는 사람 있네요 7 미친 2017/09/04 1,202
726574 류화영 보려고 롤리폴리 뮤비 보다가 9 청춘시대 2017/09/04 3,549
726573 학회갈때 옷차림은 어떻게하나요 6 학회 2017/09/04 2,806
726572 늘 이런식으로 대화하는 건 어떻게 대꾸해야 하나요? 3 사실막내딸 2017/09/04 1,222
726571 공기청정기 이런 경우도 도움되나요 2 맑은공기 2017/09/04 568
726570 냉동 오징어로 할 요리가 오징어 볶음 말고 뭐 있을까요? 17 ㅡㅡㅡ 2017/09/04 4,466
726569 먼거리 친구는 보통 어느정도 거리에서 만나나요? 9 2017/09/04 936
726568 체중감량하고 싶은데 발목 크게 삐었어요 9 ... 2017/09/04 1,908
726567 친정엄마가 의료기체험센타?그런데서 장판을 사셨는데요 5 장판 2017/09/04 1,564
726566 Cyndi Lauper- Girls Just Want To Ha.. 4 뮤직 2017/09/04 696
726565 아이가 딴거 몰두하고있을 때 뽀뽀해본적 있으세요? 11 .. 2017/09/04 3,225
726564 다리미 없이 옷 구김 피는법 알려주세요 9 ... 2017/09/04 3,399
726563 콘택트렌즈가 안빠지네요.. 8 .. 2017/09/04 1,387
726562 남부지방 음식 원래 이리도 짠가요? ㅠㅠ 8 ... 2017/09/04 2,629
726561 지인포함하여 셋이 밥 먹었는데 5 ㅁㅁ 2017/09/04 2,971